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홍콩·중국에 대한 제재 정책 큰 변화 없을 것’

 

9.png

(사진=scmp)

 

8일(일), 나흘간 진행된 미국 대선이 조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로 막을 내린 가운데, 홍콩과 중국에 대한 제재 향방과 향후 미중 관계 전망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체로 전문가들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도 기존 홍콩과 중국에 대한 미국 정책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조 바이든 당선인은 민주당 내 대중국 매파들을 끌어안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프란시스 루이(Francis Lui) 과기대학 경제학 교수는 “조 바이든 당선인은 홍콩에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진 않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 바이든 당선인이 홍콩에 대해 더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되지만 기존 봉쇄와 고립으로 중국을 압박하던 미국 국가 정책에는 실질적 변화를 가져오진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홍콩 및 중국 정부 관리에 대한 경제 제재와 홍콩에 대한 특별 무역 지위 박탈이 철회될 가능성이 낮다고 덧붙였다. 또한 “물론 홍콩 정부가 홍콩 무역 제재 철회를 위해 미국 정부에 로비할 수도 있겠지만, 홍콩은 이미 강력한 입지를 잃은 상황이기 때문에 중국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다만 기존에 이미 홍콩에 가해진 제재보다 더 강력한 조치를 채택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프란시스 루이 교수는 “민주당 지지자, 특히 그 중 경제 전문가들이 대체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와 무역 정책에 반대가 높았던 만큼, 조 바이든 당선인은 이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일부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들을 완화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대부분 전문가는 방식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미국의 중국 압박 기조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행정부 때와 달리 차기 행정부는 미국 대 중국 일대일 대결 구도가 아닌 중국 대 다자간 견제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통주의자’로 알려진 조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끊긴 동맹국과의 연맹 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협력을 통해 중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조 바이든 당선인이 트럼프 대통령 때처럼 홍콩을 볼모로 삼아 중국을 압박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장 피에르 카베스탄(Jean-Pierre Cabestan) 미중 관계 전문가이자 침례대학 교수는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의 이익을 보호하면서 홍콩과 중국을 동시에 압력을 가하는 전략은 매우 어려운 방법이다”고 말했다.

 

한편 존 바이든의 당선 소식에 캐나다, 영국, 독일, 일본, 한국 등 세계 지도자들의 축하 메시지가 보냈다.

 

홍콩은 작년부터 올해까지 홍콩 시위, 코비드19 팬데믹, 미국의 경제 제재 삼중고를 겪으며 최악의 경제 침체와 실업률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시행하고 한 달 후 트럼프 대통령이 캐리 람 행정장관 등 홍콩 자치를 훼손한 11명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은행 거래를 금지했다. 또한 홍콩에 대한 특별 무역 지위 박탈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홍콩 제품에 ‘메이드 인 홍콩’이 아닌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를 의무화한다고 잇따라 발표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862.9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3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2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1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0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9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8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6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5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4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3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1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0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9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8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6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5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54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