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홍콩 방문 제한 없으나 위생 주의 당부

 

5.png

▲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폐쇄된 서구룡 고속철역 앞에서 어린아이가 마스크를 쓰고 자전거를 타고 있다. (사진=scmp)

 

중국 우한에서 시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 수가 나날이 증가하면서 전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2월 1일(토) 기준, 전세계적으로 감염 확진자는 11,791명, 사망자는 259명으로 집계되었다. 대부분 사망자 사례는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만 확인되었지만, 홍콩에서도 감염 확진자가 13명으로 늘어나고 있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세가 가팔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오가는 항공편을 취소하는 항공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브리티시 에어웨이(British Airways)는 2월 23일까지 중국 본토 및 홍콩행 항공편을 예약한 승객에게 전액 환불을 제공하고 있다. 케세이퍼시픽 항공은 1월 25일 이전에 중국 본토행 항공편을 예약한 승객에 대하여 전액 환불한다.

 

그러나 중국행 항공편을 취소하는 승객들은 자신의 항공권 이용약관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홍콩 소재 여행사를 운영하는 브라이언 웡(Brian Wong)은 “항공편의 환불 여부는 항공권 요금과 항공사의 예약 취소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매처가 어디냐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여행사를 통해 구매했다면 여행사에 문의하고 항공사에서 구매했다면 항공사로 문의해야 한다. 구매경로에 따라 일부 항공권은 환불받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를 오가는 항공편들에 대한 제한·금지 조치를 실시하는 국가와 여행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영국 외무부는 “홍콩을 방문하는 자들은 홍콩 현지 당국에서 실시하는 추가적인 검역을 준수하고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홍콩 정부는 중국 본토 여행객의 홍콩 입국을 제한하고 있으며 중국 본토를 오가는 항공편을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또한 홍콩에서 입출국하는 모든 여행객에 대하여 건강 체크와 체온 측정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대부분 홍콩 관광명소들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임시 폐쇄 조치를 하고 있어 이 기간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한다. 홍콩 대표 테마파크인 오션파크와 홍콩 디즈니랜드를 포함해 도시 내 대부분 관광명소들이 임시 폐쇄되었다. 홍콩 레저문화서비스부는 모든 박물관, 스포츠 시설, 공공 수영장, 해변 등에 대하여 모두 임시 폐쇄할 것을 발표했다. 란타우섬의 옹핑360 과 노아의 방주도 임시적으로 운영을 중단했다.

 

빅버스 투어와 피크 트램은 정상 운행 중이다. 그러나 빅토리아 피크에 있는 마담투소 박물관과 피크 타워는 추후 재공지가 있을 때까지 폐쇄된다. 빅버스 운영업체는 “홍콩 시위 때문에 작년 여름부터 방문객이 급감했는데 바이러스 확산으로 방문객 수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페닌슐라 호텔의 컨시어지 담당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도심 내 대부분 관광 명소들이 모두 폐쇄되어 관광객들이 갈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 인근 쇼핑몰들을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며 페닌슐라는 호텔 투숙객들에게 무상으로 마스크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센트럴 포시즌도 호텔 투숙객에게 무료로 마스크를 제공하고 있다.

 

불가피하게 홍콩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흐르는 물과 비누를 이용해 최소 20초 이상 꼼꼼하게 손을 씻어야 한다. 깨끗하지 않는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아야 하며 사람들과의 긴밀한 접촉을 피해야 한다. 홍콩에서 마스크를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방문 전 미리 마스크를 구비해 오는 것이 좋다. 마스크 착용은 자신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 아니라 혹시 자신이 감염되었을 때 타인에게 점염시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바이러스 발전 상황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홍콩관광청(discoverhongkong.com)과 홍콩 위생방호센터 (chp.gov.hk) 등 공식 사이트와 뉴스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최신 여행 권고 및 변경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654.6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3 홍콩 7월 15일부터 요식업 대대적인 할인 행사해 file 위클리홍콩 20.06.22.
772 홍콩 5월 개인 파산·기업 청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22.
77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6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22.
770 홍콩 상어 지느러미 수은 함량 ‘위험’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9 홍콩 홍콩,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 유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8 홍콩 홍콩-중국-마카오 국경 간 이동 완화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7 홍콩 홍콩 사무실 공실률 8.5%, 10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6 홍콩 대출 원금 상환 유예 신청 기업 3만 개 돌파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5 홍콩 로맨스 스캠·보이스 피싱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4 홍콩 2020년 6월 3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16.
763 홍콩 THE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 대학들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62 홍콩 쇼핑몰, 다양한 프로모션 제공해 ‘내수 활성화 도모’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61 홍콩 ICAO, Covid-19 대응 위한 새로운 비행 지침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60 홍콩 항공화물을 통한 마약 밀수 기승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59 홍콩 소형 아파트 수요 감소에 임대료 계속 떨어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58 홍콩 핫머니 대량 유입, 홍콩 주식 투자 증가로 홍콩달러 강세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57 홍콩 2020년 6월 2주차 '퀵' 주간 요약 뉴스 file 위클리홍콩 20.06.09.
756 홍콩 환경보호국 ‘웨강아오 대만구 오존 공동 연구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55 홍콩 정치적 자유 축소 우려에 해외 이민 문의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754 홍콩 경영난에 임대료 체납 소송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