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업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

 8.png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할인 정책에 힘입어 지난 6월 신축 아파트 판매 건수가 13개월래 최고 상승 폭을 나타냈다.

 

4일(금), 토지등록처가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6월 신축 아파트 판매 건수가 전월 대비 92% 상승해 총 2,136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5월의 2,314건보다 겨우 약 180건 적다. 거래된 총 금액 또한 지난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6월 거래 규모가 13개월래 최고 수준인 총 705억9천만 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거래된 신축 아파트 건수는 작년 하반기 대비 24.7% 감소한 6,458건이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코비드19 확산으로 비즈니스 활동이 줄어들면서 거래가 위축된 것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신축 아파트 거래 건수가 620건에 불과했던 1월에서 지난 5월부터 다시 월 1천 건 이상을 웃돌면서 조금씩 다시 신축 아파트 시장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센타라인 프로퍼티(Centaline Property)는 “아파트를 구매하고 정부에 등록하는 데까지 약 4주가 소요되기 때문에 최신 수치가 지난 5월 중순 또는 6월 초 수치보다 시장 심리와 상태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6월, 선헝카이 프로퍼티스(Sun Hung Kai Properties)의 웻랜드 시즌스 파크(Wetland Seasons Park) 제2단지가 소비자들의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던 신축 아파트 프로젝트였으며 총 646건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발효된 홍콩 국가보안법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상승 추세가 오래 지속하지 못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리카코롭 프로퍼티스(Ricacorp Properties)의 데렉 챈(Derek Chan) 연구 책임자는 “국가보안법이 미중 관계에 미치게 될 영향과 보안법에 대한 지역 사회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불확실성 증가로 일부 구매자들이 더욱 신중한 태세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데렉 챈 책임자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새로운 아파트 프로젝트 마케팅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하면서 7월 신축 아파트 판매가 2천 건 미만일 것으로 예상했다. 중고 아파트 거래는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3일(금)에 발표된 센타시티 선행지수(Centa-City Leading Index)는 6월 28일 기준, 중고 아파트 가격이 1.46% 감소한 178.48로 나타났으며 지난 2주간의 상승세가 꺾였다. 센타시티 선행지수는 홍콩 전역 100개 주택 단지의 거래 가격 변동추이를 추적한다.

센타라인은 “홍콩 주택 가격 하락은 사회불안 심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앞으로 수 주 동안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미드랜드 부동산(Midland Realty)의 데이터에 따르면 주택, 상점, 상업 및 사무실을 포함한 전체 부동산 거래가 6월에 20% 상승한 6,874건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019년 5월 이후 가장 많다. 올해 상반기 동안 전체 부동산 거래 건수는 작년 하반기 대비 4.6% 증가한 32,749건으로 나타났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915.0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93 홍콩 내년 1월부터 전기 요금 최고 5.2% 인상돼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92 홍콩 5명 중 1명, 빈곤선 미만 ‘10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91 홍콩 돼지고기 가격 1년 새 2배 껑충, 해결방법은 냉동육?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90 홍콩 홍콩, IELTS 시험 순위 세계 13위·아시아 3위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89 홍콩 中, 상하이 자유무역구에 무관세 구역 설치 ‘긍정적 신호’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88 홍콩 스모그 억제 위해 대기 오염물질 관측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12.17.
787 홍콩 미중 무역협상 진전에 新아파트 분양가 높게 책정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6 홍콩 크리스마스 대목에도 호텔 ‘썰렁’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5 홍콩 생태 관광 투어, HK$ 5천만 지원 투입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4 홍콩 ‘종이 없는 재판 시대’로 한걸음 더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3 홍콩 경쟁사무위원회, ‘택시 산업 개혁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2 홍콩 빈티지 중국차(Tea), 수집가·투자자들에게 각광받아 file 위클리홍콩 19.12.30.
781 홍콩 홍콩, 15년 만에 재정 적자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80 홍콩 MPF, 2019년 12.6% 수익률 자랑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79 홍콩 홍콩 시위로 뜻밖에 보안업체 고공행진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78 홍콩 홍콩 상장사, 2021년부터 기업평가(ESG) 공시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77 홍콩 홍콩 금융권 ‘좋은 시절 다 갔나?’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76 홍콩 홍콩 주민, 광저우 대중교통 모바일 결제 가능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01.07.
775 홍콩 새해 첫 아파트 분양, 1:20 경쟁률 ‘기분 좋은 시작’ file 위클리홍콩 20.01.14.
774 홍콩 홍콩 달러 가치, 통화 간 수익률 3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