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 전체 아파트’ 임대차 허용으로 매칭이 더 쉬워

 

정부보조아파트를 10년 이상 소유한 소유주는 공립아파트 입주 3년 이상 대기자에게 임대할 수 있게 된다.

 

3.png

▲홍콩주택 조합의 계획은 보조금을 받는 평평한 주인이 가난한 가족에게 여분의 방을 임대하도록 허용합니다. 사진 : 펠릭스 웡

 

정부는 열악한 환경에서 거주하면서 공립 아파트 입주 대기 중인 저소득층 홍콩 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의 하우징 소사이어티(Housing Society) 제도를 더욱 유연하게 변경된다. 약 40만 명의 정부 보조 아파트 소유주들이 저소득층들에게 임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하우징 소사이어티 제도는 정부 보조 아파트를 10년 이상 소유한 소유주가 3년 이상 공립 아파트 입주 대기 중인 저소득층에게 여분의 방을 임대할 수 있는 제도였다. 그러나 홍콩에서 2번째로 큰 공립 아파트 공급업체와 함께 작년 9월에 제도가 시행된 이래 단 13명의 정부 보조 아파트 소유주가 신청했으며 그마저도 공동생활 조건 불일치로 인하여 성사되지 않았다.

 

그러나 소식통에 따르면, 하우징 소사이어티 제도를 여분의 방을 임대하는 조건에서 전체 아파트를 임대하는 것으로 허용하면서 NGO 단체가 심사와 절차를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정부 보조 주택 위원회는 6월부터 변경된 제도가 시행하는 것으로 논의 중에 있다. 소식통은 “이번 제도 변경으로 아파트 소유주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부여돼 더욱 매력적인 제도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하우징 소사이어티는 교통 및 주택 관리부에 관련 제도의 권고안을 제출했으며 해당 제도를 홍콩 최대 공립 아파트 공급업체의 40만 개 정부 보조 아파트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3월 말 기준, 공립 아파트 입주 신청서가 약 25만 건에 달했으며 신청자는 평균 약 5년 반 이상 대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보조 아파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장가격의 3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 보조 아파트 소유주는 토지 프리미엄을 완불하지 않지 않으면 아파트를 임대 또는 판매할 수 없다. 토지 프리미엄 금액은 시장 인플레이션에 따라 변동되며 최근 몇 년 간 부동산 시장가의 약 30%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토지 프리미엄이 너무 높다는 원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우징 소사이어티는 현재 아파트 소유자의 신청서 13건 중 5건을 승인했으며 입주 희망자 신청서 53건 중 22건을 승인했다고 전했다며 올해 중순에 개정된 제도가 도입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보조 주택 위원회는 이번 달 초에 이번 제도 변경 계획에 대하여 승인한 상태이며 NGO 단체의 참여 또한 매우 환영한다고 말했다. 입주자가 아파트를 상업적으로 전대할지에 대한 확인 절차가 어려운데 NGO 단체의 도움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는 가정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보장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아직까지는 승인된 적합한 아파트 수가 적기 때문에 기존의 아파트 의무 조사 기준을 따를지에 대하여 합의를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NGO 단체인 SCO(Society for Community Organization)는 이번 제도 동참에 관심있다고 말하며 “수많은 홍콩인들이 타인과 한 아파트를 공유한다는 것에 익숙해하지 않는다. 이번에 개선된 제도가 더 많은 유연성을 부여해 아파트 소유주와 세입자 매칭이 더욱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729.1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 홍콩 홍콩 정부, 백신 부작용 고위험자 접종 세부 지침 발표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2 홍콩 올해 홍콩 고용 시장 여전히 ‘꽁꽁’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1 홍콩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 240만 명→370만 명으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0 홍콩 中 백신 여권 도입, 홍콩과 국경 개방 기대 높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9 홍콩 IT 업계 ‘홍콩 IT 전문인력 부족’ 경고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8 홍콩 홍콩 보험업 매출, 전년 대비 22.8%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6 홍콩 홍콩 ‘국제금융센터지수’ 4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5 홍콩 소매점 공실률 하락... 시장 안정화 조짐 보여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4 홍콩 의료계, 백신 접종률 높이기 위한 '당근책'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3 홍콩 반복된 등교와 휴교, 홍콩 학생 ‘성적, 신체·정신 건강' 나빠져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2 홍콩 국제 비즈니스 업계, 강도 높은 방역 정책에 불만 쏟아내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1 홍콩 고학력 인재 유출로 홍콩 인력난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9 홍콩 Covid-19 이후 결혼식 서비스 민원 폭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8 홍콩 홍콩 주식거래세 0.1%→0.13%, 증시 ‘호재 vs 악재’ 전망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7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홍콩 자본 캐나다로 대거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6 홍콩 COVID-19 영향으로 홍콩 내 자전거 판매량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5 홍콩 홍콩 중소기업 신뢰 지수 사상 최악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4 홍콩 中 경제 회복에 홍콩 수출입 성장 ‘청신호’ file 위클리홍콩 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