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들 ‘심사 지연·제한된 정책·부족한 재정적 지원 등 지적’

 

4.jpg

▲ 튠문(Tuen Mun) 집에 있는 난민 나우 만 무하마드 라샤드

 

비영리조직들은 정부가 홍콩에 머물고 있는 수많은 망명 신청자들의 망명 심사가 지연되고 있으며 제한된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이들을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의 눈부신 경제 발전과 강력한 인권 보호 제도로 수많은 망명 신청자들이 홍콩을 망명지로 선택하고 있다. 이민국에 따르면, 2018년 망명 신청자가 약 14,000명에 달했으며 절반 이상의 심사가 여전히 지연되고 있다. 이 중 1,600명은 망명 거부로 본국 송환 위기에 놓여있다. 홍콩은 유엔 난민 협약 서명국이 아니므로 망명을 의무적으로 허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홍콩은 망명자를 박해가 우려되는 국가로 송환해서는 안 된다는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인 농르풀망 원칙(Non-Refoulement)을 따르고 있다. 2018년 2월 기준, 약 5천 명의 망명 신청자들의 농르풀망 신청을 했다. 만약 이민국이 이들의 신청을 거부하면 이들은 박해 항소 위원회, 항소 법원, 고등 항고 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 홍콩 이민국과 법원은 이들이 불법 취업을 위한 위장 난민인지 실제로 핍박과 박해로 홍콩에 온 자인지에 대한 심사를 수년 간 진행한다. 만약 신청이 받아들여진 망명자들은 난민으로 인정되어 제 3국에 정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민국 통계에 따르면, 2009년 ~ 2019년 기간 21,285건의 농르풀망 신청 중 1%도 채 안 되는 160건만이 성공할 정도로 농르풀망 신청 승률이 상당히 낮다. 농르풀망 신청이 거부된 신청자는 본국으로 송환조치가 된다. 설령 난민으로 인정받았더라도 홍콩의 난민들을 받아줄 국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들이 제 3국에 재정착하는 데까지는 수년이 걸린다.

 

2001년 홍콩에 온 파키스탄인 존씨는 농르풀망 신청이 두 차례나 거부되어 현재 3번째 항소하고 있다. 6인 가족인 존씨는 매달 정부 보조금으로 16,200 홍콩 달러를 받고 있다. 여기에는 음식, 주택, 공과금, 교통비 등이 포함된다. 이 중 교통 보조금만 현금으로 지급되고 나머지는 쿠폰으로 지급받는다. 이들은 아직 난민 인정이 안 되었기 때문에 일을 할 수 없고 오직 정부가 제공하는 쿠폰으로만 생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존씨는 “18년 동안 홍콩에서 살면서 여전히 불법 체류자 신분이다. 우리 가족에게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2004년 아프리카 동부에서 망명해 홍콩에 온 마틴씨는 5일 만에 난민 인정을 받은 흔치 않는 사례이다. 그러나 이후 9년 동안 재정착되지 못하고 계속 홍콩에 대기 중에 있다. 그는 본국에서 14년 간 변호사로 일했지만 홍콩에서 어떠한 일도 못하고 오직 사회복지 보조금에 의존해야 한다. 그는 자신이 쓸모없는 인간이 된 것 같고 존엄성을 잃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2013년부터 자신이 도움을 받았던 난민 지원 센터에서 코디네이터로 근무하고 있으며 정부의 보조금 지원을 스스로 중단했다. 그는 “일을 하면서 잃어 버렸던 존엄성을 다시 되찾았다. 뭘 입고 먹을 것인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비정부기구와 의원들은 망명 심사에 대한 행정적 지연, 생활 개선을 촉구했다. 이들이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일을 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이사벨라 응(Isabella Ng) 의원은 망명 신청자들의 생활을 개선이 시급하며 인도주의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행 정책은 난민들이 홍콩에 오는 것을 억제하고 이미 홍콩에 와 있는 난민들의 재정적 지원을 제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사실 망명 신청자 중 상당수가 고등 교육을 받고 기술을 가진 자들이 많다며 방문 노인 복지 시설과 같은 인력이 부족한 특정 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jpg (File Size:233.5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2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1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0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9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8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7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6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5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4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2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1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0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9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8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7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6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5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4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