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은 역대 최고가 경신… 안전자산 투자 몰려

 

6.png

 

지난해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결혼식 등 많은 가족 행사와 연회가 취소되면서 귀금속 업계는 중국 전통 선물인 금 귀금속 매출이 약 80% 하락했다고 추정했다. 귀금속 매출은 2019년 반정부 시위로 내수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미 한차례 타격받았다.

 

 

지난해 금 귀금속 판매가 부진했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연일 상승했다. 미중 간 정치적 긴장, 코비드19 팬데믹, 인플레이션, 글로벌 경제의 높은 불확실성 등 요인으로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가 몰리면서 금값이 2011년 온스(28.34g)당 1,920 달러 선을 돌파해 수차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8월에는 온스당 2,075 달러까지 급등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금 전문가들은 올해 금값이 25%까지 더 상승해 사상 최고를 기록한 후 점차 하락할 것이며 최대 10%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헤이우드 청(Haywood Cheung) 금은업무역장(Chinese Gold and Silver Exchange Society) 대표는 “팬데믹으로 많은 신혼부부들이 결혼식 계획을 연기 또는 취소하면서 귀금속 업계 매출이 약 80%까지 하락했다. 이는 수십 년 만에 최악이다”고 밝혔다. 2020년 1~10월 기간 등록된 혼인신고는 총 2만663건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 하락했다.

 

 

결혼식뿐만 아니라 신생아 탄생 파티, 생일, 은퇴 파티 등 많은 축하 연회들이 취소되었고, 중국 전통 선물인 금 판매에도 큰 타격을 미쳤다. 중국에서는 신혼부부에게 용과 봉황이 새겨진 금 팔찌와 같은 장신구를 선물하며 신생아 축하, 은퇴자 기념, 생일 축하 선물 등으로 가족과 지인들에게 금 귀금속을 많이 선물한다.

 

 

헤이우드 청 대표는 “2020년 쥐띠해가 결혼과 출산하기 좋은 길해였던 만큼 안타까움이 많이 남는다. 귀금속 업계가 2019년 반정부 시위로 매출이 40%까지 감소했던 만큼 이듬해인 2020년에는 매출 회복을 기대했지만, 코비드19 팬데믹이 희망을 무너트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올해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바이러스 확산이 통제되면 연기됐던 많은 결혼식이 개최돼, 올해 귀금속 매출이 50%까지 반등할 것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 12월 28일 기준, 세계 금값은 전년 대비 24% 상승해 온스당 1,866 달러에 거래됐다. 홍콩 급 시세는 같은 날 1 테일(tael, 1.33온스, 37.6g)당 17,475 홍콩달러에 거래됐으며, 금룡과 봉황이 새겨진 금팔찌 1 테일이 약 2만1,000 홍콩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해 초 1만6,038 홍콩달러보다 약 31% 상승했다.

 

 

제스퍼 로(Jasper Lo) 금 분석가는 대부분 국가에서 코비드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는 만큼 금값이 1,950 달러 선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며 올해 중 1,650 달러까지 10% 이상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외환거래회사 액시(Axi)의 스티븐 이네스(Stephen Innes) 수석 글로벌 시장 투자전략가는 “금값은 올해 미국 달러 흐름에 따라 달렸다. 올해 1분기에 금값이 온스당 1,950 달러 이상까지 반등한 후 백신 낙관주의 속에서 점차 하락할 것이다. 여기에 경제 회복, 중앙은행들의 유동성 회수까지 더해져 연말까지 1,600 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514.5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73 홍콩 초소형 아파트 7개월 간 저조한 판매, 결국 최고 38% 가격 인하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2 홍콩 오션파크, 2020년까지 태양열 에너지 생산량 3배로 늘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1 홍콩 버드와이저 맥주회사, 홍콩에서 세계 최대 IPO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0 홍콩 홍콩-이탈리아 워킹홀리데이 협정 체결…연간 최대 500명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69 홍콩 反범죄인 인도법 시위, 홍콩인과 소수인종 출신자 하나 되어 위클리홍콩 19.07.09.
968 홍콩 홍콩 중요 은행, 중고 아파트 가치 평가액 최대 3.6%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7 홍콩 ’범죄자인도 송환법 반대‘시위, 사틴(Sha Tin)지역에서 충돌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6 홍콩 외국인 은행종사자, 홍콩 취업문 좁아 재취업 어려워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5 홍콩 DSE 입시 시험 7개 과목 올백 받은 학생 12명, 사상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4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이후 新투표자 35만 명 이상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3 홍콩 사이언스 파크, 혁신 기술 허브로 발돋움 위해 상위 연구기관 유치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2 홍콩 MPF 작년 평균 –8.21% 손해, 과연 대중들의 노년 생활 보장 제도인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1 홍콩 홍콩인들의 중국 군부대·정부기관 지원 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60 홍콩 제철 과일 예년보다 가격 저렴해…美 체리 작년 대비 20%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59 홍콩 브루스 리 저택 철거 소식에 수많은 팬들 실망감 표해 file 위클리홍콩 19.07.16.
958 홍콩 단기적 아파트 공급, 신계북서부 부동산 개발 수정...300채에서 11,000채 이상으로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7 홍콩 샤틴-센트럴 전체 개통 2021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6 홍콩 홍콩 여성 노동 인구 50.8%로, 기타 선진국에 비해 저조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5 홍콩 스마트 도시 계획 일환 ‘3년 내 스마트 가로등 400개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7.23.
954 홍콩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 향상 위해 비강 분무형 백신 제공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