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자유 및 일국양제 훼손 우려 제기

 

4.png

▲ 홍콩 달러가 미국 달러 대비 0.05% 하락해 7.7539 홍콩 달러를 기록했다. (사진=scmp)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변인이 이번 양회에서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관한 의안이 포함되었다고 밝히면서 홍콩 달러화 환율이 급락했다.

 

양회 개막일 전날 밤인 21일(목), 전인대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통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관한 의안이 포함됐다고 예고했다. 중국 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양회에서 제기될 홍콩 국가보안법에는 홍콩의 기본법, 홍콩 정부의 국가보안법 제정 능력 여부, 국가에 대한 배반·분열·반동·전복·반란 선동 금지 규정 등이 포함되었다.

 

홍콩 국가보안법 추진 움직임에 일각에서는 홍콩의 기본 권리와 자유가 제한되고 일국양제 원칙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러한 우려가 환율 시장에 즉각적으로 반영되면서 홍콩 달러화 가치가 급락했다.

 

전인대의 발표 직후, 홍콩 달러가 미 달러 대비 0.05% 하락한 7.7538 홍콩 달러에 거래돼 홍콩 달러 가치가 지난 5월 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는 지난 22일(금)에 개막해 일주일간 열린다. 이번 회의에 약 3천명에 달하는 인민 대표가 참석해 정치 및 경제 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홍콩 인민 대표단은 이번 회의에서 중국 국무원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HKMAO)의 샤바오롱(Xia Baolong) 주임, 장칭리(Zhang Qingli) 중국인민정치협의회 부주석과 함께 공식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이번 회의 기간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대한 논의를 거쳐 오는 28일 폐막일에 결의안이 의결될 전망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중국과 미국 정부 간의 긴장감이 고조됨에 따라 중국 정부가 홍콩 국가보안법을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재작년부터 미중 무역 갈등을 겪고 있으며 최근 코비드19 책임론을 놓고 충돌하면서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전인대 개막을 앞두고 마이크 폼페오 미 국무장관은 보건, 국방, 대만, 5G 등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과 정권을 비난하며 중국 정부가 홍콩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지난해 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홍콩 인권민주주의법이 통과되면서, 미 국무부는 홍콩의 자치 수준을 매년 검증해 미 의회에 보고해야 하는데 만약 홍콩 국가보안법이 제정된다면 이달 말에 예정된 평가보고서에 따라 홍콩에 부여한 경제 및 통상 등의 특별 지위가 박탈될 수 있다.

 

그동안 홍콩 경제 성장 둔화와는 대조적으로 홍콩 달러 통화가 높은 탄력성을 보였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홍콩으로 유입되는 자금에 힘입어 홍콩 달러는 지난 한 달 동안 환율 거래 밴드 상한선 부근에 거래돼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714.9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3 홍콩 코로나 관련 가짜 정보에 주민들 더욱 불안 떨어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2 홍콩 코로나에 대학입시·중학교 배정시험 모두 일정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1 홍콩 코로나에 아시아 경제 ‘들썩’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0 홍콩 홍콩정부, 우한폐렴바이러스 구제책 HK$250억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9 홍콩 은행 추가 구호책 발표 ‘매달 대출 상환액 인하’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8 홍콩 학교 휴교령 3월 16일까지 연장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7 홍콩 국경 폐쇄로 관광객 수 1일 3천명으로 급감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6 홍콩 변기 뚜껑 닫고 물 내려야, 에어로졸 감염 제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5 홍콩 영화관·노래방 등 2주 영업 중단 권고에 미온적 반응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4 홍콩 홍콩정부, 대한민국 여행 “적색경보령”의 초강도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3 홍콩 홍콩정부, 신종 코로나에 HK$300억 경기 부양책 마련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2 홍콩 사법부 업무 중단으로 소송 올스톱…업무 백로그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1 홍콩 사느냐 죽느냐, 생존 위기 내몰린 호텔업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0 홍콩 홍콩 정·경계 인사들, 코로나바이러스 방호용품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9 홍콩 홍콩, 전 세계 집값 최고 상승 도시 50위 밖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8 홍콩 휴교·자택근무에 북적이는 야외 바베큐장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7 홍콩 정부,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세율 개정도 고려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6 홍콩 COVID-19, 사스 아닌 HIV와 유사한 변이 관찰돼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5 홍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소비재 가격 최고 200% 급등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4 홍콩 경찰 범죄 해결률 37%, 19년래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