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속하고 정확한 “홍콩한타임즈”◆

홍콩뉴스 2022년 6월 18일(토) 아침뉴스

 

■ 실업률 5.1%로 하락

 

17일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3-5월 실업률이 2-4월에 비해 0.3% 하락헤 5.1%로 나타났다. 총 고용인구는 3,553,800명으로 기록되었다. 3-5월 실업자수는 191,400명으로 전월대비 14,700명이 감소했다. 노동부는 “펜데믹 상황이 통제되어 홍콩 경제활동이 더 활발해진다면 노동시장은 앞으로 계속 개선될 것이다”고 말했다.

 

■ 바이온앤택 백신 접종간격 조정

1차와 2차 접종 사이, 8주로 권장

 

 17일, 정부는 18세-59세 사이 바이오앤텍 백신 1차와 2차 접종간격을 3주에서 8주로 연장하고 접종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바이온앤택 1차 접종자는 6월 22일부터 8주 이후로 2차 접종으로 예약할 수 있다.  이전에 2차 접종을 예약한 사람은 예약을 취소하거나 예약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백신 접종 간격을 8주로 연장한 것은 백신과학위원회가 백신접종 후 심근염 상황을 검토한 뒤 조정되었다. 백신위원회에 따르면 1차와 2차 접종간격이 길어질수록 면역반응이 더 좋아졌으며 심근염의 부작용 사례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국 발표, 학기말 까지 등교전 신속항원검사(RAT) 유지

학교관련 감염자 증가세

 

17일, 교육국은 "모든 교직원과 학생들은 등교 전 RAT 검사를 올해 21/22학기말 까지 유지된다."고 밝혔다. 양성결과가 나오면 등교해서는 안된다. 교육국은 “최근 학교관련 감염자가 증가했다. 펜데믹 상황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어 방역조치를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요식업 시설, 현장검사 강화

 

관련 당국이 지난 10일부터 16일사이 요식업 시설 현장검사 결과를 발표하고 방역조치를 철저하게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현장검사 결과  :  술집, 바 686곳 현장검사로 35명 기소, 100건 hkd5,000 벌금부과 /

기타 요식업 : 3,821곳 현장검사로 19건 기소, 11건 hkd5,000 벌금부과

 

▲ 벌칙사항 : 

 -3일 간 금지 : 술집 8곳은 3일간 저녁 dine-in 금지,, 식당 9곳은 3일 간 좌석당 2명으로 제한

-5일간 금지 : 술집5곳 5일 간 저녁 dine-in 금지,, 식당 2곳 5일 간 좌석당 2명으로 제한

-14일간 금지 : 술집 4곳은 14일 간 저녁 dine-in 금지, 식당 8곳은 14일동안 2명으로 제한

-7일간 폐쇄 : 술집 4곳은 7일 간 영업중단

-14일간 폐쇄 : 술집 14곳은 14일 간 영업중단.

 

■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2단계 유지

 6월 16일(목)부터 6월 29일(수)까지

 

 ※기본 공통 규칙 : 공공 단체모임 4인 제한(599G), 마스크 의무착용(599I), 요식업수칙(599F), LeaveHomeSafe 방문기록, 백신패스 3단계 적용(12세 이상 3차접종)

 -식당 좌석 당 8인제한 / 연회 120명 허용 / 구내식사 11:59pm 까지 허용/수용인원 100%

-술집, 나이트클럽, 바 영업재개 : 좌석당 4인 제한 / 오전 1시 59분까지 허용 /수용인원 75%

 -노래방 : 객실 당 8명 제한/ 오전 1시 59분까지 허용 / 수용인원 75%

-종교시설, 시네마, 공연장, 박물관, 행사장 수용인원 85% 허용

 

 ▲ 마스크 의무착용(599I)

지정된 모든 실내외 공공장소, 대중교통 이용 시(미착용시 탑승거부)

위반 시 고정벌금 hkd5,000, 최고 hkd10,000 벌금 

(야외에서 신체운동 시 마스크 미착용 허용 (예 :exercising or jogging))

 ▲ 불법모임 금지 : 공공모임 4인 제한, 참가, 조직, 장소 제공시 (599G) 위반 시 최고 hkd25,000, 징역 6개월 (불법모임 참가 시 고정벌금 hkd5,000)

 

■ 입장 전 신속항원검사(RAT) 음성결과 제시해야한다

술집, 바, 나이트클럽 대상

16일~29일까지

 

16일부터 술집, 바, 나이트클럽를 찾는 모든 고객들은 24시간 이내 검사한 신속항원검사(RAT)음성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이름, 검사일자, 음성결과를 증명하는 사진을 제시하면 된다

 

■ 올해 1분기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통계

 

17일, 통화국이 올해 1부기 신용 및 직불카드 통계를 발표했다. 2022년 1분기 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총 신용카드 수는 1,916만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분기 대비 0.6%증가했고 전년동기대비로는 0.8% 증가했다. 신용카드 사용건수 및 사용금액은 전반적인 경제환경에 따라  추세가 변동된다. ▲홍콩발급 카드 운영자 : American Express International, Inc / Discover Financial Services(Hong Kong) Limited / EPS Company(Hong Kong) Limited(EPSCO)/ JCB International(Asia) Ltd/ Joint Electronic Teller Services Ltd./ JETCO) /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 UnionPay International Co. Ltd. /Visa Worldwide Pte.

 

■ 홍콩우체국, 25주년 기념우표 발행홍콩정부 수립 기념우표가 오는 7월 1일에 발행된다 총 4종으로 기념품 등으로 우체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 : https://stamps.hongkongpost.hk/

   

■ COVID-19 일일감염 상황

 양성사례 1,145건

 

 6월 17일 보건센터 코로나 일일감염 상황에 따르면 총 1,145건이 보고되었다. 학교관련으로는 145건이 보고되었다. 이중 학생 126명, 교직원 43명이 양성사례로 보고되어 등교하지 않았다.

 

 ▲ 총 일일 지역감염 1,014건 (PCR 검사 379건 + 신속항원검사(RAT) 635건)

 -수입사례 131건 (공항검사 67건/호텔격리중 54건 / 의무검사 10건)

  ▲ 치료 중 412 명 

 ▲ 일일 사망사례 1건

 

■ 코로나 감염 반등 가능성

신속항원검사(RAT) 올해 학기말까지 유지

 학교 교직원, 학생 대상

 

17일 오후 캐리 람 장관은 언론브리핑을 통해 최근 펜데믹 상황을 설명하고 “감염자가 다시 반등할 조짐이 보인다”고 언급하고 “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은 등교 전 신속항원검사를 올해말까지 계속 될 것이다.”고 밝혔다. 코로나 감염자의 주거환경을 고려해 지역검사센터로 이동될 수 있다. 아시아월드 엑스포 시설, 카이탁 격리시설은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 한편, 홍콩정부는 펜데믹 상황에 대한 회의를 갖고 최근 감염확진 사례가 지역감염과 수입사례가 증가하는 조짐이 보인다고 밝혔다.

 

■ 홍콩 고궁박물관 개관

7월 2일(토)

 

 

고궁박물관이 내달 2일에 개관된다. 중국 명나라, 청나라의 유물 169점이 전시된다.

 

 ■ 건물에서 창문 떨어져, 남성 체포

 

어제 17일 오후 6시경, 타이콕추이 거리에서 공장건물 알루미늄 창문이 떨어져 도로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 3대를 덮쳤다.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해 해당 구역을 봉쇄하고 한 남성을 체포하고 조사중이다

    

 @홍콩한타임즈(www.hkhan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3 홍콩 3명중 2명 ‘비만이 질병인지 몰라’, 홍콩 시민 50% 이상 비만, 그러나 여전히 비만에 대한 인식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3.05.
1132 홍콩 홍콩 1월 소매 매출 7% 성장, 예상 외로 ‘좋은 출발’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31 홍콩 2025년 대기질 개선 목표, 여전히 WHO 기준보다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30 홍콩 홍콩 대표 박물관들, 수용 관람객 수 초과로 확장 공사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29 홍콩 폴 찬 모포 장관, ‘홍콩 사법 독립성 여전히 굳건해’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28 홍콩 ESF K1 입학생, 초중고등부 면접 없이 입학 우선권 부여받아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27 홍콩 공중화장실 정비사업보다 청소원 대우 개선이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26 홍콩 요양시설 인력 부족 문제, ‘해외 가사 도우미로 해결 안 해’ file 위클리홍콩 19.03.12.
1125 홍콩 HKMA, 홍콩 달러 방어 위해 두 번째 시장 개입 ... 일주일 새 약 55억 홍콩 달러 매수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24 홍콩 정부, HK$ 2천 ~ 4천 반값 유스호스텔 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23 홍콩 소비자 위원회, 유명 차 음료 속 설탕 함유량 주의할 것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22 홍콩 신생아를 위한 새로운 보험제도 VHIS(Voluntary Health Insurance Scheme) 연간 약 2천 홍콩달러로 100세까지 보장 위클리홍콩 19.03.19.
1121 홍콩 탄력성 부족으로 질식사 가능성 높은 유아 매트리스 4종 압수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20 홍콩 홍콩인을 포함한 외국인, 중국 역외 소득 면세 기준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19 홍콩 HKUST, 광저우 캠퍼스 완공 2년 전 입학 신청 받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18 홍콩 부동산 소유주 대상으로 대출 사기범 17명 체포 ... 피해자 91명, 피해액 HK$ 640만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17 홍콩 [기자의 눈 – 핫뉴스 브리핑] 홍콩과 심천은 경쟁자인가? 협력자인가? 위클리홍콩 19.03.19.
1116 홍콩 홍콩의 하이라이트 이벤트 : HIGHLIGHT CELEBRATIONS AND EVENTS file 위클리홍콩 19.03.19.
1115 홍콩 연금 보험 가입자, 내년부터 최대 HK$6만 추가 세금 공제 가능.. 홍콩시민 노후 저축 장려 목적 file 위클리홍콩 19.03.26.
1114 홍콩 홍콩 BOC 은행, 중국 방문 없이 중국 계좌 원격 개설 서비스 선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