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낙관적

올해 중순, 가격 지수 400대 돌파 전망

 

4.png

 

 

홍콩 중고주택 시장의 부동산 가격이 2019년 홍콩 시위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했다. 업계는 5월 또는 6월에 중고주택 가격 지수 신기록을 세울 것으로 전망했다.

 

27일(목)에 발표된 부동산가치평가국(RVD, Rating and Valuation Department) 데이터에 따르면, 4월 중고주택의 가격이 4개월 연속 상승을 했으며, 2019년 7월 이후 가장 높다. 홍콩 주택 시장과 경제가 상승 궤도에 올라서면서 중고주택 지수가 지난 3월 389.1에서 4월 390.8로 0.4% 상승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이 최절정이었던 2019년 5월의 396.9와 비교했을 때 겨우 1.5% 정도의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데렉 챈(Derek Chan) 리카코롭 프로퍼티스(Ricacorp Properties) 리서치 책임자는 “만약 5월 중고주택 시장 지수가 1.5% 이상 상승했다면, 중고주택 가격 지수 신기록을 세우게 된다. 만약 별다른 이변 없이 부동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적어도 6월에는 신기록을 세우게 될 것이다”라면서 “5월 중고시장 가격 지수가 1.5~1.6% 상승해 이미 신기록을 깼을 것으로 예상한다. 더 나아가 만약 6월에 약 1% 상승한다면, 중고시장 가격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대를 돌파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홍콩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세가 통제되었고,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이 상승하고, 실업률은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이 낙관적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센타라인 프로퍼티(Centaline Property Agency)도 주택시장 가격 지수가 올해 중순 신기록을 세울 것으로 일찍이 전망했다. 루이스 챈(Louis Chan) 아시아태평양지부 부회장은 “홍콩 주택시장은 지난 2분기에 이미 상승세에 접어들었다. 올해 주택 시장이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신축 주택에 대한 시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최근 웡척항(Wong Chuk Hang) MTR역 위에 지어진 사우스 랜드(South Land)가 성공적으로 분양 매진되면서 신축 주택시장의 회복세를 증명했다. 사우스 랜드 프로젝트가 2회 연속 매진 행렬을 이어가면서 중고주택 거래량에도 영향을 미쳤다. 데랙 챈 책임자는 “일부 주택 소유주들이 전반적인 주택 시장 심리가 개선된 것을 피부로 느끼면서 이전보다 더 강한 협상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주택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일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코비드19 팬데믹 이후 큰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1,076~1721sqft의 주택 가격이 전월 대비 0.8%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다.

 

토지등록처(Land Registry) 통계에 따르면, 4월 중고시장 거래량이 전월 대비 6.2% 증가해 총 6,258건이 거래됐다. 이는 지난 102개월래 가장 많았다.

 

데렉 챈 책임자는 “주택 가격이 급등했기보다는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현 시점에서 추가적인 냉각조치를 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팬데믹으로 인한 영향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만약 상승세가 통제 불가능해지거나 지나치게 급등한다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주택 임대 시장도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4월 주택 임대 지수가 전월 대비 1.9% 상승해 177.7를 기록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는 2020년 11월 이후 가장 높으며, 2012년 6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그러나 임대 시장이 최절정이었던 2019년 8월의 200.1과 비교했을 때 11.2% 낮다.

 

데렉 챈 책임자는 주택 임대료는 향후 2개월 동안 매달 0.5%씩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몇 달 동안 홍콩의 팬데믹이 적절하게 통제되었고, 국경 재개와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이에 따라 홍콩 경제의 점진적 회복에 맞춰 임대 시장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다. 주택 임대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택 임대료와 주택 가격 상승을 촉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810.6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3 홍콩 란타우섬 신도시, 교통 인프라 동시에 구축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12 홍콩 새로운 농원지 개발로 홍콩 채소 수확량 약 25% 증가 기대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11 홍콩 유례없는 MTR 운행 중지 사고, 벌금 책정 논의 중... 정부, 최대 주주로서 MTR사 개입 및 강경 대응 의사 밝혀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10 홍콩 홍콩인, 홍콩 미래 어느 때보다도 비관적... 사스 강타했던 2003년보다도 낮은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09 홍콩 택시 운전자 불만 신고, 꾸준히 증가해 2018년 최고 기록 집계... 난폭 운전, 경로 우회, 부당 요금 징수 등 불만 접수 가장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08 홍콩 대만구 지역 홍콩 청년 창업가 지원금 대폭 증가.. 2016년 최초 설립된 기금 HK$ 3억에서 추가 지원금 배정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07 홍콩 ‘World-OKTA 동남아 지회장 회의’ 개최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6 홍콩 “어쩌다 한 컷 –홍콩”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5 홍콩 알아두면 쓸 데 있는 ‘홍콩 잡학사전’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4 홍콩 홍콩주택 가격, 2개월 동안 1.6% 상승.. 가격 하향곡선 마감 조짐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3 홍콩 입법부 반대에 해저 터널 요금 조정 제안 철회 결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2 홍콩 홍콩의 첫 무인 전기 버스 시범운행 中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1 홍콩 홍콩, 3 곳 금융기관에 가상계좌 면허 발급 ‘지점 없이 저축 및 대출 업무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100 홍콩 홍콩정부, MTR사에 사고 과징금 총 3,500만 홍콩달러 부과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9 홍콩 홍역 백신 부족현상, 이달 중에 3만개 백신 들어오면 해소 될 것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8 홍콩 홍콩, 홍역 감염 주의보 적신호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7 홍콩 범죄인 인도법 개정, ‘일방적인 불공정 조약될 수 있어’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6 홍콩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해, 공립 중고등학교에 사회복지사 각 2명 의무 배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5 홍콩 일본으로 수입된 새끼 뱀장어, 홍콩을 통한 불법적 수입 경로 포착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094 홍콩 코즈웨이 베이 Excelsior 호텔, 오피스타워로 재개발 계획 file 위클리홍콩 19.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