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천개 신규 객실 공급 연기

 

3.png

▲ 알렉산드라 (Hotel Alexandra) 신축 호텔이 올해 초에 예정되었던 개업을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연기했다.(사진=scmp)

 

홍콩 시위와 코로나바이러스 발발로 인한 경기 침체에 1분기에 완공 예정이었던 신축 고급 호텔 두 곳이 결국 개업을 연기했다.

 

1분기에 완공 예정이었던 포트리스힐에 위치한 CK자산(CK Assets)의 호텔 알렉산드라(Hotel Alexandr)와 통총에 위치한 홍콩 최대 호텔 컨소시엄의 더 실버리 홍콩 M갤러리(The Silveri Hong Kong MGallery)가 모두 개업일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두 호텔의 총 객실 수는 1천개 이상에 달한다.

 

고급 호텔들의 개업 연기 결정은 호텔 업계의 비관적인 전망을 반영하고 있다. 코비드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이 폐쇄되면서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고 관광객 수와 호텔 예약률이 급격히 감소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예방을 위해 건설 현장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호텔 알렉산드라는 “현재 코비드19 바이러스 상황 때문에 호텔 개업을 연기했다. 지금으로써는 개업일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시티게이트 개발처(Citygate Development) 대변인은 “더 실버리 홍콩이 공사 지연으로 당초 2019년 말에 개업하기로 예정됐지만 올해 6월 30일로 연기되었다. 코비드19 진행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티게이트 개발처는 스와이어 부동산(Swire Properties), 헨더슨 랜드 개발업체(Henderson Land Development), 선헝카이 프로퍼티스(Sun Hung Kai Properties), 항렁 프로퍼티스(Hang Lung Properties) 등 최대 건설업체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다.

 

홍콩 관광청에 따르면, 올해 공급될 신규 호텔 객실 4,092개 중 앞서 언급된 고급 호텔 두 곳이 4분의 1를 차지한다.

 

3월 홍콩 방문 관광객 수는 지난해 586만 명에서 98.6% 감소한 82,285명에 그쳤다. 홍콩 소매업과 호텔 산업 매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94.9% 감소한 2만7천명에 그쳤다. 관광청은 코비드19 확산이 거세지기 시작한 지난 2월의 호텔 객실 점유율은 20%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달의 90% 점유율과 비교했을 때 크게 감소했다.

 

일부 호텔들은 이번 기회에 호텔 레노베이션을 진행해 미래의 회복 기회를 잡을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4개 호텔의 총 1,295개 객실이 최대 20개월 레노베이션 계획으로 영업을 중단한 상태이다.

 

나이트 프랑크(Knight Frank)의 마틴 웡(Martin Wong) 중화권 리서치 및 컨설팅 부책임자는 “관광객 수가 매월 4백~5백 만 명 수준에서 8만 명으로 급감하면서 호텔 산업에 재앙이 닥쳤다. 현재 상황에서 새로운 호텔을 개업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정부가 여행 제한을 아직 완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호텔들은 이번 노동절 연휴에도 큰 희망을 갖지 않는다”고 말했다.

 

작년 노동절 연휴 기간 첫 3일 동안 약 84만 명의 중국 관광객들이 홍콩을 방문했다. 반면 올해 노동절 연휴 직전 4월의 1일 평균 홍콩 방문객 수는 1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작년 홍콩 경제가 1.2% 감소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경기 침체에 돌입했다. 정부는 올해 4~7%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해 중국 1분기 경기는 1976년 문화대혁명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795.8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3 홍콩 홍콩정부, 1천2백억 홍콩달러 경제 활성화를 위한 보조패키지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2 홍콩 홍콩 시민 단체, “노란색, 검은색 마스크 구매금지” 통지받아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1 홍콩 홍콩대학 전염병 전문의들, 코비드19 실제 사망률은 1.4%에 가까워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30 홍콩 홍콩보건당국, 코비드19는 심각한 유형의 독감형태로 '몇 년 동안 지속적인 영향 미칠 수 있다'고 경고 위클리홍콩 20.03.10.
729 홍콩 MTR社, 홍콩 시위 여파로 작년 매출 약 45%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8 홍콩 건축단체, 텐트 격리시설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7 홍콩 영국교육전문회사 QS, 전공별 세계대학 순위, 홍콩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6 홍콩 1만 홍콩 달러 지원, 영주권자에서 저소득 이민자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5 홍콩 노숙자 폭행한 경찰관 결국 체포돼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4 홍콩 지난 2개월 동안의 연이은 폭발장치물 사건 위클리홍콩 20.03.10.
723 홍콩 교통경찰, 불법주차·불법적재 단속 위클리홍콩 20.03.10.
722 홍콩 신종 코로나에 화장지 사재기 전 세계로 확산 진풍경 file 위클리홍콩 20.03.10.
721 홍콩 홍콩정부, COVID-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적색여행국가 확대 조치 file 위클리홍콩 20.03.17.
720 홍콩 폴찬 재무장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홍콩경제와 지역사회에 빨간불 경고 file 위클리홍콩 20.03.17.
719 홍콩 홍콩 관세청, 즉시 사용중단 불량마스크 공개 file 위클리홍콩 20.03.17.
718 홍콩 홍콩내 여행사, 약 1,350개 업체 80%가 전염병 보조금 받는다. 위클리홍콩 20.03.17.
717 홍콩 게스트하우스, 전염병 보조금제도 신청마감 3월 20일 위클리홍콩 20.03.17.
716 홍콩 홍콩실업률, 9년래 최악 상황 위클리홍콩 20.03.17.
715 홍콩 정부, 중소기업 구호책 앞당겨 시행 약속 file 위클리홍콩 20.03.17.
714 홍콩 폐쇄 공간에서 바이러스 최대 4.5m까지 확산 file 위클리홍콩 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