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 여파로 4분기도 마이너스 성장

 

5.png

(사진=scmp) 

 

폴 찬 모포 재무 장관이 홍콩 시위가 7개월째로 접어들면서 지난해 4분기 홍콩 경제를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11월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56% 감소했으며 이는 과거 사스가 강타했던 2003년 때와 비슷한 타격 수준이다. 최신 홍콩 관광청 통계에 따르면, 11월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 수는 265만 명(또는 1일 평균 88,000명)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16년 전 사스가 강타했을 때, 4 ~ 5월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 수가 약 60% 감소했다.

 

특히 중문대와 폴리텍대 캠퍼스에서 시위대와 진압 경찰대와 폭력적 충돌이 발생했던 11월 11일 ~ 20일간, 1일 평균 관광객 수는 67,000명으로 가장 급감했다. 사틴에 위치한 중문대 캠퍼스에서 5일 동안 급진적 시위대들이 진을 쳤으며, 폴리텍 대학교에서는 13일 동안 시위대와 경찰대 간의 격렬한 충돌이 일어났다. 같은 달 마지막 10일 동안은 관광객 수가 소폭 회복하면서 1일 87,000명으로 집계되었다.

 

2019년 1월 ~ 11월까지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10% 줄어든 5,30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상반기 기간의 관광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반면 7월부터 11월 기간은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했다.

한편 작년 연초까지만 해도 홍콩 관광청은 홍콩 방문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1.9% 증가한 6,640만 명으로 예상했었다.

 

홍콩 인바운드 투어 여행사 협회(Hong Kong Inbound Tour Operators’ Association)는 크리스마스 기간 성수이역 쇼핑몰에서 시위대와 중국 관광객 간의 실랑이가 벌어지는 등 시위 열기가 여전히 식지 않고 있어 경기 침체가 예상되었다고 밝혔다. 리키 채캄싱(Ricky Tse Kam-ting) 협회장은 “40년 동안 업계에서 일하면서 지금이 가장 최악의 시기이다. 사스가 강타했을 때는 사람들은 경제 회복을 위해 함께 노력했지만, 지금의 경우 출구 없는 긴 터널과 같다”며 “수많은 국가와 도시들이 홍콩 관광 홍보를 중단한 상태며 중국 관광객들은 홍콩에서 시위대와 충돌이 빚어질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어 업계 전체가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폴 찬 모포 재무장관은 홍콩 경제 4분기 통계가 곧 발표될 예정이지만 소매 판매, 관광객 수, 실업률 등 이미 전개된 비관적인 홍콩 경제 지표를 감안하면 4분기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홍콩은 미중 무역전쟁과 더불어 지난 6월부터 반정부 시위로 큰 정치 및 경제적 격동기를 겪고 있다. 지난 3분기 GDP가 전분기 대비 3.2% 감소, 전년대비 2.9% 감소하면서 10년래 최대 하락을 보였다. 폴 찬 모포 재무장관은 “10월 소매 판매가 26%, 크리스마스 기간 여행객 수 50% 감소, 요식업 실업률 6%선 돌파로 6년래 최고 기록 등 일렬의 ‘우울한’ 경제 지표들이 이어지면서 15년 만에 처음으로 재정 적자를 보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달부터 경기 회복을 위한 새로운 조치들을 내놓을 예정이며 경제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지원할 방안들을 마련할 예정이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722.0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3 홍콩 부동산 시장 위축에 경매 부동산도 가격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92 홍콩 사립학교, 추가 비용 수백만 홍콩달러 청구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91 홍콩 홍콩·상하이 간 투자유치 경쟁 치열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90 홍콩 재활용업체 10곳 중 9곳 폐업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8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8 홍콩 법원 영장 없이 페이스북·트위터 수사 협조 요구 가능해져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7 홍콩 ‘현금 없는 사회’ 가속하는 코로나바이러스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6 홍콩 6월 신축 아파트 거래 건수, 전월 대비 92%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5 홍콩 MPF 가입자 평균 HK$7,752 손실 추정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4 홍콩 ‘올해 해외여행 수요 최대 80% 급감’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3 홍콩 홍콩 ‘외국인 생활 물가’ 세계 4위→6위 file 위클리홍콩 20.07.07.
582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81 홍콩 홍콩, 세계증시 1위 탈환 임박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80 홍콩 지역 감염 사례 증가세, ‘3차 확산’ 적신호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79 홍콩 택시 운전사, COVID-19 확진 증가로 택시 산업 시름 깊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78 홍콩 MTR社, 올 상반기 HK$4억 순손실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77 홍콩 침사추이, 가장 비싼 홍콩 쇼핑가로 부상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76 홍콩 홍콩사람들, 해외 소셜 미디어 이용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07.14.
575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21.
574 홍콩 상업용 부동산, 하반기에도 하방 압력 이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