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 만에 매출 최악

 

8.png

 

홍콩 최대 연례행사 중 하나인 춘절 꽃 축제에 참여한 많은 꽃 상인들이 입장객 수 제한과 영업시간 단축 조치로 올해 축제 기간 판매가 부진해 한숨만 쉬고 있다.

 

홍콩 춘절 연례행사인 꽃 축제는 지난 6일(토)부터 춘절 전날인 11일(목)까지 열린다. 꽃 축제는 매년 도시 전역 15곳에서 상설 꽃 시장이 개최되고 수천 명의 꽃 상인이 참여한다. 꽃 축제는 꽃 상인들에게 연중 가장 큰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명절 특수다.

 

정부는 당초 코비드19 팬데믹 확산 방지 이유로 올해 꽃 축제를 취소하기로 했지만, 많은 꽃 상인들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강행되었다. 정부는 꽃 축제를 통한 코비드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입구와 출구에 적외선 센서 기기를 설치해 입장객 수를 추적하고, 참여 업체 수를 절반으로 제한했으며, 영업시간도 자정으로 단축했다. 또한 청소와 소독을 위해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저녁 6시부터 7시까지 2차례 운영이 중단된다. 모든 참여 업체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코비드19 음성결과를 받아야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많은 꽃 상인들은 정부의 바이러스 확산 방지 조치에 매출이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일부 꽃 상인은 지난해 대비 올해 최대 40%까지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꽃 상인 로(Lo)씨는 “지난 몇 년 동안 꽃 축제에 참여해 새벽 2시까지도 영업을 했었지만, 올해는 12시로 제한되었다. 게다가 정오와 저녁 시간에 두 차례 소독으로 영업이 중단되어 영업시간이 단축되었다. 인원수 제한과 영업시간 단축 조치로 올해 행사 첫 이틀간 판매가 전년 대비 30% 감소했다”고 밝혔다.

 

코즈웨이베이 빅토리아파크 축제에 참여한 초우(Chou)씨 사정도 비슷하다. 대만산 난초를 판매하고 있는 초우씨는 “올해 가격을 동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입장객 제한 조치로 매출이 큰 타격을 받았다. 올해 매출이 지난해보다 약 40% 감소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같은 기간 오히려 매출이 증가한 꽃 상인도 있었다. 10년 이상 빅토리아파크 꽃 축제에 참여한 추이(Chiu)씨는 첫 이틀 동안 판매가 10%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부분 단골 손님들로, 인원수 제한 조치 때문에 원하는 꽃을 확보하지 못할 것을 우려에 많은 단골 손님들이 사전 주문을 해줬다고 밝혔다.

 

춘절을 맞이해 많은 홍콩인들은 춘절맞이 쇼핑으로 바쁘다. 빅토리아 파크, 몽콕 꽃 시장 등에서 꽃을 구매해 집을 장식한다. 화려한 꽃은 한 해를 시작하는 복을 상징하기 때문에 새해가 시작되기 전에 다양한 꽃들로 집을 장식한다.

 

꽃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 고(Ko)씨는 정부가 엄격하게 입장객 수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어 지역 감염 위험을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로 실시간으로 인원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입구에 설치된 화면에 적색 화면이 뜨면 인원 제한 수 도달로 방문객의 입장이 중단되어 줄을 서야 한다. 인원수가 줄어들어 녹색 화면이 떠야 다시 입장이 가능해진다. 고씨는 “인원 제한과 정기적인 소독 조치로 이곳은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심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746.6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3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2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1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0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09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8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7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6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5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4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3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2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1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0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9 홍콩 홍콩 생활 물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 홍콩 달러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8 홍콩 홍콩 생산가능 인구 감소…2027년 약 17만 명 노동력 부족 전망, 주부와 은퇴자 재취업 방안 모색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7 홍콩 TSA 학업평가시험, 학업 부담 논란 속에서 작년보다 응시율 높아, 작년보다 난이도 하향…학생 부담 줄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6 홍콩 홍콩의 건축양식 발전 역사와 현재… 통라우의 흔적,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사회정치적 영향 속에서 변모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5 홍콩 간호학 학생 37.3% 환자로부터 폭력 경험.. 부족한 간호 인력난 심화 우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4 홍콩 공립병원 내원 시위자 정보 유출 의혹… 병원 당국 전면 부인, 시위 환자 목록·병원 현장 체포 등 유출 정황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