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ng

 

2019년 반정부 시위에 이어 지난해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관광객이 급감하고 실업률이 16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올해도 사무실과 소매 점포 임대료가 계속 하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전문가는 전통적 비즈니스 지구인 어드미얼티, 센트럴 등의 A급 사무실 임대료와 주요 쇼핑지구인 센트럴 퀸즈로드(Queen’s Road), 코즈웨이베이 러셀 스트리트(Russell Street) 등의 소매 점포 임대료가 가장 심한 타격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팬데믹 여파로 재택근무가 뉴노멀이 되면서 유연한 사무실 환경에 대한 임차 기업들의 수요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기존 사무실을 공유 사무실로 활용하려는 임대주가 늘 것이며, 이것이 위워크(WeWork) 등과 같은 공유 사무실 전문기업과 새로운 경쟁 구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는 A급 사무실 임대료가 올해 11~16%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존 시우(John Siu) 전무는 “신축 사무실 빌딩들이 계속 시장에 공급되는 가운데 사무실 임대주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세입자 유치 경쟁이 사무실 임대료 인하 현상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소매 점포 부문의 경우, 전문가들은 올해 점포 임대료가 10~15%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퀸즈로드, 러셀 스트리트 등 전통적 쇼핑 지구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관광객을 잃은 쇼핑지구는 저렴해진 점포 가격에 일상용품 소매업체, 중저가 제품 소매업체 등이 빈 공간을 채우게 될 것이다.

 

나이트 프랭크 마틴 웡(Martin Wong) 중화권 리서치 책임자는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홍콩 방문 관광객 수가 급감하면서 코즈웨이베이, 센트럴 등 지역의 점포 공실률이 15% 이상으로 크게 상승했다. 점포 임대료는 2021년에도 계속 하향세를 보일 것이다”고 밝혔다.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는 국경 간 여행 제한이 완화되더라도 관광객 수가 즉각적으로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무디스는 “팬데믹에 대한 대중들의 불안 심리와 더불어 지속되는 경제 불확실성으로 향후 12개월 동안 소매 부문이 계속 위축할 것이다. 더 나아가 팬데믹으로 인하여 홍콩의 이커머스 시대가 앞당겨지면서, 의류, 신발 등 소매업체들의 오프라인 점포 임대 수요가 줄 것이다”고 전망했다.

 

한편 콜리어스 인터내셔널(Colliers International)은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짙은 잿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투자의 기회를 엿보는 사모펀드 매니저들의 투자 욕구가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특히 주거용 부동산 개발부지, 주거단지 인근 쇼핑몰, 전략적 상업 부동산 등 방어적 자산(defensive assets)에 대한 인기가 여전히 높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3.png (File Size:480.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73 홍콩 초소형 아파트 7개월 간 저조한 판매, 결국 최고 38% 가격 인하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2 홍콩 오션파크, 2020년까지 태양열 에너지 생산량 3배로 늘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1 홍콩 버드와이저 맥주회사, 홍콩에서 세계 최대 IPO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0 홍콩 홍콩-이탈리아 워킹홀리데이 협정 체결…연간 최대 500명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69 홍콩 反범죄인 인도법 시위, 홍콩인과 소수인종 출신자 하나 되어 위클리홍콩 19.07.09.
968 홍콩 홍콩 중요 은행, 중고 아파트 가치 평가액 최대 3.6%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7 홍콩 ’범죄자인도 송환법 반대‘시위, 사틴(Sha Tin)지역에서 충돌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6 홍콩 외국인 은행종사자, 홍콩 취업문 좁아 재취업 어려워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5 홍콩 DSE 입시 시험 7개 과목 올백 받은 학생 12명, 사상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4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이후 新투표자 35만 명 이상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3 홍콩 사이언스 파크, 혁신 기술 허브로 발돋움 위해 상위 연구기관 유치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2 홍콩 MPF 작년 평균 –8.21% 손해, 과연 대중들의 노년 생활 보장 제도인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1 홍콩 홍콩인들의 중국 군부대·정부기관 지원 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0 홍콩 제철 과일 예년보다 가격 저렴해…美 체리 작년 대비 20%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59 홍콩 브루스 리 저택 철거 소식에 수많은 팬들 실망감 표해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58 홍콩 단기적 아파트 공급, 신계북서부 부동산 개발 수정...300채에서 11,000채 이상으로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7 홍콩 샤틴-센트럴 전체 개통 2021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6 홍콩 홍콩 여성 노동 인구 50.8%로, 기타 선진국에 비해 저조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5 홍콩 스마트 도시 계획 일환 ‘3년 내 스마트 가로등 400개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4 홍콩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 향상 위해 비강 분무형 백신 제공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