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업률 2.9%에서 3.1%로 상승

 

6.png

(사진=scmp)

 

시위가 6개월째 이어지면서 홍콩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크게 감소하자 직접적 타격을 받고 있는 관광, 소매, 요식업 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고 생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투어가이드로 인하는 차우칭(Chau Ching)씨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반정부 시위가 시작되면서 홍콩을 찾는 중국 본토 관광객들이 감소하면서 수입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투어가이드로 일해 온 차우칭씨는 한때는 월 2만 홍콩 달러를 벌 정도로 꽤 괜찮은 수입을 받았지만 8월부터 관광투어 한건도 맡지 못하면서 수입이 ‘제로’가 되었다. 그는 “투어가이드 일을 계속 하고 싶지만 언제 다시 정상적으로 일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광가이드 조 팡(Zoe Pang)씨도 별반 차이가 없다. 시위로 일어나기 전에는 일주일에 6일씩 근무하면서 최소 월 12,000만 홍콩 달러의 수입을 얻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 달에 3천 홍콩 달러 정도 겨우 벌고 있으며 10월부터 두 달 동안 10일 밖에 일을 하지 못했다.

 

차우칭과 조 팡씨는 홍콩 내 실업 및 불완전 고용 상태에 놓인 수만 명의 사람 중 하나일 뿐이다. 홍콩 3분기 실업률은 2분기 2.9%에서 3.1%로 상승했다. 반정부 시위로 인하여 특히 요식업과 관광 관련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으며 해당 산업의 실업률은 각각 6.1%와 5%로 상승했다.

 

최신 공식 통계에 따르면, 10월 홍콩 방문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43.7% 감소한 331만 명으로 최악의 수치를 보였다. 중국 관광객의 경우 45.9% 감소했다.

 

홍콩 투어에스코트 연합의 폴 라우(Paul Lau) 회장은 “홍콩에는 1만 명 이상의 투어가이드가 있다. 그러나 관광객이 크게 감소하면서 70% 이상의 투어가이드들이 현재 불완전 고용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안한 상태로 오래 지속된다면 이들은 일거리를 찾아 다른 산업으로 직종을 바꾸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헤어케어 제품 정규 판매직으로 일하는 베티 호(Betty Ho)씨는 10월부터 3개월 동안 무급 휴가를 요구받았다. 시위로 인하여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몇몇 직원들이 무급 휴가를 통보받은 것이다. 그러나 병을 앓고 있는 어머니를 지원해야하기 때문에 그녀는 서둘러 다른 파트타임 일자리를 찾아 코즈웨이베이 소고에서 임시 판매원으로 일을 했다. 그는 “매일 일당으로 급여를 받고 있지만, 시위가 심할 때는 백화점이 문을 닫거나 영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수당도 줄어든다. 만약 이대로 일하던 헤어케어 회사가 문을 닫아버리게 될까봐 걱정없는 날이 없다”고 불안에 떨었다.

 

외식산업연합회는 약 3백 개 식당이 폐업했고 12,000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식사업체 씨푸드 딜라이트 그룹(Seafood Delight Group)은 “수많은 식당들이 폐업하거나 직원들은 감원 혹은 무급 휴가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 불안으로 결혼식 연회 등 큰 행사들이 취소되면서 일주일에 2천 테이블씩 예약 취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요식업 종사자들이 실직하게 될 경우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가 한계적이다. 특히 쉐프 등 주방 직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824.4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13 홍콩 투자 심리 위축, 3분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약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1.26.
812 홍콩 초소형 아파트 붐 사실상 ‘끝물’ file 위클리홍콩 19.11.26.
811 홍콩 병원 당국, 독감철 대비 개선된 비말감염 검사 도입 file 위클리홍콩 19.11.26.
810 홍콩 대학 교내에서 사라진 화학물질, 공공안전 위협 우려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1.26.
809 홍콩 홍콩 사회불안으로 홍콩인들 '영국 거주권' 얻기 원해 위클리홍콩 19.11.26.
808 홍콩 CEPA 한층 더 개방해, 홍콩 기업의 중국 진출 용이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11.26.
807 홍콩 10월 HK$ 예금 증가, 반면 외환보유고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6 홍콩 10월 홍콩 수출 9.2% 하락, 약 10년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5 홍콩 신계 브라운필드 재개발, 이주·보상 등 문제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4 홍콩 美, 中 반발에도 홍콩 인권법 서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3 홍콩 시민들 최루가스 장기 노출 두려움에 떨어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2 홍콩 지난 5년간, 야생동물 불만신고 75%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12.03.
801 홍콩 '세계 인권의 날' 기념집회, 홍콩시민 80만 명 다시 거리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2.10.
800 홍콩 세금 징수 지연으로 정부 세수 수십억 HK$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10.
799 홍콩 홍콩 정부, HK$ 40억 상당 4번째 구제책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12.10.
798 홍콩 SHK, 공실세 임박에 단기 임대 아파트 공급 file 위클리홍콩 19.12.10.
» 홍콩 관광, 소매, 요식업 종사자 일자리 잃고 ‘절망’ file 위클리홍콩 19.12.10.
796 홍콩 홍콩, ‘외국인이 살기 좋은 도시’ 52위, file 위클리홍콩 19.12.10.
795 홍콩 홍콩농림수산부, 홍콩해상 산호초(Reef Check) 상태 검사 file 위클리홍콩 19.12.10.
794 홍콩 中, 홍콩 공무원 및 학생 中 헌법·기본법 교육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