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말 기준으로 급등

 

3.png

(사진=scmp)

 

코로나19 확산 이후 홍콩 주민들의 사재기 현상이 줄곧 이어지면서 수많은 소비재 가격이 많게는 200% 이상 급등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가 자체 온라인 가격 책정 플랫폼인 비아(Via) 통계를 기반으로 소비자 가격 변동 추이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20년 1월 1일부터 2월 10일까지 41일간의 소비자 가격 변동 추이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19 확산이 거세진 1월 말부터 큰 가격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홍콩 대표 온라인 쇼핑몰 HKTV몰(HKTVMall), 웰컴(Wellcome), 파킨샵(ParknShop) 등의 소비재 가격이 큰 폭 상승했다. 소독제를 포함한 액상 비누의 평균 가격이 최소 113%, 청소용 물티슈는 214% 급등했다. 화장지 82%, 표백제 78%, 쌀 65%, 가공 육류 85% 급등했다. 유로모니터는 코로나19 발발로 초조해진 홍콩 주민들의 사재기가 이어지면서 도시 전역 마트와 약국 등의 재고가 부족해지자 가격이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로모니터 보고서는 “코로나19 발발로 수많은 사람들이 자택근무를 하거나 집밖을 나오지 못하면서 중국와 홍콩 소비자 시장에 유례없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들은 외출을 피하고 집에서 온라인으로 필요한 소비재들을 주문하면서 온라인 주문이 급증하자 전자상거래 소매업체들의 인프라에도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주목해야할 점은 홍콩의 소비재 가격이 중국 본토보다 더 큰 폭 상승했다는 점이다. 중국 본토의 경우 소독제를 포함한 액상 비누는 최고 36% 상승했으며 청소용 물티슈는 15% 올랐다. 유로모니터는 홍콩의 전자상거래 소매업체들은 중국 업체들보다 비축 재고량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러한 전략이 비용적으로 효율적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주문이 비정상적으로 몰리면서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자 업체들이 고객들의 주문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 생산과 배달에 추가 비용이 발생되면서 가격이 상승한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콩의 사재기 현상을 온라인으로 국한되지 않고 있다. 오프라인 상점들은 상품 공급이 원활하다며 우려를 일축시키고 있지만, 매장 안 화장지, 마스크, 온도계, 소독제 등을 비치한 선반이 텅텅 비었다. 유로모니터는 “소비재 수요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이 일부 소비재 품목들이 계속 재고 소진이라는 표시를 계속 발견하면서 초조해진 소비자들이 소비재를 비축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로모니터는 “바이러스가 여전히 통제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홍콩에서 개인 위생용품, 청소용품, 마스크 등이 계속 비정상적으로 수요가 높을 것이며 가격 또한 한동안 안정화되지 못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사재기 현상으로 소비재를 구하기 더 어려워지자 슈퍼를 털려는 강도 범죄 사건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한 슈퍼마켓에서 화장지 600롤을 훔쳐 달아난 강도 사건이 보고되기도 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710.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3 홍콩 코로나 관련 가짜 정보에 주민들 더욱 불안 떨어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2 홍콩 코로나에 대학입시·중학교 배정시험 모두 일정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1 홍콩 코로나에 아시아 경제 ‘들썩’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0 홍콩 홍콩정부, 우한폐렴바이러스 구제책 HK$250억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9 홍콩 은행 추가 구호책 발표 ‘매달 대출 상환액 인하’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8 홍콩 학교 휴교령 3월 16일까지 연장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7 홍콩 국경 폐쇄로 관광객 수 1일 3천명으로 급감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6 홍콩 변기 뚜껑 닫고 물 내려야, 에어로졸 감염 제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5 홍콩 영화관·노래방 등 2주 영업 중단 권고에 미온적 반응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4 홍콩 홍콩정부, 대한민국 여행 “적색경보령”의 초강도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3 홍콩 홍콩정부, 신종 코로나에 HK$300억 경기 부양책 마련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2 홍콩 사법부 업무 중단으로 소송 올스톱…업무 백로그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1 홍콩 사느냐 죽느냐, 생존 위기 내몰린 호텔업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0 홍콩 홍콩 정·경계 인사들, 코로나바이러스 방호용품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9 홍콩 홍콩, 전 세계 집값 최고 상승 도시 50위 밖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8 홍콩 휴교·자택근무에 북적이는 야외 바베큐장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7 홍콩 정부,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세율 개정도 고려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6 홍콩 COVID-19, 사스 아닌 HIV와 유사한 변이 관찰돼 file 위클리홍콩 20.03.03.
» 홍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소비재 가격 최고 200% 급등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4 홍콩 경찰 범죄 해결률 37%, 19년래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