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대중버스, 정부시설 임차인 보조 예정

 1.png

(사진=scmp)

 

유례없는 정치 위기와 미중 무역 전쟁으로 홍콩 정부는 22일(화) 택시 및 상업 차량과 정부 시설 임차인들에 대하여 총 20억 홍콩 달러 상당의 구제책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8월 191억 홍콩 달러, 9월 14억 홍콩 달러 구제책 이후 3번째이며 정부는 이번 구제책이 최근 시정연설에서 발표한 정책들과 함께 홍콩 경제 성장 2% 상승을 기대했다.

 

폴 찬 모포 재무장관은 “이번 구제책으로 홍콩 정부는 재정 적자를 볼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타격 받은 여러 산업들이 어려운 경제 침체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이 될 것이다. 부동산 소유주들과 임대인들도 어려운 경제 시기인 만큼 소매업, 요식업, 관광업, 물류업 임차인들에게 임대료를 인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의 구제책의 일환으로, 홍콩 전역 약 13만 택시 및 상업 차량 운전자들은 13억 5천 홍콩 달러 상당의 유류비 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택시 및 적색 미니버스 운전자에게 LPG 1리터 당 1 홍콩 달러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택시산업개발협회는 택시 운전자들은 이번 구제책으로 평균 월 1,200 홍콩 달러의 보조를 받을 것으로 추정했다. 택시 운전자 리(Lee)씨는 “시위가 진행된 이후 외출하는 사람들이 줄어들면서 수익이 20% 감소했다. 정부의 보조로 한 달의 약 1,100 홍콩 달러의 유류비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버스, 녹색 미니버스, 트램, 페리 등 대중교통의 유류비를 향후 6개월 동안 3분의 1를 보조하며 상업용 버스차량에 대하여 일회성 보조로 5천 홍콩 달러를 지급할 예정이다. 녹색 미니버스 운전자 퀑(Kwong)씨는 “한 달의 약 3천 홍콩 달러 상당 보조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버스 운전자들은 고정 월급으로 돈을 지불받기 때문에 버스 회사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받게 된다”고 말했다.

KMB, 롱윈(Long Win Bus), 뉴 월드 퍼스트(New World First Bus), 시티버스(Citybus), 홍콩 트램 등은 시위로 인한 수익 감소로 정부의 구제책이 회사 재정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정부의 발표에 환영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공원 매점 등 정부 시설의 임차인들에게 임대료를 인하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료 인하로 정부는 총 6억 홍콩 달러 상당의 수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2019년 1월부터 8월 기간의 홍콩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으며 올해 상반기 경제 성장률은 전년 동기대비 0.5%에 불과하다.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과 함께 9월 실업률 또한 2.9%를 기록해 2018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 6월 시위가 시작된 이후 관광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으며, 최신 통계에 따르면 9월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40% 하락, 8월 30% 하락했다. 홍콩 정부는 홍콩이 기술적 경기 침체 길로 들어섰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png (File Size:635.1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3 홍콩 홍콩, 코백스 가입…Covid-19 백신 확보에 뛰어들어 file 위클리홍콩 20.09.08.
852 홍콩 THE 세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엇갈린 성적표’ file 위클리홍콩 20.09.08.
851 홍콩 홍콩 ‘글로벌 혁신 지수’ 2단계 올라 11위에 안착 file 위클리홍콩 20.09.08.
850 홍콩 8월 부동산 거래, 4월 이후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9.08.
84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08.
848 홍콩 Covid-19 장기화로 스포츠 업계도 비상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7 홍콩 지난 7월, 기상청 기록 시작 이래 가장 더워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6 홍콩 국제학교, ESS 보조금 1.8억 홍콩달러 지급받아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5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 2019년 실수령 급여 아시아에서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4 홍콩 미드랜드 홀딩스, 상반기 적자 기록…2016년 이후 최악의 성적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3 홍콩 홍콩 기업 82%, Covid-19 이후에도 재택근무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2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9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9.01.
841 홍콩 바이러스 감염 우려에 헌혈자 발길 끊기자 ‘헌혈 동참 호소’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40 홍콩 7월 실업률 6.1%, 상승세 꺾였지만 아직 안심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9 홍콩 상업 부동산, 담보인정비율 40% → 50%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8 홍콩 중소기업 42%, 정부 지원 없이 6개월 이상 생존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7 홍콩 비자 지연에 홍콩 취업 예정 외국인 ‘골머리 앓아’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6 홍콩 고급 부동산 자산 처분하는 중국인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5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25.
834 홍콩 올해 대학 합격률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