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대사와 림청일 북한 외무성 부상이 배구 경기관람 및 공동 만찬시 비공식으로 양국 관계 문제들을 논의했다고 주북한 러시아 대사관이 페이스북 계정에서 밝혔다.

 

 

022119 북-러 외교관들.jpg

 

 

타스통신은 19일 평양발로 “이번 비공식 회동 중 양국 외교관들은 3월 초에 예정된 무역경제 및 과학기술 협력 정부간 위원회 회의의 몇 가지 의제(議題)를 정하고 양국 외교부 간 협의 일정에 관한 양측 입장을 서로 설명했다”고 전했다.

 

양국 외교부 협의 중 몇 번의 회의는 조만간 모스크바에서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대사관에 따르면 삼일운동 100주년, 북러 경제 문화 협력 협정 체결 70주년, 크림 합병 5주년 관련 행사들에 대한 의견 교환도 있었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이 밝힌 바에 따르면 이번 친교 회의는 북한 외무성 림청일 부상의 설날 기념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북한 외무성이 운영하는 고방산 초대소의 운동장에서 러시아 대사관 팀과 북한 외무성 유럽 제1국 청년 외교관 팀의 친선 농구 경기가 있었고 결과는 무승부였다. 경기 후 북한 측은 고방산 초대소에서 러시아 대사관 직원들을 위한 만찬을 준비하여 대접했는데 놀랍게도 북한 요리사들이 준비한 메인 요리는 러시아식으로 조리한 ‘절인 청어’였다. 러시아 대사관 직원들은 모두를 깜짝 놀라게 만든 이러한 환대를 매우 좋아했다고 러시아 대사관은 밝혔다.

 

또한 대사관 측은 양국 외교관들이 친구들을 만난 것 같은 우정 어린 분위기에서 좋은 시간을 보내고 러시아 대사와 북한 외무성 부상이 양국관계 문제를 논의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양국 관계를 새롭고 더 높은 차원으로 격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사들을 정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만남이 매우 성공적인 행사였다고 자평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러시아가 북한에 곡물을 무상 지원하는 이유 (러시아 주간 아르구멘티이팍티)

 

 

러시아가 북한에 5만톤의 밀을 무상 지원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러시아 자체에는 밀이 남아도는 것인가? 사실은 북한이 2018년 발생한 재해로 인해 러시아에 밀 지원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전통적으로 극동 인접국인 북한에 인도적(人道的)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 상원은 “유엔세계식량계획에 따른 러시아의 작년 및 올해 지원 의무 금액은 8백만 달러에 이른다”고 말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 정부 기관들은 북한의 요청에 대한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러시아는 곡물 수확량이 기록적으로 높았다. 2017년은 1억 3500만 톤을 수확했다. 파트루셰프 농업부 장관에 따르면 2018년 곡물 수확량은 1억 천만 톤으로 최근 5년간의 평균 수확량보다 11% 많았다.

 

수확량 전체를 모두 판매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인도적 지원의 일환으로 곡물을 다른 국가들에 보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60만 톤의 곡물을 만성적인 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베네수엘라에 공급하기로 합의했었다.

 

 

  • |
  1. 022119 북-러 외교관들.jpg (File Size:63.7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6 러시아 러시아 매거진 추석 소개 눈길 뉴스로_USA 18.11.09.
335 러시아 러 볼가공화국 롯데호텔 오픈 뉴스로_USA 18.11.09.
334 러시아 러 극동 캄차카주 한국과 협력관계 확산 file 뉴스로_USA 18.11.09.
333 러시아 러시아 공훈훈장 수상한 한국인 지휘자 노태철 모스크바에서 지휘봉잡는다. file 모스크바매일.. 18.11.16.
332 러시아 “영일만 남북러 물류거점 될것” 文대통령, 뉴스로_USA 18.11.18.
331 러시아 한러지방협력포럼 뉴스로_USA 18.11.18.
330 러시아 “韓투자자들 극동지역 투자 기대” 러 극동개발부 장관 file 뉴스로_USA 18.11.18.
329 러시아 ‘나진-하산 프로젝트 고심하는 한국’ 러통신 뉴스로_USA 18.11.22.
328 러시아 한-러, 2020년까지 연간 인적교류 100만명 달성 계획 file 뉴스로_USA 18.11.23.
327 러시아 ‘한국, APEC 정상회의 디지털 경제 혁신기금 창설 제안’ 러 통신 file 뉴스로_USA 18.11.25.
326 러시아 韓정부 러시아 투자지원재단 설립 file 뉴스로_USA 18.11.25.
325 러시아 18기 모스크바 민주평통 자문위원회 제3회 평화통일 창작 문예 학술제 개최 file 모스크바매일.. 18.11.26.
324 러시아 한-러 연간 인적교류 1백만명 달성 목표 뉴스로_USA 18.11.29.
323 러시아 “김동무의 지하기지들” 러 일간지 file 뉴스로_USA 18.11.29.
322 러시아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나라중 하나“ 러주간지’ file 뉴스로_USA 18.12.03.
321 러시아 북한, 한미연합군사훈련 화해선언 위반 간주 뉴스로_USA 18.12.03.
320 러시아 ‘올림픽 스키장의 불빛’ file 뉴스로_USA 18.12.03.
319 러시아 러시아의 예술정책 이야기 file 모스크바매일.. 18.12.03.
318 러시아 “북한-러시아 청년교류 확대 합의” 타스통신 뉴스로_USA 18.12.05.
317 러시아 러시아내 최고의 명문 모스크바 국립대 “한러우정의 페스티벌” 열려 file 모스크바매일.. 1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