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구매결정 캐주얼화

 

7.png

 

세계적인 시장조사 회사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Euromonitor International)은 지난 18일(월) 올해 비즈니스에 주요 영향을 미칠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 10가지를 발표했다.

 

유로모니터는 코비드19 팬데믹이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를 탄생시켰거나 영향을 미쳤거나 혹은 가속화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주요 트렌드는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 △더 편리하게(Craving Convenience) △아웃도어 오아시스(Outdoor Oasis) △피지털 리얼리티(Phygital Reality) △집콕 챌린지(Playing with Time) △더 커진 알 권리, 말할 권리(Restless and Rebellious) △안전제일주의(Safety Obsessed) △흔들리는 멘탈 관리(Shaken and Stirred) △갓성비 소비자(Thoughtful Thrifters) △새로운 업무환경(Workplaces in New Spaces) 등이 꼽혔다.

 

특히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전 세계 공통적으로 나타난 재택근무다. 보고서는 단순히 업무 공간을 집으로 옮긴 것 이상으로, 재택근무는 소비자의 의류 소비부터 전자기기 구매, 식습관까지 일상생활 전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근무환경과 업무 일정이 변화하면서 지출을 어디에 어떻게 할지에 영향을 미친다. 재택근무 시행으로 소비자들은 회사 출퇴근이 줄어들면서 정장보다는 활동하기 편한 캐주얼한 의상을 고를 것이다. 같은 이유로 화장품도 색조 제품보다는 기초 제품이 더 많이 팔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식비는 더 늘어날 것으로 봤다. 외식하는 분위기를 내기 위해 소비자들이 고급진 재료와 요리법을 찾을 것이란 관측이다.

 

전통적 출퇴근 근무환경에서는 카페에서 커피를 마신다거나 퇴근 후 직장동료와 식사를 하는 등 다양한 외부 활동을 할 기회가 많겠지만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원하는 시간에 일하고, 휴식하고 식사를 하며 업무 일정을 새롭게 정의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식사, 쇼핑, 기타 여가생활을 모두 집에서 즐기는 시간이 길어질 것이다.

 

동시에 일과 생활의 균형인 워라벨(Work-life balance)에 대한 고민도 늘 것이다. 허버트 염(Herbert Yum) 리서치 매니저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아시아는 재택근무 문화가 상대적으로 보편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아시아 국가에서 재택근무 문화가 더 보편화되면서 아시아 소비자들의 생활에 더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고 말하며 “동시에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더 오래 일할수록 더 높은 임금 또는 더 좋은 성과를 낸다는 개념 때문에 워라벨 유지가 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이 직원들의 워라벨 보장, 생산성 향상, 직원 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574.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2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1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0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9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8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7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6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5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4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3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2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1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0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9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8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7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6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5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4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