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애호가 ‘자전거 친화적 도시 조성 노력 필요’

 

6.png

 

코비드19 팬데믹 기간 홍콩 내 자전거 판매가 급증했다. 일부 자전거 애호가들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늘어난 만큼 정부가 자전거 친화적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한 이후 지난 1년여간 홍콩 정부는 강도 높은 코비드19 확산 방지 정책을 시행했고, 해외여행도 못 가고 답답한 도시 생활에 지친 홍콩 주민들은 산으로 들로 향해 하이킹과 사이클링을 즐겼다.

 

홍콩 대표 중고 판매 온라인 사이트인 캐러셀(Carousell)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많이 거래된 물품이 자전거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만 캐러셀에서 거래된 자전거는 약 4만 대에 이른다. 로드 자전거와 접이식 자전거가 가장 많이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캐러셀은 팬데믹이 시작된 후 지난 3월부터 운동 관련 용품들의 수요가 급증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동안 자전거 수요가 44% 급증했다.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시장에서 자전거 키워드 검색 횟수가 지난해에 총 1,850만 회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1.6배 늘었다. 올해도 자전거 키워드가 매월 평균 160만 회 이상 검색되어 자전거의 인기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루카스 누(Lucas Ngoo) 캐러셀 대표는 “다수 시장 보고서에서 아시아태평양 내 자전거 시장이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됐다. 정부의 각종 장려 혜택과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안전한 출퇴근 수단 및 운동 등으로 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계속 높아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홍콩 내 자전거 판매점을 운영하는 사람들도 홍콩에서 접이식 자전거의 인기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고 말한다. 성수이에서 자전거 판매점을 운영하는 제이슨 리(Jason Lee)는 지난해 3월부터 재택근무가 실시되고 휴교들이 휴교되면서 자전거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45%나 증가했다. 지난해 2~4월 기간에는 어린이용 자전거 판매가 가장 많이 늘었으며 접이식 자전거가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다. 현재 전체 매출 중 60%가 접이식 자전거가 차지하고 있다”고 현황을 소개했다. 그는 이어 “팬데믹 이전에는 자전거 애호가들이 주로 가게를 찾았으며 로드 자전거나 산악 자전거 등이 많이 판매됐다. 그러나 지금은 캐주얼하게 자전거를 타거나 가족 단위로 사이클링을 즐기기 위해 가게를 찾는 사람들이 늘었으며 접이식 자전거를 많이 찾는다. 접이식 자전거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거주 공간이 협소한 홍콩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고 설명했다.

 

자전거 애호가인 영국인 앤서니 어서(Anthony Arthur)는 9년 전 처음 홍콩에 와서 자전거를 탔을 때만 해도 홍콩 현지인보다는 외국인들이 주로 사이클링을 즐겼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전거를 타는 현지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말했다. 그는 사이클링 초보자들이 늘어난 만큼 차량 운전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도로에서 자전거를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도로 운전을 배울 때 어떻게 자전거를 지나쳐야 하는지 등에 대한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 자동차 운전자들의 운전 인식을 높여야 자전거 운전자들이 더 안전하게 도로에서 사이클링을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1995년부터 홍콩에서 거주한 미국인 라이언 블레이어(Ryan Blair)는 지난 20년 동안 도로와 산길을 따라 사이클링을 즐겼다. 그는 “주로 차량이 많이 다니지 않는 폭푸람, 스텁스 로드, 섹오 등 지역에서 사이클링을 즐긴다. 그러나 최근 타이포, 샤틴, 타이메이턱 등 차량이 많이 지역에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난 것을 목격했다”며 “정부는 자전거 친화적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홍콩섬 같은 경우, 교통 차량이 많고 가파른 길들이 많아 자전거 초보들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시민들의 운동과 자전거 통근을 장려하고 교통 체증과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전용 지역들을 더 많이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569.1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3 홍콩 홍콩 디즈니랜드 입장료 3% 인상, 개장 이래 5번째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2 홍콩 무역전쟁 속에서 홍콩 1분기 1.3% 경제 소폭 성장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51 홍콩 전자 소송 시스템 구축, ‘종이 없는 재판 시대’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50 홍콩 소음 신고 받은 길거리 공연자 자칫하면 블랙리스트에 올라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9 홍콩 KMB,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탑재된 버스 운행 예고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8 홍콩 환경 NGO, 대기질 개선 강화 안하면 매년 2천명 사망자 초래 경고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7 홍콩 부동산 회복 조짐에 중고 아파트 가격도 ‘들썩’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6 홍콩 5월 1일 노동절을 맞이해 곳곳에서 시위행진 펼쳐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5 홍콩 예상보다 많은 CSS 배당 신청 건수, 추가 인력 배치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4 홍콩 1분기 소매 매출 둔화세 4분기까지 이어져 ‘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043 홍콩 UBS,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가 홍콩 부동산 시장 촉매 역활 홍콩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10년 동안 가격 상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42 홍콩 DSS 정부 보조 학교, 절반 이상 내년 학비 또 올라… 인플레이션·비용 증가 등 이유로 최대 19.2%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41 홍콩 럭셔리 빌라, 4개월 전 계약 파기 후 판매 성공 아시아에서 가장 비싼 주택중 하나, 마운트 니콜슨 빌라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40 홍콩 생명보험을 역담보로 보험금 미리 받아 은퇴생활 질 높여 60세 이상의 생명보험 완납자 신청 가능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9 홍콩 아프리카 돼지 열별 감염 돼지 첫 사례 보고돼 단기적으로 돼지고기 공급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8 홍콩 1분기 동안 인터넷·전화 사기 피해액 총 HK$ 7억 막아 사기 피해 건수 및 규모 크게 증가해, 시민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7 홍콩 미중 무역전쟁 발발로 아태 지역 억만장자 수 크게 감소 무역 갈등 고조로 아시아 증시 혼조가 주요 자산 손실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6 홍콩 출처 알 수 없는 HPV 백신 포착, 의약품 밀수 의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5 홍콩 은둔형 외톨이 전체 인구 2% 추정, 일본보다 높아 환자 심리적 문제보다 ‘환경·사회·교육 복합적 문제’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034 홍콩 아동·노인 학대 및 학대 방관 처벌 강화…최고 20년형 file 위클리홍콩 19.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