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객들에게 동물 생명 윤리 경각심 환기

 

8.jpg

▲홍콩과학박물관의 디지털화면과 3D 기술을 이용한 가상수족관이 운영 중이다.(사진=scmp)

 

홍콩 과학 박물관은 멸종 위기에 놓인 고래와 돌고래를 디지털 화면과 3D 기술을 이용해 형상화해 방문객들이 실물과 동일한 동물들을 가까운 거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 전시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과학박물관과 홍콩 돌고래 보존 협회가 연계하여 주최한 특별 전시로 방문객들에게 야생 동물의 생명 윤리와 동물 보호 인식의 중요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19일(금), 홍콩 과학 박물관에서 부활절 연휴 기간 동안 디지털 화면을 통해 만든 가상 수족관에서 5가지 종류의 고래와 돌고래를 선보였다. 3D 실물크기의 고래와 돌고래들이 화면에서 나타나면서 방문객들은 야생현장을 가지 않더라도 포유동물과 상호 교류하고 공부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설치한 디지털 기술 개발 회사 라이트애니멀(LightAnimal)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설치 전시가 인공적인 사육 공간인 동물원과 수족관을 대체해서 궁극적으로 동물들이 야생에서 보존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번 홍콩 전시를 통해 해양 생물의 생명 윤리 중요성을 보여줌으로써 관람객들에게 해양 생물들이 멸종되지 않도록 보호해야한다는 경각심을 환기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한다. 이렇게 조금씩이나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물보호가들은 야생의 동물들을 인공 서식지인 동물원과 수족관에서 사육하는 것은 동물들에게 정신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라이트애니멀은 2006년에 설립된 이후 미국, 영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이러한 전시를 설치했지만 홍콩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홍콩 전시에서 멸종 위기에 놓여 야생에서조차도 만나보기 어려운 다양한 해양 생물들을 3D로 재현했다. 전시된 5종은 혹등고래, 범고래, 긴부리 돌고래, 인도 태평양 혹등고래 그리고 ‘기능적으로 멸종’된 양쯔강 돌고래 등이 전시된다. 특히 양쯔강 돌고래와 인도 태평양 혹등고래는 홍콩과 중국 양쯔강에서 서식하는 멸종 위기 동물로 이번 홍콩 전시를 위해 특별 제작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 프로젝트 인 삼협댐을 포함해 양쯔강 주변의 오염, 남획, 도시화 등 이유로 위기에 처해졌다. 양쯔강의 여신이라고 불리는 양쯔강 돌고래는 2002년에 마지막으로 관찰된 이후 오랜 시간동안 야생에서 발견되지 못하면서 2006년에 ‘기능적 멸종’으로 선언되었다. ‘기능적 멸종’ 동물이란 단 한 마리 혹은 몇몇 늙은 개체만 살아있을 뿐, 새로운 개체가 태어나지 않는 멸종 위기 동물을 말한다. 인도 태평양 혹등고래의 경우, 2017년 4월에서 2018년 3월 사이 단 47마리만이 관찰되어 역사상 최저 개체수로 집계되었다.

 

돌고래 보존 협회의 15명 회원과 자원 봉사자팀이 전시장에서 야생 동물들의 습성과 이들이 직면해 있는 위협에 대한 이야기를 해설할 예정이다.

라이트애니멀은 천장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방문객이 그래픽 화면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모니터링하고 제어실에서 동물들의 움직임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방문객이 돌고래 앞에서 제자리 돌기를 하면 화면 속 돌고래도 이에 대답하듯 똑같이 제자리 돌기를 한다.

 

돌고래 보존 협회는 “이번 전시가 관람객들에게 동물을 가둬서 사육하는 생명 윤리에 대한 생각을 시작할 수 있는 중요한 전시가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동물 생명 윤리에 대한 인식과 논쟁이 일찍이 논의되어왔지만 홍콩을 포함해 아시아에서는 동물 생명 윤리 인식이 높지 않았다. 우리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아이들에게 교육의 장소뿐만 아니라 인기 관광 명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싶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jpg (File Size:24.2KB/Download:4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73 홍콩 홍콩 사이버 범죄 10년간 6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1.05.04.
1072 홍콩 3명 중 1명 ‘올해 주택 가격 상승 기대’ 낙관적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1.05.04.
1071 홍콩 홍콩 럭셔리 부동산 임대료, 세계 1위 file 위클리홍콩 21.05.04.
1070 홍콩 경기 회복 전망에도 홍콩 고용시장 위축 file 위클리홍콩 21.05.04.
106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5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5.04.
1068 홍콩 홍콩 침사추이, 아시아태평양 쇼핑지구 중 가장 비싸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7 홍콩 대학가,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 성행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6 홍콩 Covid-19 여파에 출산율 저조…임신 미루는 홍콩 부부들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5 홍콩 홍콩 청소년 행복 지수, 2016년 이후 가장 낮아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4 홍콩 홍콩, 자산가 인구 밀도 전 세계 5위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3 홍콩 ‘금값’ 아파트, 공급량은 줄고 면적은 더 좁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2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5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061 홍콩 홍콩, 팬데믹에도 지난해 교내 괴롭힘 50%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60 홍콩 백신 안 맞은 직원 해고, 차별법에 위반될 수 있어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9 홍콩 홍콩, ‘경제적 자유’ 누리기 위해 400만 달러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8 홍콩 홍콩 은퇴자 생활비는 1만1500 달러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7 홍콩 지난해 장바구니 물가 1.9% ↑,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6 홍콩 부동산 시장 예상보다 빠른 반등, 1분기 거래량 79.2% ↑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5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054 홍콩 소셜 네트워크 잇따라 개인 정보 대량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