블라디보스톡-나진 운항

임대업체 채무 분쟁..승객 화물 운송도 저조

 

 

모스크바=김원일 칼럼니스트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해상 화물·여객선 만경봉호가 3개월여 만에 운항을 중단했다고 인터팍스 통신이 4일 보도했다.

 

지난 5월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톡항 간 정기운항을 시작했던 만경봉호는 블라디보스톡항 부두 관리업체와의 분쟁(紛爭)으로 더 이상 운항을 못 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만경봉호 운영을 맡은 러시아 해운회사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사의 바라노프 대표는 만경봉호 운항이 중단되어 현재 배는 나진항에 정박(碇泊)해 있는데 언제 재개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만경봉호가 이용하는 블라디보스톡항 부두 임대회사 블라디보스토크해상터미널은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가 100만 루블의 채무(債務)를 변상하지 않음에 따라 운항사와의 계약을 연장하지 않았다. 운항사는 부두 임대사가 합의 않되었던 서비스 요금을 요구하고 있다며 변상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블라디보스톡항 부두 이용요금이 많이 비싸다는 불만도 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8월 말엔 입항 허가가 지연되면서 블라디보스톡항에 도착한 만경봉호 승객들이 몇 시간 동안 배에서 내리지 못하는 불편을 겪었다. 그러나 운항사가 다른 항구를 이용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블라디보톡에만 선박을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입국 심사소가 있기 때문이다.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사는 부두 임대사와 분쟁을 해결해달라고 연해주 당국에 요청했다.

 

만경봉호는 지난 5월 중순 정기 노선 개설 이후 북한 나진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을 주 1회 왕복해 왔다. 40개 객실에 2개의 바와 상점, 사우나, 노래방 등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고, 최대 200명의 승객이 탑승 가능하며 최대 화물 적재용량은 1천500t이다.

 

운항사는 당초 북한과 중국, 러시아 사이를 오가는 관광객과 화물 등을 운송해 수익을 낸다는 구상이었으나 승객과 화물이 예상만큼 확보되지 못했다. 당초 100명 이상으로 예상됐던 승객은 10명도 되지 않았을 때가 많았고 화물량도 기대에 못미쳤던 것으로 전해진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1호 만경봉호 1971년 재일교포 북송선으로 건조

 

만경봉호(萬景峰號)는 1971년 처음 건조되어 재일교포의 북송선으로 이용되었다. 만경봉호가 노후화됨에 따라 1992년에 김일성의 80번째 생일을 기념해서 만경봉-92가 건조되었다. 형식적으로는 원산시에 있는 해운회사가 소유한 여객선으로, 주로 일본의 니가타 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산시를 운항하였다. 여객선명은 평양직할시 교외에 위치한 만경봉에서 따왔다.

 

2002년 아시안게임 당시 북한 응원단을 태운 만경봉호가 다대포항에 입항한 바 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585번지 일원에 통일아시아드 공원이 2008년 12월 7일 준공되었다.

 

2011년에는 나진~고성(장전) 금강산 지구간 항로에 투입되는 여객선으로 활용되었다. 2014년 한 보도에 따르면, 나진항 2번 부두에 정박된 채 녹슬어가고 있다고 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5 러시아 고르바초프“북핵 프로그램 포기 기회 있다” 뉴스로_USA 19.11.05.
434 러시아 “북미정상 친분도 민심외면 못해” 뉴스로_USA 19.11.03.
433 러시아 ‘트럼프 재선 실패시 대북관계 악화 귀결’ 러 전문가 뉴스로_USA 19.10.31.
432 러시아 북한, 푸틴의 러시아 주권수호정책지지 뉴스로_USA 19.10.19.
431 러시아 ‘北미사일 발사는 신기술 도달 의미할 수도’ 뉴스로_USA 19.10.11.
430 러시아 러‘소유즈’발사체 한국 큐브위성 4기 발사 뉴스로_USA 19.10.09.
429 러시아 ‘러시아, 한국과 영토분쟁하는 일본’ 뉴스로_USA 19.09.06.
428 러시아 ‘이루어지 않은 희망열차의 대기소’ 뉴스로_USA 19.09.03.
427 러시아 ‘북한과 합의 시도하는 미국’ 러 전문가 file 뉴스로_USA 19.08.30.
426 러시아 모르굴로프 러 외교차관 다음주 방북 뉴스로_USA 19.08.11.
425 러시아 트럼프, 러시아 산불로 관계개선? 뉴스로_USA 19.08.06.
424 러시아 “北미사일 도발 아니야” 러하원 논평 뉴스로_USA 19.07.31.
423 러시아 ‘北, 한미연합훈련시 약속지킬 명분 없어’ 인터팍스통신 뉴스로_USA 19.07.18.
422 러시아 러 연해주 대북 밀 수출량 28배 증가 뉴스로_USA 19.07.18.
421 러시아 ‘북-러 극동지역 양자무역 증대’ 러 통신 뉴스로_USA 19.07.12.
420 러시아 ‘일본 무역보복 미국한테 배웠다’ 러주간지 file 뉴스로_USA 19.07.12.
419 러시아 “한일 하이테크 무역전쟁 시작” 러 신문 뉴스로_USA 19.07.11.
418 러시아 ‘美, 中과 한반도문제 접촉 강화 용의 있어’ 뉴스로_USA 19.07.11.
417 러시아 ‘미국,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수도’ 뉴스로_USA 19.07.07.
416 러시아 러시아-북한, 군사적 협력 강화 뉴스로_USA 1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