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90여개 도시 개봉

 

 

Newsroh=김원일 칼럼니스트

 

 

러시아에서 한국영화들이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 오비데오통신은 최근 러시아영화배급독립기업 프로브즈글랴드(201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기생충’ 배급권 공식 보유사)의 전문가들이 최근 5년간 러시아에서 상영되었던 한국 영화들의 觀覽料(관람료) 수입을 비교 분석했다.

 

이들은 ‘기생충’이 이전의 興行(흥행) 성공작인 ‘버닝’과 ‘부산행’을 뛰어넘는 입장 수입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의 자체 데이터와 사이트(www.kinopoisk.ru)에 따르면, ’버닝’(2018년)의 관람료 수입은 22만6천 달러, ’부산행’(2017년)은 14만6600달러였다. 총 수치로 보면 이는 최근 5년간 러시아의 한 회사가 한국 영화를 상영하여 벌어들인 최고의 수입이다. ’부산행’은 이보다 1년전에 상영되어 약18만 달러의 관람료 수입을 벌어들인, ’아가씨’에 약간 뒤진 결과를 보인다.

 

프로브즈글랴드 사 타티야나 돌젠코 구매담당 이사는 “최근 10여년간 러시아에서 상영된 한국 영화는 약 20여개 작품이다”라며 “현재 우리 회사의 배급권 보유작들 중에는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적이고 동시에 이 영화가 타깃으로 하는 관객층에서 가장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작품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어떤 점에서 볼 때, 현재 우리 회사는 현재의 영화 패턴에 상당히 지쳐 있고 전통적인 유럽 예술의 주요 흐름이 아닌 다른 무엇인가를 알고 싶은 러시아 관객들을 위해 우수한 한국 영화를 배급하는 주요 기업이다”이라고 소개했다.

 

전반적으로, 최근 5년간 러시아 내 한국 영화 상연의 평균 관람료 수입은 약 2만 달러 전후 수준이다. 좀 더 이전 시기, 2004-2011년 기간에는, 러시아 내 한국 영화 상영이 상당히 성과가 좋아서, 가장 많은 관람료 수입 규모가 약 8만5천-16만 달러에 달했다.(2004년의 ‘태극기 휘날리며’, 2008년 ‘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

 

‘기생충’의 세계 시장 상연은 현재 한국 영화의 관람료 수입 양상을 현저히 변화시키고 있다. 프로브즈글랴드에 따르면, 현재 이 영화의 한국 내 관람료 수입은 6700만 달러이다. 개봉 이후 (2019년 5월 30일) 지금까지 9백만 이상의 관객이 관람했다.

 

주러시아 한국 대사관 위명재 공사참사관 겸 문화원장은 “한국에서 이 영화는 매우 큰 성공을 거두어서, 드라마, 스릴러 등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장르에 ‘봉준호 영화’라는 또 하나의 개별 장르가 덧붙여지게 되었다”고 전했다.

 

이 영화는 개봉이 이루어진 프랑스와 베트남에서도 다수의 관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기생충’은 지난 4일 러시아 90개 이상의 도시에서 일제히 상영되고 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기생충’ 러시아 개봉 (2019.7.6.)

'기생충에 나타난 한국식 불평등 해결방법' 러신문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8991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6 러시아 러-한-중 철도망 연결 관심 file 뉴스로_USA 18.06.21.
395 러시아 19년 만에 러시아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한러 우호 친선의 밤 행사 참석 file 모스크바매일.. 18.06.22.
394 러시아 러시아 카잔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열린다 file 뉴스로_USA 18.06.24.
393 러시아 민병욱 언론재단이사장, 모스크바 동포언론인 간담회 file 뉴스로_USA 18.06.25.
392 러시아 러시아 부동산재벌 고려인 조파벨 캐피탈그룹 대표 file 뉴스로_USA 18.06.28.
391 러시아 한국가스공사, 러시아와 가스관프로젝트 실행 뉴스로_USA 18.06.30.
390 러시아 러 카잔연방대 한국학학술대회 성료 file 뉴스로_USA 18.06.30.
389 러시아 로만티즘 국제 음악콩쿠르, 그네신 음대 베이스 강찬솔1위에 입상, 정현동 피아노 2위입상 file 모스크바매일.. 18.06.30.
388 러시아 “文대통령, 한반도미래 러시아역할 강조” 러매체 뉴스로_USA 18.07.04.
387 러시아 남북러 삼각협력 단초 file 뉴스로_USA 18.07.04.
386 러시아 러가스처리 공장에 韓탈메탄화기 공급 file 뉴스로_USA 18.07.05.
385 러시아 ‘文대통령과 월드컵 명절’ 러방송 file 뉴스로_USA 18.07.08.
384 러시아 러 인노프롬 박람회중 한국영화제 개최 file 뉴스로_USA 18.07.09.
383 러시아 러 스마트시티 건설에 韓기술 사용 뉴스로_USA 18.07.15.
382 러시아 러산업박람회 韓하이테크 기업 100여개 참가 file 뉴스로_USA 18.07.16.
381 러시아 韓궁중예복, 러산업박람회 5대의상 선정 뉴스로_USA 18.07.17.
380 러시아 ‘한반도 문제 해법은 신뢰부터’ 러외교장관 file 뉴스로_USA 18.07.17.
379 러시아 러 블라디보스톡 입주업체 한일러 등 석탄 공급 뉴스로_USA 18.07.19.
378 러시아 韓 ‘9개의 다리’ 러 북극개발 지원 file 뉴스로_USA 18.07.19.
377 러시아 9대 모스크바 한인회 사무소 개소식 file 모스크바매일.. 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