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여파로 사회 혼란 감소

 

11.png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홍콩이 지난해 93위에서 올해 58위로 껑충 뛰었다.

 

ECA 인터내셔널(ECA International)이 27일(수) 발표한 최신 ‘아시아 외국인 주재원이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홍콩이 58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2019년)에 일어난 홍콩 시위 여파로 큰 영향을 받았던 대중교통 네트워크, 범죄율 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2019년에는 대형 태풍이 여러 차례 홍콩을 강타했던 반면 지난해에는 많지 않았다.

 

홍콩은 전체 순위에서 크게 상승했지만, 일부 부문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받았다. 예컨대, ‘언론의 자유’ 부문에서는 지난해 6월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순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순위와 비교했을 때도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한편 싱가포르는 첫 조사가 시행되었던 2005년부터 이번 최신 순위까지 1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리 퀘인(Lee Quane) ECA 인터내셔널 아시아 지역 책임자는 “싱가포르는 우수한 인프라스트럭쳐, 저공해, 주재원 커뮤니티 등이 잘 형성되어있다. 또한 코비드19 팬데믹 방역 정책으로 지난해 시행한 싱가포르판 봉쇄조치(서킷 브레이크, circuit break)가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시행되지 않은 점도 요인이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럽 대부분 도시들은 최신 순위에서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로마, 리스본 등과 같은 큰 도시들도 지난해 순위보다 20위 이상 하락했으며, 파리의 경우 올해 처음으로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유럽 도시들의 순위 하락은 코비드19 팬데믹 방역 조치가 이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코비드19 팬데믹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각국의 방역 정책과 강도에 따라 올해 순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유럽 전 지역에서 봉쇄 조치가 시행되고 여행이 제한되면서 많은 유럽 도시들의 ‘자유로운 이동’ 부문과 ‘여가’ 부문의 점수가 크게 하락했다.

 

ECA 인터내셔널은 매년 전 세계 490개 이상의 도시를대상으로 기후, 의료 서비스, 주택 및 공과금, 인프라스트럭쳐, 도시 안전성, 환경오염, 정치정세 등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 ECA 보고서는 기업들이 직원을 해외 주재원으로 파견할 때 직원의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12월에 발표된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비싼 도시’ 순위에서 홍콩이 1위를 기록했다. 리 퀘인 책임자는 “홍콩은 다양한 방면에서 물가가 비싼 도시지만 특히 주택 임대료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유지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록 정치적 불안전성과 코비드19 팬데믹 사태까지 겹치면서 임대료가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체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커피 한 잔의 가격을 두고 비교했을 때, 홍콩은 5.03 달러, 뉴욕 4.79 달러, 런던 3.75 달러, 시드니 3.51 달러였으며, 휘발유 1리터에 홍콩 2.40 달러, 뉴욕 0.87 달러, 런던 1.72 달러, 시드니 1.09 달러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비싼 도시’ 순위에서 유럽권 도시 순위는 올라가고 아시아권 도시 순위가 내려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유로화와 영국 파운드화 등의 강세로 유럽권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생활비 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1.png (File Size:835.8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2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1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0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9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8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7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6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5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4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3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2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1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0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9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8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7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6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5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4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