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뉴욕 제임스 김 기자, 상하이 한길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중국 바이러스’란 언급은 정확한 표현”이라며 코로나19의 중국 책임론을 분명히 했다. 이에 격분한 중국 정부는 재중 미국 주요 언론사 기자들을 추방조치하는 등 보복전을 확대하고 있다. SCMP YOUTUBE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바이러스’ 발언이 재차 언급 되면서 분쟁의 불씨가 되살아 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중국 바이러스’란 언급은 정확한 표현”이라며 코로나19의 중국 책임론을 분명히 했다. 이에 격분한 중국 정부는 재중 미국 주요 언론사 기자들을 추방조치하는 등 보복전을 확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 언론 브리핑에서 “(내가 트위터에서 언급한)중국 바이러스라는 표현은, 그것은 중국서 왔다. 그것이 매우 정확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미군이 중국에 바이러스를 전파했을 수 있다는 중국 측 주장에 “허위 정보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직접적인 언급은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시작됐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미 고위 당국자들이 코로나19의 정식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중국 또는 우한 코로나바이러스로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이날 국무부 브리핑에서 “우한 바이러스를 처음 인지한 정부가 중국 정부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세계가 중국 내부에 있는 이 위험을 인식하는 데는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지적했다.

 

▲ 중국 외교부는 특히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 3사를 겨냥해 기자증 시효가 올해 만료되는 기자들은 10일 이내 기자증을 반납하라고 통보했다. 기자증을 반납하면 비자를 받을 수 없다. 사실상 추방조치다. SCMP YOUTUBE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중국은 미국에 적극 반발하면서 코로나19 확산 중국 책임론 불식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1면 주요기사로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로 지칭한 것에 대해 “무능하고 무책임한 행동에 중국이 격분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예측 가능한 발병에 미 행정부의 끔찍한 대응과 미 증시 폭락 완화 실패를 덮으려는 의도가 있다”고도 했다. 중국 외교부는 특히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 3사를 겨냥해 기자증 시효가 올해 만료되는 기자들은 10일 이내 기자증을 반납하라고 통보했다. 기자증을 반납하면 비자를 받을 수 없다. 사실상 추방조치다.

 

중국 외교부는 미 국무부의 중국 관영매체 탄압에 대한 상응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 국무부는 자국에 주재하는 신화통신, 중국일보 등 5개 관영 매체를 언론사가 아닌 외국 사절단으로 지정한 바 있다.

 

중국의 이 같은 대응은 코로나19 확산에 대해 중국을 비판하는 미 언론 보도에 대한 불만도 담겨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3일자 ‘중국은 아시아의 진짜 병자’라는 칼럼에서 중국의 대응을 비판한 WSJ의 기사를 문제 삼아 중국 주재 WSJ 기자 3명의 기자증을 회수한 바 있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 중국 중국, 경기 둔화에도 춘제 해외여행 급증…한국은 인기 4위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54 중국 인구절벽 공포 빠진 중국 - 무역전쟁보다 무서운 中인구절벽 ..연금 이미 고갈 위기, 2050년 1인 1부양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53 중국 미중 무역전쟁 악화로 세계경제 암울해 질 수 있어 해외IB 전망 "대중국 관세 전체 확대 시 중국성장률 2% 하락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52 중국 중국 주요대학 여학생들, 자신의 난자 팔아 용돈벌이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51 중국 광둥성 경유 무비자 체류 정책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50 중국 中 과일 가격 상승에 중국 소비자 울상.. 작년 한파·서리 피해로 공급과 수요 불균형 현상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49 중국 中 인프라 투자 촉진 위해 “특별 지방 정부 채권 발행 지원” 중국 부채 비율 낮아… 충분히 통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48 중국 시진핑 방북, 한반도정세 어떤 영향줄까 뉴스로_USA 19.06.20.
147 중국 북중, 인도적 지원으로 동맹 강화 뉴스로_USA 19.06.27.
146 중국 “대북제재 구멍 찾는 중국과 북한” 러일간지 뉴스로_USA 19.06.27.
145 중국 ‘중국, 북한 안보우려 해결 지원 약속’ 러 신문 뉴스로_USA 19.06.28.
144 중국 중일전쟁, 히로시마와 오쿠노시마 독가스 생산 뉴스로_USA 19.07.19.
143 중국 선전 중학생, 단 44%만 공립고 진학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42 중국 지금 중국은 농구월드컵 열기 file 뉴스로_USA 19.09.13.
141 중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광저우협의회 19기 출범식 개최 file 라이프매거진 19.09.24.
140 중국 中 선전, 안면 인식으로 지하철 요금 지불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39 중국 충칭, 세계에서 감시 카메라 가장 많은 도시 1위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38 중국 시진핑 "中 분열세력" 향한 강력한 경고 위클리홍콩 19.10.15.
137 중국 2019년 한•중 우호주간 페스티벌 성공리에 개최 file 라이프매거진 19.10.30.
136 중국 중국 국유은행, 4분기 순이자마진 압박 가중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