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부 에드워드 야우 장관 ‘작년하고 비슷한 수준, 문제없어’

 

8.png

(사진=RTHK)

 

최신 정부 통계에 따르면, 홍콩 사무소를 둔 외국계 기업 수가 10년 만에 감소했다.

 

홍콩투자청(InvestHK)과 정부통계처(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가 공동 설문조사 결과, 홍콩에 지역본부·사무소를 둔 외국계 기업 수가 지난해 9,040개에서 올해 9,025개로 줄어들었다.

 

중국계 회사가 총 1,986개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1,398개), 미국(1,283개), 영국(665개), 싱가포르(453개)가 그 뒤를 이었다. 영국계와 미국계 기업 수가 지난해 대비 각각 6.7%와 4.5% 감소한 반면 중국계 기업은 지난해보다 약 10% 이상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수출입 무역 및 도소매 부문이 4,212개로 가장 많았으며, 금융 및 은행이 1,735개, 전문 서비스 및 비즈니스와 교육 산업이 1,392개로 나타났다.

 

홍콩에 지역본부·사무소를 둔 이유에 대하여 ‘간편한 조세제도 및 낮은 세율’이 68%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성’이 58%, ‘자유로운 항구’가 53%로 그 뒤를 이었다.

 

향후 3년 내 홍콩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56%가 ‘현행 유지’라고 답변했으며, 15%가 ‘확장한다’, 21%가 ‘계획된 것이 없다’, 4%가 ‘일부 또는 전체 사업을 해외로 이전한다’고 답변했다.

 

지난 28일(토), 에드워드 야우(Edward Yau) 상무부 장관이 홍콩 상업 라디오 방송(Commercial Radio Hong Kong)에서 해외 기업들의 탈홍콩 현상 우려에 대해서 “홍콩에 사무소를 둔 외국계 기업 수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지만, 총 기업 수는 작년 수치와 비슷하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또한 홍콩 국가보안법 도입에 대한 많은 해외 국가의 우려에 대해서 “헌법적 안정성과 법치를 위해 국가보안법이 꼭 필요하다. 국가보안법은 해외 기업들의 이익을 보호해줄 것이다. 해외 국가들은 자신의 나라에도 국가보안법이 존재하는지를 한번 살펴봐야 한다”며 지난해 홍콩 시위로 많은 해외 기업들이 불안감을 표명했지만, 여전히 홍콩 사업을 이어가기로 결정한 기업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475.0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33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1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30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9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928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2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91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91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