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등록된 우버 운전자 14,000명에 달아

신규 등록자 40% 증가

 

7.png
 

코비드19 팬데믹 이후 우버 택시와 우버 이츠 운전사 등록 신청자가 급증했다. 유례없는 세계 보건 위기로 수입이 줄어든 사람들이 추가 수입원을 창출하기 위해 우버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우버 홍콩은 지난 17일, 1월 말부터 홍콩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시작된 이후 우버 홍콩 운전사 등록 신청 수가 40%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재 등록된 우버 운전사 수는 1만4천 명에 달한다.

 

우버 홍콩과 달리 렌터카 면허(hire-car permit)가 있는 사람만 등록할 수 있는 우버 택시의 경우, 1월 이후 신규 운전사 등록 수가 78% 증가했다. 우버 택시 운행 횟수가 2월과 3월 각각 전월 대비 87%와 37% 증가했다.

 

홍콩에서는 합법적으로 승객을 태워 영업하려면 렌터카 면허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버 홍콩은 2014년에 홍콩에 진출한 이후 지난 6년간 홍콩 법의 사각지대에서 영업을 해왔다. 택시 업계는 우버 서비스를 불법 운행이라고 반발하며 꾸준히 우버와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9월 초, 홍콩 종심법원이 우버 운전사 24명이 제기한 항소를 기각했다. 이들은 지난 2018년 렌터카 면허 없이 불법으로 승객을 태워 영업한 혐의로 각각 3천~4천5백 홍콩달러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종심법원의 항소 기각 판결은 사실상 우버의 승차 공유 서비스 사업이 불법 서비스임을 공고히 한 격이다.

 

그러나 승차 공유 서비스 합법성 논란과 최근 종심법원의 항소 기각 판결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우버에 운전사 등록을 하고 있다.

 

우버 운전사 약 3천 명을 대상으로 한 최신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8%가 코비드19로 인하여 수입이 줄어들어 우버 운전사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24%가 가계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서라고 답변했다.

 

한편 다른 수입원이 있는 운전사 중 92%가 코비드19로 인한 재정적 피해가 있다고 답변했으며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추가적인 수입원이 필요해 우버 운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비드19 확산으로 대중교통 수요가 급격하게 감소했지만 바이러스 감염 우려에 우버 택시 이용량은 오히려 30% 증가했다. 올해는 특히 어머니의 날(5월 10일), 아버지의 날(6월 21일), 단오절(6월 25일) 등과 같은 공휴일이나 특별한 날에 우버 택시 이용 수요가 전년 대비 13~31% 증가했다.

 

에스틴 청(Estyn Chung) 우버 홍콩 총괄 책임자는 “우버는 코비드19 사태로 인하여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들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더 많은 기회 창출을 위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 정부는 홍콩의 미래 교통수단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때다”며 정부에게 홍콩 내 승차 공유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마련할 수 있도록 건설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우버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오히려 불법 승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사들에 대한 벌금 인상 안건을 내놓는 등 승차 공유 서비스에 대한 단속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461.9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3 홍콩 경찰 앞으로 배달된 ‘생닭’ 도시락 file 위클리홍콩 19.09.17.
872 홍콩 中 외국인 투자 70%, 홍콩 경유로 유입돼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71 홍콩 인프라 확충 통해 ‘일자리 창출’, ‘경기 회복’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70 홍콩 소매 산업 종사자, 일자리 잃을 위기 놓여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69 홍콩 웨스트 카우룽 터미널 지상, 사상 최고가 입찰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68 홍콩 야채칩, 포테이토칩보다 발암물질 두 배 많아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67 홍콩 폴리텍 대학, ‘폐지수거 노인’위해 수레 디자인·제작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24.
866 홍콩 美 밀레니얼을 타깃으로 침체된 관광업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5 홍콩 성난 민심 잡으려면 부동산 대책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4 홍콩 2019/20년도, 426개 유치원 학비 인상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3 홍콩 SFC ‘금융 위험 관리’ 이유로 주식담보대출 한도 설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2 홍콩 대출 수수료만 72%, 부당 폭리 피해 속출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1 홍콩 8월 홍콩 수출 6.3% 하락, 10개월째 연속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60 홍콩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차이나 머니’에 일희일비 file 위클리홍콩 19.10.01.
859 홍콩 홍콩정부,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금지법(Anti-Mast Law) 제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8.
858 홍콩 8월 관광객 40% 감소, 2003년 이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0.08.
857 홍콩 주택 가격 3개월째 하락, 연중 최고 하락폭 file 위클리홍콩 19.10.08.
856 홍콩 홍콩 증권거래소 ‘영국 거래소 인수 포기 안 해’ file 위클리홍콩 19.10.08.
855 홍콩 센트럴 사무실 임대료 3.2%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08.
854 홍콩 홍콩 국가경쟁력 3위, 그러나 사법 독립성·언론의 자유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