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즈웨이베이 2위, 한국 명동은 7위

 

9.png

 

홍콩 캔톤 로드(Canton Road)가 러셀 스트리트(Russell Street)를 초월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점포 임대료가 가장 비싼 쇼핑거리로 조사됐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는 아시아태평양 주요 쇼핑지구 총 124곳을 조사해 소매 점포 임대료 추이를 조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주요 쇼핑지구 약 3분의 2가 임대료가 하락했으며, 평균 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인 임대료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중국 본토 도시의 평균 하락폭은 5%로 다른 국가보다 타격 수준이 미비했으며, 일부 지역은 오히려 임대료가 비싸졌다. 예컨대 선전의 로후 지역의 경우,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임대료가 sqft 당 333 달러로, 5% 상승했다.

 

특히 홍콩 침사추이는 쇼핑지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비싼 쇼핑 지구 1위를 차지했다. 그동안 부동의 1위를 차지했던 코즈웨이베이 쇼핑지구의 자리를 탈환했다. 코즈웨이베이 지역은 2014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1위 자리를 빼앗겼다. 침사추이 소매 점포 임대료는 전년 대비 35% 하락해 월 평균 sqft당 133 달러(1,032 홍콩달러)로 집계되었다. 코즈웨이베이의 경우, 전년 대비 43% 하락해 955 홍콩달러(123 달러)로 집계되어 2위를 차지했다.

 

일본 긴자(102 달러), 시드니 피트 스트리트 몰(81 달러), 도쿄 신주쿠(80 달러), 도쿄 오모테산도(80 달러), 서울 명동(77달러), 서울 강남(71 달러)로, 홍콩 침사추이와 코즈웨이베이를 뒤를 이었다. 홍콩 센트럴이 10위를 차지해, 상위 10위권에 홍콩 쇼핑지구 3곳이 포함됐다.

 

주목할 점은 침사추이, 코즈웨이베이 등 홍콩 대표 쇼핑지구의 임대료가 지난해 전년 대비 35~43%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도시의 쇼핑지구와 비교했을 때 약 30% 이상 더 높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과 경제 침체 속에도 불구하고 홍콩의 소매 임대료가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임을 드러냈다.

 

보고서는 유럽과 미국 등의 서방 지역의 대표 쇼핑지구들을 포함해도 홍콩 침사추이 캔톤 로드가 부동의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방 국가들의 코비드19 팬데믹 상황이 홍콩보다 더 심각한데다 곳곳에서 아직도 봉쇄 조치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즈웨이베이 러셀 스트리트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비싼 쇼핑지구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9년 반정부 시위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프라다, 키엘, 라펠라 등 유명 럭셔리 브랜드들이 이 지역을 떠나고 있다. 코즈웨이베이 쇼핑지구의 많은 점포들이 공실 상태이며, 저렴한 악세서리 가게, 식료품 가게 등이 빈 공간을 채우면서 럭셔리 브랜드 거리의 명성이 빛이 바래지고 있다.

 

한편 1위 자리를 탈환한 침사추이 캔톤 로드는 향후 몇 년 동안 홍콩에서 가장 비싼 거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케빈 람(Kevin Lam)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소매서비스책임자는 “침사추이 지역 점포들은 대부분 대형 부동산관리업체들이 관리하고 있으며, 팬데믹 속에서도 세입자를 지키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해왔다"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코즈웨이베이와 비교했을 때 럭셔리 브랜드의 이탈이 적다”라고 말했다. "그 결과 많은 세입자들이 럭셔리 브랜드들이 아직 많이 잔존하고 있는 침사추이 캔톤 로드를 선택하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미드랜드 IC&I 통계에 따르면, 캔톤 로드라는 강력한 쇼핑지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침사추이 전체 공실 점포 수가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1~2월 기간 공실 점포 수가 272개로, 공실률은 17.7%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기록이 시작된 이래 가장 많다. 미드랜드는 “침사추이 지역은 주로 관광업 관련 사업들이 지배적이었다. 많은 관련 사업체들이 임대 기간이 만료되면 다른 지역으로 이탈하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밝혔다.

 

미드랜드는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고, 다가오는 여름에 전자 상품권이 배부되어 소비가 촉진되고 국경이 재개되면 올해 홍콩 시장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주요 쇼핑지구의 점포 공실률이 향후 6개월 내에 줄어들 것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794.6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73 홍콩 피크 트램, 승객 수용력 높여 승객 탑승 대기 시간 대폭 단축 예정.. HK$ 6억 이상 투입해 보수 진행 위클리홍콩 19.04.23.
1072 홍콩 70% 이상 공중 화장실 청소원, 식사 공간조차 없어, 화장실 내부 한 켠에서 끼니 때우는 경우도… 열악한 근무환경 위클리홍콩 19.04.23.
1071 홍콩 하루 6명 온라인 쇼핑 사기 당해, 2018년 대비 35% 증가.. 신원 인증을 통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할 것 당부 위클리홍콩 19.04.23.
1070 홍콩 시중에서 판매되는 참치회 절반 이상 수은 함량 기준치 초과, 수산물 ‘안전’ 비상… 임산부, 영유아 활어 섭취 주의 위클리홍콩 19.04.23.
1069 홍콩 택시 공식 어플 e택시 정식 출시, 우버 대항마로 나서.. 옥토퍼스 결제, 분실물 신고 등 우버가 없는 기능 지원 위클리홍콩 19.04.23.
1068 홍콩 홍콩 백만장자 증가폭 1.5%로, 2014년 이래 최저 수준.. 작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침체가 주요 요인 file 위클리홍콩 19.04.23.
1067 홍콩 홍콩교통부장관, 항구터널료 개편 제안 위클리홍콩 19.04.23.
1066 홍콩 2019년도 날씨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고 습할 것’으로 예상 위클리홍콩 19.04.23.
1065 홍콩 강주아오 대교 홍콩세과, 신형 e-채널 100대 이상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064 홍콩 美국무부, 중국 여행주의 경보 ‘2단계’ 발표 …홍콩 제외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063 홍콩 ‘유엔 제재 위반 의심 혐의 건수’ 5년 새 13배 급증.. 화웨이 CFO 유엔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로 유엔 제재 주목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062 홍콩 춘절 단속 기간 HK$ 1억 3천만 상당 밀수품 적발.. 멸종 위기종, 마약, 담배, 술 종류도 다양해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061 홍콩 지역 의원 겸직하는 입법 의원, 내년부터 급여 약 10%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060 홍콩 새로운 교통 인프라 시설 구축으로 9개 지역, 가격상승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9 홍콩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융 산업 취업 원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8 홍콩 특히 IT산업, 스타트업 등 산업의 삶과 일의 균형 없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7 홍콩 청차우섬 빵 페스티벌 개최 예정, 오늘 5월 9일~13일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6 홍콩 지역 제보자 제보 통해 더 발 빠른 기상 예보 및 경보 예고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5 홍콩 과학 박물관, 멸종 위기 해양 동물 만날 수 있는 가상 수족관 전시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054 홍콩 비영리인권단체인 소코(SoCO), 중국출신母를 위한 홍콩거주비자 축구 file 위클리홍콩 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