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 117% 인상, 반면 주가 28% 상승

 

7.png

▲ 고액 연봉 홍콩기업 CEO 리스트: 홍콩기업 대표들의 평균 연봉금액이 117% 상승했다. (사진=scmp)

 

인적 자원 데이터 기업분석(Comptify Analytics)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홍콩 상장기업 수장들은 기업 주식 가치에 비해 연봉이 빠르게 인상했다고 전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142개 홍콩 기업 대표들의 평균 연봉 패키지 금액이 117% 상승해 총 최소 250억 홍콩 달러에 달하는 반면 이들의 주식 가격은 같은 기간 평균 28% 상승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홍콩 기업의 CEO들은 뉴욕, 런던 등 도시에 비해 연봉 패키지가 낮은 편이다. 뉴욕, 런던 등에 상장된 상위 기업들은 홍콩의 기업보다 다국적이고 규모가 큰 기업들이 많고 이러한 요소들이 CEO의 연봉을 책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홍콩 시장 가치에 따라 이들의 연봉이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인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 임원들은 기본금, 보너스, 스톡옵션, 인센티브 등으로 구성된 임금 패키지를 받고 있으며 회사는 최고 인재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해 최고의 연봉 패키지를 제공한다.

 

홍콩 대형 기업 CEO의 연 평균 연봉은 1,550만 홍콩 달러로, 25억 홍콩 달러 ~ 100억 홍콩 달러 기업 가치를 지닌 중형 기업의 평균 연봉은 600만 홍콩 달러이며, 소형 기업의 경우 연 380만 홍콩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까지 홍콩 대기업 CEO들의 임금이 43% 인상된 반면 중급 경영진과 전문가의 경우 1.2% 인상되었다. 한편 대기업 CEO의 평균 연봉이 2017년 1천 3,560만 홍콩 달러에서 2018년 1억 5,500만 홍콩 달러로 14%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같은 기간 CFO와 이사급 임원들의 연봉은 0.5% 인상되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텐센트 홀딩스(Tencent Holdings)의 마틴 라우 치핑(Martin Lau Chi Ping) CEO는 홍콩 상장 기업 중 가장 고액의 연봉으로 지난 2014년 연봉에서 4배 증가한 3억 5564만 홍콩 달러를 받았다. 반면 텐센트 홀딩스 주식 가치는 같은 기간 186% 상승했다. 텐센트 홀딩스는 중국 최대 게임 퍼블리셔이자 소셜 네트워크 운영업체로, 2016년 CEO 임금은 애플, 아마존, IBM를 훌쩍 넘어섰다.

 

CK 허치슨 홀딩스(CK Hutchison Holdings)의 캐닝 폭 킨닝(Canning Fok Kin Ning) CEO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기록적인 연봉 수준으로 ‘직원의 왕’으로 불렸지만 2016년 연봉 1위 자리를 내줬다. 2018년 2억 2,630만 홍콩 달러의 연봉을 받아 홍콩에서 3번째로 높은 연봉을 받는 CEO로 나타났다. 반면 CK 허치슨의 주식 가격은 지난 5년 동안 47.5% 하락했다.

 

레보노(Lenovo) 양 위엔칭(Yang Yuanching) CEO는 2009년 CEO직을 수행한 이래 평균 1억 2천만 홍콩 달러를 연봉 패키지를 받았다. 반면 레노보 주식 가격은 지난 5년 간 주당 10 홍콩 달러에서 6.40 홍콩 달러로 하락했다.

 

중국 제 2 부동산 개발업체인 중국 헝다(China Evergrande)에서 11년째 CEO로 수행하고 있는 시아 화이준(Cia Xin Haijun)은 연봉이 20% 줄어든 것으로 보고됐지만 여전히 홍콩 고액 연봉 CEO 상위 5위에 들고 있다. 최근 1억 5,500만 홍콩 달러에 달하는 틴하우의 더 파빌라 힐(The Pavilia Hill) 팬트하우스를 매입한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607.8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3 홍콩 ‘빛 잃은’ 홍콩 럭셔리 시장... 단기간 관광업 회복 불가능해 file 위클리홍콩 20.11.24.
452 홍콩 Covid-19에도 홍콩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살기 비싼 도시’ file 위클리홍콩 20.11.24.
451 홍콩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자리 위협하는 로봇 file 위클리홍콩 20.11.24.
45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9 홍콩 홍콩 사무소 둔 외국계 기업, 10년 만에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8 홍콩 상업 부동산, 이중 인지세(DSD) 제도 폐지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7 홍콩 QS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 대학교들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6 홍콩 깨끗해진 바다와 공기…Covid-19의 역설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5 홍콩 홍콩, ‘외국인이 살기 좋은 도시’ 하위 10위권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4 홍콩 안전 점검 미이행 노후 건물, 후속 조치 제때 안 돼 file 위클리홍콩 20.12.01.
44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42 홍콩 ‘리브홈세이프’ 앱, 개인정보 침해 걱정 해소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41 홍콩 Covid-19 백신 접종 시작한 세계 각국, 홍콩은 ‘내년 중 백신 공급’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40 홍콩 MPF 회원당 HKD22만5천 저축.... 은퇴생활 턱없이 모자라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39 홍콩 홍콩 기업 72%, 2년 후에 Covid-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38 홍콩 부유층 투자자, 지속가능투자(ESG)에 관심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37 홍콩 홍콩 돼지고기 가격, 점차 안정화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12.08.
43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15.
435 홍콩 홍콩 정부 자문 의료진 ‘대체로 선정된 백신 찬성해’ file 위클리홍콩 20.12.15.
434 홍콩 내년에도 부동산 회복 쉽지 않다 file 위클리홍콩 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