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미국, 이스라엘 등에서도 잇따라 사망자 발생

 

4-.png

 

노르웨이에서 잇따라 화이자 백신 관련 사망자가 보고되면서 의료 전문가들은 홍콩 내 코비드19 백신 접종을 미루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16일(현지시간) 기준 노르웨이 보건 당국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 후 사망한 사람이 29명으로 늘었다고 보고했다. 사망자 대부분이 요양원에 입원한 80세 이상 고령자로 알려졌으며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다. 사망자 모두 백신을 맞은 후 부작용을 겪었고, 노르웨이 의약청이 사망자 13명을 부검한 결과, 백신 접종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발표했다. 노르웨이에서는 지금까지 약 3만3천 명이 백신을 접종했다.

 

노르웨이의 백신 부작용 소식에 홍콩에서도 백신 접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 의학 고문 중 한 명인 월리스 라우(Wallace Lau) 박사는 “안전성과 효능이 보장되어야 백신 접종을 결정할 수 있다.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높은 가운데 대규모 접종을 연기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해외 부작용 사례와 백신에 대한 데이터들을 더 많이 수집하여 검토 및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후이(David Hiu) 박사는 “기존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 후 제약회사 측으로부터 부검 보고서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정보가 있는지 사망자들이 백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등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이스라엘, 포르투갈 등에서도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노르웨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젊은 계층에서도 사망한 사람이 나와 불안을 키우고 있다. 미국에서는 50대 의사가 백신 접종 후 사망했고, 지금까지 21건의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이는 100만 회 접종당 11.1건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스라엘에서는 70대와 80대 노인 2명이, 포르투갈에서는 40대 간호사가 1명이 각각 숨졌다.

 

한편 홍콩 신규 확진자 수가 여전히 하루에 25~60명이 발생하고 있으며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 감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사현장, 야우침몽 주거지역, 공공 주택 등에서 잇따라 집단 감염이 발생해 정부는 20여 곳에 대한 코비드19 의무 검사 명령을 내렸다. 전문가들은 현 단계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하면 확진자 수가 금세 반등할 수 있다고 경고해 다음 달 춘절을 앞두고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건강보호센터의 추앙 슈콴(Chuang Shuk-kwan) 박사는 “일일 확진자 수가 여전히 들쑥날쑥한데다 최근 1,2주 동안 뚜렷한 하향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되고 시민들이 이러한 조치들을 잘 지키지 않는다면 확진자 수가 다시 반등할 것이다”며 “초기에는 밀접 접촉자 위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었지만 지금은 밀접 접촉하지 않은 사람 간 감염이 늘고 있어 바이러스 전파 속도가 빨라졌다”고 우려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455.5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73 홍콩 분노하는 홍콩 공립병원 의사들 옥자 15.10.22.
1372 홍콩 홍콩인 영어 구사력, 아시아 12개 국가 중 9위 홍콩타임스 15.11.11.
1371 홍콩 홍콩 aT, 호텔 아이콘과 함께 한식 세계화·대중화 앞장서 홍콩타임스 15.11.12.
1370 홍콩 홍콩, 새로운 바람은 불 것인가? 홍콩타임스 15.11.26.
1369 홍콩 마카오에서 엑소가 뭉쳤다! ‘엑소 플래닛 #2-디 엑솔루션’ 성료 홍콩타임스 15.11.28.
1368 홍콩 홍콩에서 바라본 '2015 MAMA'..."한류바람 이용 마케팅 성공" vs "팬 서비스 아쉬움 커" 홍콩타임스 15.12.04.
1367 홍콩 美서 대유행 '푸드트럭’... 홍콩서도 볼 수 있을까 홍콩타임스 15.12.10.
1366 홍콩 홍콩쇼핑센터 ‘CTF HOKO’ 선전 첸하이에 개장... 중국 본토 첫 진출 홍콩타임스 15.12.10.
1365 홍콩 겨울 이상 기후로 크리스마스 연말 경기 실종 file 홍콩수요저널 15.12.18.
1364 홍콩 홍콩 여성 재벌 수 증가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363 홍콩 홍콩 연말 경기 소폭 개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362 홍콩 외국여권 소지 홍콩시민에게도 중국법 적용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361 홍콩 중국 금서 출판 사업자, 2013년 한해동안 15억원 벌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360 홍콩 '인기 낮은'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 차기 대권 출마 시사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359 홍콩 중국 당국 개입한 홍콩 시민 납치 사건 이전에도 있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358 홍콩 홍콩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평당 5억 5천만원" 홍콩타임스 16.01.19.
1357 홍콩 1월 강수량 52년 만에 최고 홍콩타임스 16.01.19.
1356 홍콩 홍콩정부, '무상 유치원' 계획 발표 홍콩타임스 16.01.19.
1355 홍콩 홍콩 필리핀 가정부, "고용주가 중국에 데려가 일 시켜" 홍콩타임스 16.01.19.
1354 홍콩 홍콩달러, 4년 만에 최저수준까지 폭락 홍콩타임스 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