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 대한 USD 거래 제한 가능성 매우 희박

 

1.png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강행하자 홍콩의 글로벌 금융 허브 지위를 유지하는데 핵심인 달러 페그제가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가보안법 제정에 대한 미국 정부의 강경 조치 예고까지 더해지면서 도심 전역의 환전소들이 미국 달러로 환전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갈등 심화에도 달러 페그제가 굳건하게 유지될 것이라며 우려를 일축했다.

 

홍콩의 핵심 통화정책인 미국 달러 페그제 시스템은 지난 37년 동안 유지되었다. 1983년 9월, 홍콩 달러가 1 미 달러 대비 6 홍콩 달러에서 9.50 홍콩 달러까지 급격하게 가치가 떨어지면서 환율이 요동쳤다. 그 이후 1983년 10월 17일, 존 브렘릿지(John Bremridge) 전 홍콩 재무장관이 홍콩 달러를 1 미 달러 대비 7.80 홍콩 달러로 페그하는 정책을 발표하면서 지금까지 7.75~7.85 홍콩 달러 환율 밴드 선을 유지하고 있다.

 

홍콩 페그제 시스템은 홍콩 자체 독립된 정책으로, 1992년 홍콩에 대한 특별 무역 지위를 부여하는 미국-홍콩 정책법이 제정되기 10년 전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에 페그제 시스템 유지 여부는 미국의 의사와는 무관하다. 기록에 따르면, 존 브렘릿지 전 재무장관이 처음 페그제를 도입했을 때 미국 정부에 시행 통보만 했을 뿐 미국 정부의 승인을 요구하는 내용이 없다.

 

세계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에 통화를 고정하는 페그제를 실시하는 국가는 홍콩뿐 아니며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 국가에서도 채택하고 있다. 윌슨 챈(Wilson Chan) 홍콩 시티대학 부교수는 “전 세계 어느 국가 정부든, 어떤 통화에 환율을 고정하고 어떤 환율 밴드 범위에 유지시킬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정부가 환율을 방어할 능력과 충분한 재정 보유액이 있는 한 페그제는 계속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최악의 시나리오로 미국이 홍콩 통화국 및 현지 은행들에게 미국 달러 거래에 대한 제재를 취할 수 있다. 브루스 얌(Bruce Yam) 환율 전략 전문가는 “미국이 달러패권을 이용해 이란에 제재를 가한 바 있다. 그러나 홍콩은 이란과는 사정이 다르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홍콩에게 미국 달러 거래 제재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밀어붙인다면 세계 금융 시장에도 타격을 입힐 것이다. 이러한 결정은 세계 시장 침체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런 위험을 감수하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홍콩은 영국, 미국 싱가포르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외환 거래 시장이다. 2019년 4월 기준, 홍콩 외환 시장은 일일 평균 6,320억 미 달러 상당의 외환이 거래됐으며 이는 전 세계 외환 거래 시장의 7.6%에 달한다. 특히 전체 통화 거래에서 미국 달러 통화의 거래가 88%를 차지할 정도로 지배적이다. 즉, 홍콩에서만 매일 5,560억 미국 달러 상당의 미국 달러 통화가 거래되고 있다.

 

에디 웨(Eddie Yue) 통화국 국장은 “홍콩은 본원통원인 홍콩 달러 보유액의 2배 이상인 4,400억 미 달러 상당의 막대한 외환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달러 페그제 시스템은 홍콩의 핵심 금융 시스템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고 말했다.

 

홍콩 달러는 지난 달 29일(금) 기준 1 미 달러 대비 7.7521 홍콩 달러로 마감하면서 환율 밴드 내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png (File Size:669.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3 홍콩 코로나 관련 가짜 정보에 주민들 더욱 불안 떨어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2 홍콩 코로나에 대학입시·중학교 배정시험 모두 일정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1 홍콩 코로나에 아시아 경제 ‘들썩’ file 위클리홍콩 20.02.11.
750 홍콩 홍콩정부, 우한폐렴바이러스 구제책 HK$250억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9 홍콩 은행 추가 구호책 발표 ‘매달 대출 상환액 인하’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8 홍콩 학교 휴교령 3월 16일까지 연장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7 홍콩 국경 폐쇄로 관광객 수 1일 3천명으로 급감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6 홍콩 변기 뚜껑 닫고 물 내려야, 에어로졸 감염 제기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5 홍콩 영화관·노래방 등 2주 영업 중단 권고에 미온적 반응 file 위클리홍콩 20.02.18.
744 홍콩 홍콩정부, 대한민국 여행 “적색경보령”의 초강도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3 홍콩 홍콩정부, 신종 코로나에 HK$300억 경기 부양책 마련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2 홍콩 사법부 업무 중단으로 소송 올스톱…업무 백로그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1 홍콩 사느냐 죽느냐, 생존 위기 내몰린 호텔업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40 홍콩 홍콩 정·경계 인사들, 코로나바이러스 방호용품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9 홍콩 홍콩, 전 세계 집값 최고 상승 도시 50위 밖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8 홍콩 휴교·자택근무에 북적이는 야외 바베큐장 file 위클리홍콩 20.02.25.
737 홍콩 정부,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세율 개정도 고려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6 홍콩 COVID-19, 사스 아닌 HIV와 유사한 변이 관찰돼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5 홍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소비재 가격 최고 200% 급등 file 위클리홍콩 20.03.03.
734 홍콩 경찰 범죄 해결률 37%, 19년래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