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개체수 조절·관리 전략 실패 지적

 6.png

(사진=scmp)

 

지난 5년 간 야생동물 관련 불만 신고가 75% 증가하면서 감사위원회는 정부의 야생동물 개체수 조절 및 관리 전략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2018년에서 2019년까지 홍콩 농림수산부(AFCD)에 접수된 야생동물 불만 신고는 2,012건으로 그중 절반 가까이는 야생 멧돼지 관련 불만 신고였다. 원숭이와 야생 새가 각각 29%와 23%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2014년 ~ 2015년 기간에 접수된 야생동물 불만 신고는 1,147건이었으며, 2017년 ~ 2018년에는 1,663건이 접수되었으며 대부분은 야생동물의 소음, 위생 및 안전 관련 신고였다.

 

감사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AFCD로부터 위임받은 계약업체들이 개체수 관리 및 백신 효과 모니터링을 위해 야생 원숭이와 멧돼지를 포획하는데 난항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숭이 개체수 관리 업체 보고에 따르면, 원숭이들이 포획 틀에 매우 익숙해지면서 덫에 잘 걸려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홍콩 내 원숭이 개체수는 2015년 1월 1,728마리에서 2019년 5월 1,957마리로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숭이 포획 틀은 2015년 24개에서 2019년 5월 32개로 증가했지만, 덫에 걸려든 원숭이 수는 오히려 59%나 줄어들었다.

 

야생 멧돼지의 경우, 멧돼지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설치된 목걸이형 GPS가 멧돼지의 목과 머리 형태 때문에 떨어져나갔다고 전했다. 멧돼지 개체수를 통제하기 위해 실시된 피임백신 접종 프로그램이 2017년 10월부터 실시되어 올해 10월에 결과에 대한 보고가 예정이었으나, 멧돼지가 잡히지 않으면서 샘플 부족으로 지연되었다. 계약업체는 멧돼지 목에 걸린 GPS 목걸이가 떨어져나가면서 백신을 맞은 64마리 돼지 중 단 6마리밖에 잡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홍콩대의 환경관리프로그램의 책임자인 빌리 하우 치항(Billy Hau Chi-hang) 박사는 아직까지는 멧돼지 개체수가 증가했다는 명백한 증거자료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오히려 사람들이 야생 동물들에게 먹이를 주면서 동물들이 더 이상을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어 먹이 때문에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잦아졌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보통 먹이를 찾으러 채소밭으로 내려온 야생 멧돼지에 대한 시외 주민들의 신고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먹이사냥이 어려운 겨울철에 신고 건수가 제일 많았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은 연중 어느 때나 멧돼지에 대한 신고가 늘어났으며 주로 시내 주민들로부터 접수되었다. 지난 6월 한 여성이 캐네디타운역 내에서 야생 멧돼지의 공격을 받는 사건이 일어났었다. 이밖에도 야생 원숭이들이 먹이를 갈취하기 위해 주민들과 등산객들을 공격하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밖에도 감사위원회는 AFCD 공무원들이 야생동물 불만신고에 대한 대응에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불만신고에 답변과 조치가 오래 걸리고 현장 방문이 필요한 신고 사례 중 60% 이상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위원회는 AFCD가 신속하게 야생동물 개체수 통제 프로그램 범위를 확대할 것을 권고하는 동시에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도록 피임백신 접종에 주의할 것을 말했다. 또한 AFCD는 새로운 원숭이 포획 방법에 대하여 모색할 것을 말했다.

 

한편 빌리 하우 박사는 “야생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는 동물을 해칠 뿐 아니라 결국에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시민들에 대한 공공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798.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3 홍콩 기업, ‘신규 채용 계획’ 신중한 입장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72 홍콩 생선 통조림 중금속 검출…과도한 섭취 자제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71 홍콩 AS 왓슨스 그룹, 비접촉 결제 시스템 도입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70 홍콩 中, 해외 거주 자국민에 최대 45% 소득세율 적용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69 홍콩 홍콩무역발전협회, “美 ‘홍콩 특별지위 박탈“ 타격 미미하다”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68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5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7 홍콩 교육부 ‘단계적 개학 계획’ 재숙고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6 홍콩 기업인 28%, ‘3분기 사업 전망 악화’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5 홍콩 요식업 7월 매출, HK$ 30억 감소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4 홍콩 응답자 약 90%, ‘소득불균형’이 문제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3 홍콩 하버시티, 임대료 할인 앞세워 계약 연장 요구해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2 홍콩 북페어 취소, 온라인 할인 판매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7.28.
56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60 홍콩 홍콩 2분기 GDP –9%…4분기 연속 역성장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9 홍콩 6월 주택 가격 소폭 상승…작년 8월 이후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8 홍콩 가상은행 출범 6개월, 인지도 꾸준히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7 홍콩 젬마코리아, 이온수기 ‘젬무브 멀티이온아이저’ 출시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6 홍콩 HKT, 원격 진료 어플 DrGo 출시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5 홍콩 소매업, 포인트 적립 제도로 적극적인 민간 소비 유도 file 위클리홍콩 20.08.04.
554 홍콩 항공여행 수요 급감, 항공 산업 위기 절실히 반영 file 위클리홍콩 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