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D50 보조금은 2023년까지 감면

 

5.png

 

지난 10일(화), 홍콩 전력회사 CLP파워(CLP Power)와 HK일렉트릭(HK Electric)가 내년 전기 요금을 동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여야 의원들은 경기 침체 속에서 주민들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전기 요금 1회성 보조금 제도를 연장할 것을 촉구했다.

 

CLP파워와 HK일렉트릭은 내년도 전기 기본료를 각각 1.5센트와 7센트 인상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다. 현재 CLP파워와 HK일렉트릭은 칼로와트시(kWh)당 각각 1.218 홍콩달러와 1.264 홍콩달러다. CLP파워는 카우룽, 신계, 란타우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HK일렉트릭은 홍콩섬과 람마섬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홍콩 전기 요금은 기본료와 세계 석유 가격에 따라 조정되는 유류 할증료 두 가지 요금 구성에 따라 가격이 측정된다. 올해 전 세계 유가가 하락하면서 오히려 전기 요금이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정부의 오염물질 배출량 감소 목표에 따라 홍콩 전력 업체는 기존 혼합 연료 중 50%를 천연가스 연료로 교체하면서 올해 1월부터 요금 인상이 되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재정적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가구당 2천 홍콩달러 1회성 보조금 지급했으며 2023년까지 가구당 매달 50 홍콩달러 감면해 소비자들은 실질적인 요금 인상 체감은 없다.

 

2천 홍콩달러 1회성 보조금 제도는 다음 달 종료를 앞두고 여야당 의원들은 보조금 제도를 연장하거나 전기료를 더 인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청 총타이(Cheng Chung-tai) 의원은 “전기 요금 동결은 가장 기본적인 조치일 뿐이며 주민들을 직접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요금 자체를 인하하고 정부 보조금을 늘리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웡 캄싱(Wong Kam-sing) 환경부 장관은 현재 시행 중인 50 홍콩달러 보조 제도를 통해 이미 가구당 평균 전기료 20%에 해당하는 200~300 홍콩달러를 감면해주고 있다고 밝히며 추가적인 보조금 지급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더 나아가 웡 장관은 “홍콩이 탈탄소화 계획에 따라 전력회사들이 더 깨끗하지만 비싼 천연가스 공급률을 늘려야 하고 새로운 시설 구축에 투자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환경 정책과 경제성 간의 균형점을 찾아야 했기에 전력 회사들에게 내년도 요금을 동결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윌리엄 유(William Yu) 에너지 경제학자이자 세계녹색기구 최고경영자는 “두 전력회사가 새로운 천연가스 시설을 구축해야 하는 가운데 코비드19로 경제 활동 감소로 도시 전체의 에너지 소비량도 줄어들었기에 전기 기본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한다. 그러나 수년 간 발생된 초과이익으로 마련된 ‘요금 안정화 기금(tariff stabilisation fund)’를 잘 활용한다면 2022년까지 충분히 요금을 동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CLP파워는 소비자 80만 명에게 총 1억6천만 홍콩달러 상당의 바우처를 배분하고 분할 아파트와 임시 주택에서 거주하는 세입자들을 위해 전력 절약 기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HK일렉트릭은 최대 2천3백만 홍콩달러 상당의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608.7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33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1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0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9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8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