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럭셔리 제품 부진 – 뷰티·건강보조 제품 완만한 성장

 

2.jpg

▲ 회계법인 PwC는 홍콩 소매 판매가 2019 년 전체 5%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회계법인 PwC에 따르면, 경제 불확실성의 증가와 중국 본토 관광객 수 감소로 인하여 홍콩 5월 소매 판매 규모가 5% 하락한 4,600억 홍콩 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1분기 소매 판매가 작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결과에 따라 5월 소매 판매 성장률을 3% 감소로 전망했지만 PwC는 이보다 낮은 5%로 예측했다.

 

PwC 아태 소비자 시장의 마이클 챙(Michael Cheng) 전문가는 “현재진행형인 미중 무역전쟁, 주식 시장 둔화, 중국 위안화 변동성 등이 소비자 심리와 이들의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소매 판매는 일반적으로 경제성과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 5월 정부는 데이터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이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미치면서 홍콩 경제 성장 둔화를 야기하고 있음을 보였다.

 

2월 소매 판매가 10.1% 감소했으며 이는 3년 반이래 최악의 하락폭이다.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의 경우, 2009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인 0.6% 성장을 보였다. 한편, 민간소비지출은 약 3년래 최저 수준인 0.2%로 집계되는 등 최악의 경제성과를 보였다.

 

마이클 챙 전문가는 최근 정치 및 사회적 불안정, 보수 공사로 인한 피크 트램 운영 중단, 새로운 관광명소 개발 부족 등 복합적 요인들이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홍콩 여행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 관광객이 전체 홍콩 방문 관광객의 약 80%에 달하기 때문에 2월 이후 3개월 연속 중국 본토 관광객 수가 하락하면서 소매업자들의 주름살이 깊어만 간다.

 

반면 작년의 경우, 9월 홍콩-광저우 고속열차 개통과 10월 웨강아오 해상 육교 개통 등으로 중국과 홍콩을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들이 운행되면서 최고 관광객 수를 기록했다. 작년 중국 본토 관광객 수만 총 5,100만 명에 달했다.

 

특히 전자제품과 럭셔리 상품의 판매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해 전 제품 분야 중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보조 제품, 뷰티 제품과 같은 소비재들은 완만한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동산 서비스 업체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관리와 미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화장품과 건강 보조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소비를 이끌고 있는 제품등과 같은 소비재들이다. 또한 해당 제품들은 전자제품과 럭셔리 제품과 비교했을 때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홍콩을 방문하는 당일치기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소비를 끌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당일치기 중국 본토 관광객 수는 1,180만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같은 기간 전체 중국 관광객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2.jpg (File Size:379.3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3 홍콩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미중 관계 재편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1.01.26.
392 홍콩 야침몽 집단 감염, 남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 붉어져 file 위클리홍콩 21.01.26.
391 홍콩 올해 소비자 트렌드 ‘재택근무’, 일상생활 전면에 영향 미쳐 file 위클리홍콩 21.01.26.
390 홍콩 팬데믹 이후 가족 갈등 심화…이혼 부부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1.26.
389 홍콩 팬데믹에 불 꺼진 영화관, 지난해 극장 매출 72%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1.26.
388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7 홍콩 범죄의 온상 ‘선불 심카드’ 실명제 입법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6 홍콩 서비스 아파트 임대료, 7분기 연속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5 홍콩 지난해 홍콩 사망자 수, 출생아 수 처음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4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 93위→58위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3 홍콩 홍콩 기업 5개 중 1개, ‘1분기 사업 전망 악화’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2 홍콩 홍콩 신생 항공사, 100여 개 노선운항권 신청 file 위클리홍콩 21.02.02.
38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80 홍콩 공립 병원 인력난, ‘해외 의사에 대한 요건 완화’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9 홍콩 새로운 트렌드 재택근무, 외곽섬으로 이사하려는 사람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8 홍콩 팬데믹에 지난해 소비자 불만 3만 건 훌쩍…26%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7 홍콩 춘절 꽃 축제 특수 잃은 꽃 상인 ‘울상’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6 홍콩 홍콩 은행권 실적 2008년 이후 최악…세전 이익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5 홍콩 전교생 조건부 등교 허용 조치, 교육계 불만 쏟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2.09.
374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