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물류·재수출 ‘빨간불’, IT·금융 서비스 ‘초록불’

 

9.png

(사진=scmp)

 

헤드헌팅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이 추가 관세 발표로 미중 무역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홍콩의 고용시장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조, 물류, 재수출 등 산업은 두 나라의 미중 무역전쟁이 ‘휴전 국면’에 접어들지 않는 이상 지속적인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IT, 금융 산업은 정부의 지원과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 투자에 힘입어 다행히 안정적인 일자리 공급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PMG 차이나는 “현재 대부분 회사들이 대규모 신규 채용 등 투자 계획에 매우 신중한 상황이다. 그러나 남은 2019년 기간 고용 시장 전망이 밝은 편이다”고 말했다. 배런 앤 컴퍼니(Barons & Company) 또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하여 아직까진 채용 규모 축소 현상이 눈에 띠지 않지만 긴장감이 장기화가 된다면 분면 인원 조정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홍콩의 실업률 또한 아직까지 최근 10년 최저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수출 산업 중 일부만이 관세 영향으로 인한 타격을 받았고 기타 산업은 안정적인 편이기 때문이다. 트리코 그룹(Tricor Group)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통한 물류 및 화물 운송 산업은 이미 추가 관세 부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산업 중 하나이다. 홍콩과 중국 본토 전체 무역 산업과 공급망이 타격을 입으면서 채용 계획을 조정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로버트 하프 홍콩(Robert Half Hong Kong)는 만약 무역전쟁 분쟁이 단기간 안에 해결되지 않는다면, 회사들은 불확실한 전망으로 정직원이 아닌 계약직 등 임시 직원 채용을 늘릴 것이다. 또한 재정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직원 급여와 보너스를 동결하는 등 재정 긴축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로버트 하프 홍콩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회사들은 경제적 불안정 속에서 단기적으로 추가 채용을 보류하는 경향이 있다. 당분간은 인원 증가보다는 기존 인력 교체를 위주로 새로운 채용이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무역전쟁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 금융 서비스 산업은 꾸준히 경력직 채용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산업은 중국 정부의 야심찬 중국판 실리콘밸리인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로 인한 대규모 지원과 수혜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트리코 그룹은 “홍콩은 디지털 전환기와 대만구 지역 개발로 인하여 사업 확장, 전략 자문, IT, 기술 등 분야의 경력직 전문가 인재 채용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웨강아오 대만구 지역 개발로 홍콩의 경력직 전문가, 임원급 인재들에게 더 많은 취업의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16일(목)에 발표된 KPMG 중국 취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약 500명의 임원급 인재 중 50%가 홍콩 이외에 웨강아오 대만구 지역의 다른 도시로 취업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638.2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 홍콩 홍콩 정부, 백신 부작용 고위험자 접종 세부 지침 발표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2 홍콩 올해 홍콩 고용 시장 여전히 ‘꽁꽁’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1 홍콩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 240만 명→370만 명으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50 홍콩 中 백신 여권 도입, 홍콩과 국경 개방 기대 높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9 홍콩 IT 업계 ‘홍콩 IT 전문인력 부족’ 경고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8 홍콩 홍콩 보험업 매출, 전년 대비 22.8%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3.16.
34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6 홍콩 홍콩 ‘국제금융센터지수’ 4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5 홍콩 소매점 공실률 하락... 시장 안정화 조짐 보여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4 홍콩 의료계, 백신 접종률 높이기 위한 '당근책'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3 홍콩 반복된 등교와 휴교, 홍콩 학생 ‘성적, 신체·정신 건강' 나빠져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2 홍콩 국제 비즈니스 업계, 강도 높은 방역 정책에 불만 쏟아내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1 홍콩 고학력 인재 유출로 홍콩 인력난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1.03.23.
34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9 홍콩 Covid-19 이후 결혼식 서비스 민원 폭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8 홍콩 홍콩 주식거래세 0.1%→0.13%, 증시 ‘호재 vs 악재’ 전망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7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홍콩 자본 캐나다로 대거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6 홍콩 COVID-19 영향으로 홍콩 내 자전거 판매량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5 홍콩 홍콩 중소기업 신뢰 지수 사상 최악 file 위클리홍콩 21.03.30.
334 홍콩 中 경제 회복에 홍콩 수출입 성장 ‘청신호’ file 위클리홍콩 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