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래 최저 보너스, 임금 인상률 예상
 

9.png

(사진=scmp) 

 

홍콩 금융 산업이 미중 무역전쟁과 반정부 시위로 큰 타격을 받으면서 홍콩 금융인들은 10년래 최저 수준의 임금 인상률과 보너스를 지급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금융권은 매년 춘절 무렵에 보너스가 지급되고 임금 인상 수준이 결정된다. 그러나 홍콩증권협회의 고든 추이뤈온(Gordon Tsui Luen-on) 회장은 “올해 임금 인상과 보너스는 10년래 최악의 수준으로 예상한다. 홍콩 경제가 위축되고 항생지수가 하향곡선을 그렸던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도 수많은 증권사들이 임금 동결과 보너스 삭감을 했는데, 올해도 비슷할 것이며 심지어 임금이 삭감되거나 해고되는 직원도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금융 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증권 시장의 이익률이 11개월 만에 20% 감소했다. 이에 따라 홍콩 증권사 브로커들이 성과부진으로 수수료 수입도 대폭 감소했다.

 

3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는 중견 증권사인 브라이트 스마트 증권(Bright Smart Securities)은 “증권 산업이 10년래 최악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시위가 끝날 조짐이 보이지 않기에 경영진들은 올해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높은 성과를 성취한 직원들에게는 적게나마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이지만 작년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은행원들의 상황도 별찬 차이가 없다.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홍콩 최대 은행인 HSBC와 자회사인 항생은행(Hang Seng Bank)은 최고 경영진, 부서장 등 고위 직원들의 임금을 동결하며 나머지 직원들은 1 ~ 2%의 임금 인상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HSBC 홍콩의 대변인은 “직원들의 성과와 근태, 역내 시장 상황을 고려해 보너스가 지급될 것이다”고 밝혔다. 반면 항생은행은 은행 지점과 개별성과에 따라 급여 임금 인상폭과 보너스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작년 성과가 좋은 주니어급 직원의 경우, 2 ~ 3개월치 보너스를 지급받기도 했다.

 

작년 8월, HSBC가 전체 직원 중 2%를 감원하여 직원 급여로 지출되는 비용을 4%까지 줄일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올해 직원들의 임금 인상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HSBC는 작년 6월 기준 전 세계에 237,685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포스트지가 취재한 다른 은행들의 경우 1~2개월의 보너스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고 3%의 임금 인상률을 기대된다.

 

글로벌 리크루팅 컨설팅 업체 로버트 하프 홍콩(Robert Half Hong Kong)은 은행들이 작년보다 더 많은 보너스가 지급되지 않을 것이며 평균적으로 1 ~ 3개월치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로버트 하프는 “전 세계 최근 임금 인상률은 약 4%이며, 올해도 크게 차이가 있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홍콩 금융 산업은 급여가 2 ~ 5%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홍콩 증권가가 가장 특수를 누렸던 해는 2018년으로, 최고 실적의 증권 트레이더들은 20 ~ 30개월의 보너스를 지급받기도 했다. 2018년 항생지수는 35% 상승했으며 최고 일일 수익률은 평균 수준의 3배인 2천억 홍콩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387.2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3 홍콩 ICAO, Covid-19 대응 위한 새로운 비행 지침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6.09.
612 홍콩 쇼핑몰, 다양한 프로모션 제공해 ‘내수 활성화 도모’ file 위클리홍콩 20.06.09.
611 홍콩 THE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09.
610 홍콩 2020년 6월 3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9 홍콩 로맨스 스캠·보이스 피싱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8 홍콩 대출 원금 상환 유예 신청 기업 3만 개 돌파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7 홍콩 홍콩 사무실 공실률 8.5%, 10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6 홍콩 홍콩-중국-마카오 국경 간 이동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5 홍콩 홍콩,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 유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4 홍콩 상어 지느러미 수은 함량 ‘위험’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0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6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02 홍콩 5월 개인 파산·기업 청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01 홍콩 7월 15일부터 요식업 대대적인 할인 행사해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00 홍콩 홍콩 정부, 20대 청년 위해 일자리 5천개 창출 계획 file 위클리홍콩 20.06.22.
599 홍콩 Covid-19에 소외된 노인들, ‘외로움 전염병’ 확산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6.22.
598 홍콩 홍콩 시위·Covid-19에 ‘긱 이코노미’ 관심 부상 file 위클리홍콩 20.06.22.
597 홍콩 홍콩 국가경쟁력, 작년 2위에서 5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22.
59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95 홍콩 공립병원 대기시간 78주→24주로 단축 file 위클리홍콩 20.06.30.
594 홍콩 홍콩내 대학 5곳 이상, 온라인 수업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