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재료 사용 장려, 저탄소 교통시스템으로 전환

 

6.png

 

 

환경국 산하 지속가능발전위원회(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최신 장기 기후 변화 전력 보고서에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보고서에 명시된 제안들이 지나치게 소극적인 접근 방식이라며 보다 더 과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신 보고서에는 재활용 재료 재사용 장려, 전기 자동차 신청 증가, 신녹색 건축 기술 채택 등 에너지 생산, 교통, 도시 계획 등 8가지 부문을 포괄하는 55가지 권고안이 마련되었다.

보고서는 장단기 목표가 포함되었으며 특히 수입 원자력 에너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동시에 녹색 수소와 같은 재생 에너지 자원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건축물 건설을 장려하도록 인센티브와 벌금제를 실시하고, 저탄소 교통 시스템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화석 연료 차량을 저탄소 배출 차량으로 교체하는 방안 등이 포함되었다.

 

아서 리(Arthur Li) 위원장은 “2050년까지 탄소 제로는 어려운 목표지만 책임감있고 필요한 결정이다. 아시아 국가들이 모두 탄소 중립 목표로 하고 있으며 홍콩이 이러한 흐름에 뒤쳐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중국은 2060년까지 온실가스 제로를 목표한다고 밝혔으며 일본과 한국 또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한다고 발표했다. 그에 반해, 불과 3년 전에 제출된 홍콩 기후 대응 계획 보고서에서는 2030년까지 2005년 탄소 배출량에서 26~36% 감축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목표가 설정되었다.

 

한편 많은 환경 단체들이 2050년 탄소 중립 계획에 지지를 했지만 일각에서는 보고서에 제안된 권고들은 ‘이도 저도’ 아닌 미온적이라고 지적했다.

 

프렌츠 오브 더 어스(Friends of the Earth)는 화석 연료에서 천연가스와 원자력 에너지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기보다는 2050년까지 모든 화석 연료를 폐기하고 자체 생산 또는 수입을 통해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 나아가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 녹색 수소로 전환하고 있으며 홍콩이 이러한 세계 추세에 발 빠르게 맞춰야 한다”며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해지도록 정부가 시장 자유화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더 그린 어스(The Green Earth)는 녹색 수소 전환 흐름에 뒤처지면 안 되며 정부는 교육기관 등과 협력하여 녹색 수소 연구를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보고서가 원자력 에너지에 집중된 이유에 대해서 녹색 수소 기술이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데다 생산 과정에서 여전히 탄소가 배출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토지가 부족한 홍콩에서는 태양열, 풍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 생산을 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홍콩의 경우, 원자력 에너지가 더 실용적이라고 주장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234.5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33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1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0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9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8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