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ng

 

지난 9월, 잡스DB(JobsDB)가 총 436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설문조사 결과, 내년 평균 임금인상률이 0.8%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설문조사 결과보다 1.9% 포인트 하락했으며, 10년래 가장 낮은 인상 폭이다.

 

애널리틱스, 기업 판매, 사업 개발, 교육, 운송, 물류, 정보기술, 디자인 등 직종이 임금 인상이 가장 높은 직군인 반면 나머지 직종은 평균 인상률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채용 동향을 살펴보면, 설문조사 참여 회사 64%가 내년에 전반적인 채용 계획이 다시 코비드19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19%가 내년 2분기에 회복, 20%가 내년 3분기에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들은 새로운 인력 채용에 좀 더 소극적인 반면 대기업들은 내년에 채용 계획이 더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비드19 펜데믹이 오래 지속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직원 채용과 경제 전망에 신중함을 보이고 있다. 지난 6~8월 기간, 새로운 직원을 채용했다고 답변한 회사는 65%였으며, 일선 또는 사무직 직원이 전체 채용 인력 중 58%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응답 회사 23%가 직원 감축을 했으며 중간 관리자 및 비관리자급 전문가(37%), 관리책임자 및 임원급 직원(43%), 일선 직원(42%) 등으로 나타났다.

 

내년 1분기까지 직원 수를 유지할 것이라고 답변한 회사가 63%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설문조사 결과보다 28% 포인트 줄어들었다. 반면 14%가 정규직 직원 증원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으며, 일선 직원과 중간 관리자급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변한 회사가 각각 52%와 50%에 달했다.

 

한편 응답 회사 48%만이 실무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고 답변해 지난해 71%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이삭 샤오(Isaac Shao) 잡DB 홍콩 CEO는 “코비드19 펜데믹으로 많은 회사들이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지만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비즈니스 성장을 위해서는 직원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콩인력자원관리학회(HRM)가 지난 10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내년 임금인상률이 1.7%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난해 3.6%보다 낮아졌으며 10년래 최저다. 10개 회사 중 3곳은 내년 임금을 동결한다고 답변한 반면 나머지는 인상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로렌스 헝(Lawrence Hung) HRM 부학회장은 “많은 회사들이 코비드19가 통제되기 전까지 회사 예산과 비용을 긴축하려는 경향이 평균 임금 인상률 하락에 반영되었다. 앞으로 코비드19로 인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기업의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이며, 이것이 내년도 임금 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758.0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3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2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1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70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9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8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6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465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4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3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1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60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9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8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6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455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54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