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장시간 조리 시, 아크릴아미드 생성

 

5.png

(사진=scmp)

 

홍콩 소비자위원회는 포테이토칩보다 야채칩의 발암 물질 함유량이 두 배 이상 검출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밝히며, 인체에 더 건강할 것이라는 야채칩에 대한 편견을 뒤집었다.

 

소비자위원회는 유럽 10개국의 소비자 권리 단체들이 포테이토칩, 야채칩, 비스킷, 빵, 유아 제품, 시리얼, 커피 등 식품의 아크릴아미드 함유량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각 식품 유형에 따라, 적게는 6종, 많게는 107종에 달하는 샘플을 선출하였다. 포테이토칩의 경우, 샘플 104종의 평균 아크릴아미드 함유량은 457mcg/kg으로 나타난 반면 야채칩의 샘플 27종의 평균 아크릴 함유량을 1,121mcg/kg으로, 포테이토칩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특히 일부 야채칩 샘플 중 아크릴아미드 함유량이 가장 높은 두 종은 각각 3,000mcg/kg과 4,900mcg/kg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튀기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크릴아미드 등 유기 화학 물질은 심장질환을 유발하여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인다. 1994년, 국제암연구기구(IARC)가 아크릴아미드를 ’인간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지정했다. 2003년, 홍콩 식품 및 환경 위생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칩이나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의 아크릴아미드 함유량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크릴아미드는 전분(녹말)질이 많은 식품을 120℃ 이상 고온의 기름에서 장시간 조리할 경우 생성되는 화학물질이다.

 

2017년, 유럽 연합(EU)이 아크릴아미드의 식품 함유량을 처음 법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했다.유럽 연합의 포테이토칩 아크릴아미드 함유량 권고 수치는 750mcg/kg이다. 반면 유아용 식품은 40mcg/kg에 불과하다.

 

소비자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야채가 몸에 건강한 식재료라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야채를 튀기거나 구울 때, 감자보다 더 많은 양의 발암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들이 야채 칩을 섭취할 때 주의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소비자위원회는 야채칩 샘플의 브랜드와 종류에 대하여 밝히지 않았다. 위원회는 “동일 브랜드여도 제조업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유럽 연합 연구에 사용된 일부 샘플들은 홍콩에 공급되지 않거나 사용된 레시피가 다르기 때문에 홍콩 현지 사정과 상이할 수 있지만, 우리가 참고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결과이다. 해당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발암 물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소비자위원회는 소비자위원회의 월간 매거진인 초이스 매거진(Choice Magazine)에 관련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실었다.

 

소비자위원회는 홍콩 정부 당국에 식품 내 발암 물질에 대한 국제 연구를 면밀히 조사하여 유럽 연합 수준의 안전 규정을 수립해 적용할 것을 촉구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710.7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3 홍콩 Covid-19 확산에 전 세계 미술업계도 시름 file 위클리홍콩 20.09.15.
512 홍콩 중추절 명절 분위기 가라앉아…월병 수요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0.09.15.
51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10 홍콩 겨울 앞두고 코비드19 재확산 가능성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9 홍콩 신선 제품 가게 호황… 소매 업종별 양극화 심화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8 홍콩 정부 보조 유치원 46%, 학비 인상…대부분 10% 미만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7 홍콩 홍콩 학교, 정치 불안·Covid-19로 자퇴 학생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6 홍콩 Covid-19 사태 이후, 우버 운전사 오히려 늘어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5 홍콩 마카오, 中 여행 완화에 다가오는 국경절 연휴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09.22.
504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0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28.
503 홍콩 1천만 홍콩달러 이상 홍콩 자산가, 작년보다 22%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09.28.
502 홍콩 증권 사기 5건 중 1건, 소셜미디어에서 행해져 file 위클리홍콩 20.09.28.
501 홍콩 2011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조정 합의 처음 실패 file 위클리홍콩 20.09.28.
500 홍콩 아파트 700여 채 분양, 1년여 만에 분양 시장 ‘북적’ file 위클리홍콩 20.09.28.
499 홍콩 사립·준사립학교 5곳 중 1곳, 2020/21학년도 학비 인상 file 위클리홍콩 20.09.28.
498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0월 3주차) 위클리홍콩 20.10.13.
497 홍콩 MPF, HK$ 1조 돌파, 역사상 처음 file 위클리홍콩 20.10.13.
496 홍콩 전문가 ‘여행 제한 완화 없이 단기간 부동산 시장 회복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10.13.
495 홍콩 예비 엄마, 법정 출산 휴가 10주→14주 연장 file 위클리홍콩 20.10.13.
494 홍콩 ‘트윈데믹(twindemic)’ 우려에 독감 백신 접종 행렬 이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