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팬데믹으로 여행 제한, 높은 물가 등 이유

中 ‘홍콩 여전히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창구’

 

7.png

 

 

홍콩 소재 미국상공회의소 최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회원 40% 이상이 홍콩을 떠날 계획이거나 떠날 것을 고려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 국가보안법에 대한 불편함, 높은 생활 물가 등을 이유로 홍콩을 떠나려고 했다.

 

미국상공회의소(AmCham)은 지난 5월 5~9일 기간, 상공회 회원 약 1,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32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응답자 325명 중 42%가 홍콩을 떠날 계획 또는 떠날 것을 고려 중이며, 이들 중 3%가 즉시 떠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10%가 올 여름이 끝나기 전, 15%가 올 연말까지, 48%가 3~5년 이내에 홍콩을 떠날 것이라고 답변했다.

 

7-1.png

▲ 출처 : AmCham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설문조사 보고서

 

홍콩을 떠나려는 이유로는 국가보안법으로 인한 불편함(62%), 코비드19 팬데믹 관련 격리 조치로 국경 간 여행 제한(49.2%), 홍콩 경쟁력 약화(42%), 높은 생활 물가(24%) 등을 들었다.

 

홍콩을 떠날 계획이라고 밝힌 한 익명의 응답자는 “지금까지 홍콩에서 살면서 내가 어떤 말을 하거나 글을 적었을 때 어떠한 걱정도 없었지만, 지금은 혹여나 문제가 될까 봐 두려움이 앞선다”라고 밝혔다.

반면 홍콩에 남을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은 홍콩의 높은 삶의 질(77%), 우수한 비즈니스 환경(55%), 중국 본토 시장과의 접근성(48%) 등의 이유로 홍콩에 남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다른익명의 응답자는 “홍콩은 여전히 동서양을 연결하는 통로이며 해외 기업들에게 많은 이득을 가져다준다”라며 홍콩이 오히려 미국보다 훨씬 안전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타라 조셉(Tara Joseph) 미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번 보고서에 대해 “다른 라이벌 비즈니스 허브에게 우위를 잃고 인재 유출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정부는 홍콩 내 외국인 근로자(expat)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을 더 많이 기울여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에드워드 야우(Edward Yau) 상무부 장관은 “각 기업들은 다양한 이유로 홍콩에 남거나 떠난다. 그러나 홍콩에 지역 본부 또는 사무실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는 해외 기업이 꾸준히 많으며, 현재 그 수가 9천 개 이상이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화 춘잉(Hua Chunying) 중국 외무부 대변인은 이번 미국상공회의소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설문조사 보고서가 지나치게 홍콩을 떠나려는 미국인들이 늘었다는 내용에 촛점이 맞춰져 있다. 역으로 생각하면 절반 이상이 여전히 홍콩에 남고 싶어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긍정적인 신호다”라며 “또한 설문조사 참여자 수가 전체 회원 수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만약 응답자 수가 늘어난다면 홍콩에 남겠다는 사람들의 비율이 더 늘어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홍콩을 떠나려는 사람들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던 국가보안법에 관하여 화 춘잉 대변인은 “지난해 국가보안법이 도입된 이후 홍콩 내 사회적 불안이 안정을 찾아갔다”라며 국가보안법이 홍콩의 권리와 자유를 훼손시키지 않았으며 여전히 개방적이면서 다양성을 가진 국제금융센터 지위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본토 시장에 진출하려는 많은 해외 기업들이 홍콩을 투자하기 좋은 곳으로 여기고 있다. 미상공회의소 중국 지부가 최근에 발표한 한 보고서에서 따르면, 미국 기업 3분의 2가 중국에 더 많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라면서 "홍콩은 일국양제 시스템에 따라 국제 금융, 항공 및 무역 허브로서 도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더 나아가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가 홍콩의 경제적 발전에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736.1KB/Download:24)
  2. 7-1.png (File Size:113.8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3 홍콩 삼수이포 7층 건물에서 창문이 떨어져 길 가던 행인 부상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2 홍콩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에 9,000개 아파트 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91 홍콩 REO, 8천명의 개인정보 담긴 유권자 등록 명부 분실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90 홍콩 WTO, 홍콩 관세 신고 규정 미이행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9 홍콩 작년 산사태 건수, 10년 사이 최고 수준으로 집계 ..매년 HK$ 10억 정부 예산 배정해 산사태 예방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8 홍콩 4월 23일부터 3개월 간 피크트램 운행 중단, 30년 만에 대대적인 피크트램 정비·보수 진행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7 홍콩 홍콩 청소년 10명 중 4.5명, 포모증후군(Fomo) 겪고 있어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6 홍콩 휴대폰 이용한 범죄 증가, ‘관련 현행법은 여전히 1993년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5 홍콩 2019 홍콩세븐스 (Hong Kong Sevens) 대성황리에 마쳐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4 홍콩 알아두면 쓸 데 있는 홍콩에 대한 잡학사전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083 홍콩 “홍콩 아리랑 코러스” 홍콩한인합창단 창단식 개최 file 위클리홍콩 19.04.15.
1082 홍콩 홍콩 집값 부동의 1위… 선전 최초 상위 5위 진입 file 위클리홍콩 19.04.16.
1081 홍콩 부동산 시장 상승 곡선 그리며 다시 훈풍 불어… HOS 중고 아파트 거래량, 22년 이래 최고 수준 위클리홍콩 19.04.16.
1080 홍콩 인구 1천 당 의사 단 1.9명, 국제 표준보다 낮아.. 해외 의사 면허 소지자에 대한 의료 활동 제한 완화 촉구 위클리홍콩 19.04.16.
1079 홍콩 원치 않는 텔레마케팅 전화, 규제 강화… 최고 HK$ 100만 벌금형 위클리홍콩 19.04.16.
1078 홍콩 2018년 중독 사고 총 3,960건, 전년대비 사망자 수 줄어들어.. 문어독, 쥐약, 청소세재, 독초 등 중독 경로 다양해 위클리홍콩 19.04.16.
1077 홍콩 센트럴-완차이 바이패스, 개통 한 달여 만에 공기 정화 시스템 고장 위클리홍콩 19.04.16.
1076 홍콩 하늘에는 영광! 땅에는 평화 – About Easter 위클리홍콩 19.04.16.
1075 홍콩 중국의 야심찬 대만구 프로젝트를 주목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위클리홍콩 19.04.23.
1074 홍콩 심화되는 도로 체증, 전자식 도로통행료 도입 시급.. 1980년대 최초 도입 제안 이후 6번째 도입 시도 위클리홍콩 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