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온라인 쇼핑’·‘여행’ 관련 민원 폭증

 

7.png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홍콩 소비자위원회에 신고된 불만 민원 건수가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가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 되면서 마스크 관련 민원이 약 640배 급증했다.

 

소비자위원회가 4일(목)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에 신고된 불만 민원 건수는 30,935건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많다. 전년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4,615건에서 30,935건으로 26% 증가했다.

 

전체 민원 중 상당수가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상품과 관련한 민원이었으며, 2019년 13건에서 지난해 4,581건으로 급증했다. 그중 4,486건이 마스크와 관련한 민원이었으며, 배달 지연 또는 미배송에 대한 민원이었다. 2019년 마스크 관련 민원 7건과 비교했을 때 약 640배 급증했다.

 

소비자위원회는 “지난해 초,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초기에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중에 마스크 공급이 부족해지자 많은 소비자들이 소셜미디어 플랫폼이나 홈페이지 등 온라인에서 마스크를 대량 주문했다. 이에 급격하게 늘어난 주문에 상품 배송이 지연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위원회가 밝혔다.

 

한편 유례없는 팬데믹으로 전 세계 국경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여행 관련 민원도 전년 대비 141% 증가해 총 5,317건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원회는 “팬데믹 여파로 전 세계 항공 및 여행 업계가 큰 타격을 받으면서, 많은 소비자들의 여행 계획이 무산되었고 항공권 관련 민원이 전년 대비 4배 증가했다. 이는 전체 여행 관련 민원 중 80%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온라인으로 식품, 생활용품 등을 주문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온라인 쇼핑 관련 민원도 약 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관련 민원은 2019년 4,564건에서 지난해 13,642건으로 급증해, 전체 민원 중 45%를 차지했다. 온라인 쇼핑 민원 중 약 30%가 마스크 배송 지연, 미배송, 가격 분쟁 관련이었고 25%가 여행 관련 민원이었다.

 

소비자위원회는 “코비드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홈 이코노미(stay-at-home economy)’ 산업이 커지면서 온라인 쇼핑의 인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지난 한 해 동안 온라인 쇼핑 관련 문제가 점차 표면화되면서 민원이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대면 수업이 중단되면서 교육 관련 민원도 지난해 874건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결혼식 하객 수를 줄여야 하거나 연기하게 되면서 결혼 서비스 관련 민원도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해 233건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원회는 “팬데믹의 불가측성이 소비자와 공급자의 원활한 거래에 영향을 미치면서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판매자는 소비자들이 안심시킬 수 있도록 홈페이지, 소셜미디어 등 적절한 채널을 통해 명확하고 신속한 대응과 소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300.0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3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2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1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0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09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8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7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6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5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4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3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2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1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0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9 홍콩 홍콩 생활 물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 홍콩 달러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8 홍콩 홍콩 생산가능 인구 감소…2027년 약 17만 명 노동력 부족 전망, 주부와 은퇴자 재취업 방안 모색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7 홍콩 TSA 학업평가시험, 학업 부담 논란 속에서 작년보다 응시율 높아, 작년보다 난이도 하향…학생 부담 줄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6 홍콩 홍콩의 건축양식 발전 역사와 현재… 통라우의 흔적,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사회정치적 영향 속에서 변모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5 홍콩 간호학 학생 37.3% 환자로부터 폭력 경험.. 부족한 간호 인력난 심화 우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4 홍콩 공립병원 내원 시위자 정보 유출 의혹… 병원 당국 전면 부인, 시위 환자 목록·병원 현장 체포 등 유출 정황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