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확한 정보공유도 문제

반면 가족 간 긍정적 메시지 소홀해져

 

14.pn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비드19) 확산으로 유례없는 공중 보건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코비드19가 가족 간의 대화에서 최대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코비드19 정보 공유가 가족 관계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콩대학에서 시민 4,914명을 대상으로 단체채팅 SNS 앱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중 80% 이상의 공통된 화제가 코비드19 팬데믹으로 나타났다.

 

켈빈 왕(Kelvin Wang Man-ping) 홍콩대 공중보건학 박사는 지나친 코비드19 정보 공유는 오히려 정보 과부하를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단체채팅방에서 지속적으로 전염병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이미 관심이 없거나 다른 건강 문제로 관심이 옮겨진 가족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불만과 긴장감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팩트 체크가 안 된 부정확한 정보를 공유했을 때, 그 악영향은 더욱 심각해진다.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정보의 출처가 불확실하거나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서로 간의 악감정이 커지거나 책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65세 이상의 응답자 중 75.4%가 다른 가족원들에게 항상 전염병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그중 63.7%만이 정보를 공유하기 전에 정보의 사실 여부를 확인한다고 말했다.

 

반면 18~44세의 응답자 중 80%가 항상 정보가 정확한지 먼저 확인 후 단체 채팅방에 공유한다고 답변했다.

 

켈빈 왕 박사는 “노년층들은 가족에 대한 관심과 염려에 코비드19 정보를 공유하고 있지만, 팩트 체크를 할 기술과 판단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정보 정확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노년층들이 이러한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문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단체 채팅방에서 코비드19에 대한 관심이 쏠리면서 가족원 간의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일에 소홀해졌다. 덕담에 속하는 감사함 또는 축복에 대한 표현이 각각 전체 대화에서 8.3%와 15.6%를 차지해 코비드19 정보 공유 빈도보다 현저히 적었다.

 

람 타이힝(Lam Tai-hing) 홍콩대 공중보건대 학장은 “가족원 간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더 많이 주고받아 대화와 화합을 이끌어야 한다. 메시지를 통해 정보만 공유할 것이 아니라 가족에 대한 염려와 관심을 표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4.png (File Size:359.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3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1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0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09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08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6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5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4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3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2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1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0 홍콩 홍콩-필리핀, 해양 폐그물 공동 수거 작업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8.27.
899 홍콩 손모아 행복 "홍콩內 한인업체 이용하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8 홍콩 HSBC, 중소기업 지원 사격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7 홍콩 부동산 침체로 8천명 부동산 종사자 실업 위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6 홍콩 안전한 도시 2019, 홍콩 9위에서 20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5 홍콩 3개 중국계 기업, 홍콩 상장 신청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4 홍콩 우주박물관 기념품 가게 입찰 실패로 문 닫아 file 위클리홍콩 1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