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완화 두 배 빨라

 

8.png

(사진=scmp)

 

항바이러스 약물 3종을 혼합한 치료제가 코비드19 환자의 증상을 두 배 더 빨리 완화시키고 체내 바이러스 양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홍콩대 미생물학 전문가 위엔 쿽융(Yuen Kwok-yung) 박사를 주축으로 진행된 이번 홍콩대 연구진들의 임상시험은 2월 10일부터 3월 20일에 홍콩 6개 공립 병원에 입원한 1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혼합형 치료제와 HIV 치료제만 투여했을 때를 비교했다. 임상시험 참여자 126명 중 86명이 혼합형 치료제를 투여 받았고 나머지 41명은 HIV 치료제 한 종만 투여 받았다.

 

혼합형 치료제는 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치료 약물인 인터페론 베타-1b(interferon beta-1b), HIV 치료제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lopinavir-ritonavir), C형 간염 치료제 라비비린(ribavirin)을 혼합한 칵테일 치료제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증 증상 환자를 치료할 때 혼합형 치료제가 단일 치료제보다 ‘바이러스 흘림(viral shedding)’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환자들의 증상 완화와 회복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흘림’이란 바이러스가 탐지되고 잠재적으로 전염될 수 있는 상태와 전파 가능한 기간을 말한다.

 

단일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의 체내 바이러스가 평균 12일 만에 억제된 반면 혼합형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들은 이보다 5일 더 빠른 평균 7일 만에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합형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는 평균 4일 만에 증상이 완화된 반면 단일 치료제 투여 환자는 두 배 수준인 평균 8일 소요됐다.

 

환자의 입원 기간에도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 혼합 치료제 투여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이 평균 9일이었지만 단일 치료제 투여 환자는 14.5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바이러스 증상이 약한 초기시기에 혼합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가 단일 치료제를 투여받은 환자보다 더 효과적인 임상 결과가 나타났다.

 

위엔 쿽융 박사는 “혼합형 치료제로 환자에게 조기 치료했을 때, 체내 바이러스 양이 빠르게 억제되고 증상이 완화됐다. 환자 치료 효과가 높아 의료 종사자의 감염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진들은 혼합형 치료제가 중증 환자에게도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연구진들은 에볼라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됐던 치료제인 렘데시비르(remdesivir)가 코비드19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지에 대한 임상시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705.6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3 홍콩 코로나 관련 가짜 정보에 주민들 더욱 불안 떨어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2 홍콩 코로나에 대학입시·중학교 배정시험 모두 일정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1 홍콩 코로나에 아시아 경제 ‘들썩’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0 홍콩 홍콩정부, 우한폐렴바이러스 구제책 HK$250억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9 홍콩 은행 추가 구호책 발표 ‘매달 대출 상환액 인하’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8 홍콩 학교 휴교령 3월 16일까지 연장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7 홍콩 국경 폐쇄로 관광객 수 1일 3천명으로 급감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6 홍콩 변기 뚜껑 닫고 물 내려야, 에어로졸 감염 제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5 홍콩 영화관·노래방 등 2주 영업 중단 권고에 미온적 반응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4 홍콩 홍콩정부, 대한민국 여행 “적색경보령”의 초강도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3 홍콩 홍콩정부, 신종 코로나에 HK$300억 경기 부양책 마련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2 홍콩 사법부 업무 중단으로 소송 올스톱…업무 백로그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1 홍콩 사느냐 죽느냐, 생존 위기 내몰린 호텔업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0 홍콩 홍콩 정·경계 인사들, 코로나바이러스 방호용품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9 홍콩 홍콩, 전 세계 집값 최고 상승 도시 50위 밖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8 홍콩 휴교·자택근무에 북적이는 야외 바베큐장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7 홍콩 정부,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세율 개정도 고려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6 홍콩 COVID-19, 사스 아닌 HIV와 유사한 변이 관찰돼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5 홍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소비재 가격 최고 200% 급등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4 홍콩 경찰 범죄 해결률 37%, 19년래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