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

 
6.png
 
홍콩 중고등학생들이 대체로 지난해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홍콩청년협회(Hong Kong Federation of Youth Groups)가 지난 9~10월에 중고등학생 총 4,443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실태 연례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학생 수가 늘어났다.

 

스트레스 지수를 1~10점으로 분류했을 때, 자신의 스트레스 수준을 ‘높음’에 해당하는 7~10점이라고 답변한 학생이 52%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약 400명이 가장 높은 10점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2019년과 2018년에 실시한 동일한 연례 설문조사에서 ‘높음(7~10점)’이라고 답변한 응답자 비율 각각 41%와 3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가오는 시험(77%), 예상보다 저조한 학업 성적(62%) 등 학업 문제가 중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올해 코비드19 확산으로 대면 수업이 중단되고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면서 학업 진도를 따라가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는 응답자가 45%로, 새로운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떠올랐다. 한편 응답자 25%가 대면 수업에 다시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답변했다.

 

슈 시우만(Hsu Siu-man) 홍콩청년협회 서비스 코디네이터는 “설문조사 결과, 좋은 성적을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높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오랫동안 대면 수업이 중단되면서 학생들의 스트레스도 더 높아졌다. 일부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면서 진도를 따라가지 못해 걱정했다”고 말했다.

 

코비드19 확산으로 지난 2월 초부터 약 4개월 동안 대면 수업이 중단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었다. 5월에 약 한 달 동안 일시적으로 대면 수업이 재개되었지만 코비드19 3차 확산으로 9월 말까지 다시 대면 수업이 중단되었다.

 

이 밖에도 코비드19 감염 두려움(33%), 작년 홍콩 시위에 대한 의견 차이로 친구들과의 갈등(10%), 따돌림 또는 괴롭힘(9%) 등이 가장 우려하는 사항으로 꼽혔다.

 

자가평가우울척도(Zung Self-Rating Anxiety Scale)를 기반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 22%가 불안 증세를 보였으며 이는 2018년보다 6.5% 포인트 높다. 이 중 11.8%가 경미한 불안 수준을 보였으며 5.4%가 보통 수준의 불안, 4.7%가 중증 불안 증세를 보였다. 자가평가우울척도는 우울증에 대한 자가테스트 방법 중 하나로, 팔·다리 떨림, 피로감, 심박수 빨라짐 등 약 20가지 증상에 대한 빈도를 통해 측정한다.

 

홍콩청년협회는 학생들의 불안 요소를 찾고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학교가 적극적으로 도와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407.9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3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1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0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09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08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6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5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4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3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2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1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900 홍콩 홍콩-필리핀, 해양 폐그물 공동 수거 작업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8.27.
899 홍콩 손모아 행복 "홍콩內 한인업체 이용하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8 홍콩 HSBC, 중소기업 지원 사격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7 홍콩 부동산 침체로 8천명 부동산 종사자 실업 위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6 홍콩 안전한 도시 2019, 홍콩 9위에서 20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5 홍콩 3개 중국계 기업, 홍콩 상장 신청 file 위클리홍콩 19.09.03.
894 홍콩 우주박물관 기념품 가게 입찰 실패로 문 닫아 file 위클리홍콩 1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