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친절한 관광 상업, 미소 짓기 캠페인으로 개선 첫 걸음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홍콩 관광 산업 피해 예상9.png

(사진=scmp)

 

홍콩 관광청은 홍콩의 택시, 상점, 식당 등의 악명 높은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관광 산업 종사자들에게 친절한 미소 짓기 캠페인 시행을 권장했다.

 

지난 달 홍콩 관광청의 새로운 위원장으로 취임한 팽 시우카이(Pang Yiu-kai) 위원장은 택시 운전자, 식당 종업원, 상점 판매원 등의 불친절한 서비스, 와이파이 및 통신사 서비스 부문 등이 관광객들의 가장 큰 불만사항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팽 시우카이 위원장은 “물론 불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 및 택시는 극히 일부이다. 그러나 주변 도시와 국가들과의 관광 산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서비스 개선이 시급하며 그 첫 걸음으로 관광객들에게 웃음을 짓는 미소 캠페인을 시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팽 시우카이 위원장은 “미소 짓는 것이 돈이 들거나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못할 일이 없다. 친절한 웃음을 많이 지을수록 관광객들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져 더 많은 팁을 받을 것이고 이것이 소득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팽 시우카이 위원장은 최근 미중 무역전쟁 격화를 이유로 홍콩의 관광산업의 서비스 향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만약 홍콩이 서비스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다른 주변 관광 도시에게 밀릴 것이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이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어 홍콩 경제 및 기타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출장 여행객 수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홍콩 전체 방문객 중 미국인이 4번째로 가장 많다. 안토니 라우 춘킷(Anthony Lau Chun-kit) 전 사무총장은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홍콩을 방문하는 출장 여행객 수가 과거 2001년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Enron) 파산 때의 수준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관광객들은 홍콩의 편리한 대중교통 시설, 빠른 입국 절차, 다양한 관광명소 등에 대하여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 시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의견도 많았다.

 

관광청은 서비스 품질 향상과 함께 관광객 다원화, 관광객 평균 여행비용 증가 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해외 관광객들에게 홍콩 여행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아시아 최초로 구글과 손을 잡아 홈페이지와 모바일 어플을 전면 개편 중에 있다. 구글에 홍콩을 검색하면 자동적으로 홍콩의 최신 행사, 이벤트 등 정보가 함께 검색된다. 구글이 아시아 지역 중 한 국가 또는 지역의 관광청과 파트너쉽을 체결해 서비스를 한 것이 이번이 최초이다.

 

작년 홍콩 전체 관광객 수는 6,510만 명이었으며 이 중 중국인을 제외한 해외 관광객은 1,400만 명이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408.9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 홍콩 홍콩 정부, 백신 부작용 고위험자 접종 세부 지침 발표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2 홍콩 올해 홍콩 고용 시장 여전히 ‘꽁꽁’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1 홍콩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 240만 명→370만 명으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0 홍콩 中 백신 여권 도입, 홍콩과 국경 개방 기대 높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9 홍콩 IT 업계 ‘홍콩 IT 전문인력 부족’ 경고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8 홍콩 홍콩 보험업 매출, 전년 대비 22.8%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6 홍콩 홍콩 ‘국제금융센터지수’ 4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5 홍콩 소매점 공실률 하락... 시장 안정화 조짐 보여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4 홍콩 의료계, 백신 접종률 높이기 위한 '당근책'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3 홍콩 반복된 등교와 휴교, 홍콩 학생 ‘성적, 신체·정신 건강' 나빠져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2 홍콩 국제 비즈니스 업계, 강도 높은 방역 정책에 불만 쏟아내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1 홍콩 고학력 인재 유출로 홍콩 인력난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9 홍콩 Covid-19 이후 결혼식 서비스 민원 폭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8 홍콩 홍콩 주식거래세 0.1%→0.13%, 증시 ‘호재 vs 악재’ 전망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7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홍콩 자본 캐나다로 대거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6 홍콩 COVID-19 영향으로 홍콩 내 자전거 판매량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5 홍콩 홍콩 중소기업 신뢰 지수 사상 최악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4 홍콩 中 경제 회복에 홍콩 수출입 성장 ‘청신호’ file 위클리홍콩 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