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97698A60064607A3CD681749F78444.jpg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13일 "역사의 범죄를
부인하는 것은 범죄를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침략의 과거사를 부인하는 일본 측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시 주석은 중국이
처음으로 제정한 난징(南京)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인 이날 장쑤(江蘇)성 난징 시내 난징대학살희생동포기념관에서 거행된 추모식에서 "역사를 잊는
것은 배반"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시 주석이 일본 측을 향해 강경한 메시지를 던짐으로써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정상회담을 계기로 호전기미를 보여온 중일관계에도 적지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난징대학살은 제2차대전의 3대 참사
가운데 하나로 반인류적 범죄일 뿐만아니라 인류 역사의 암흑 사건"이라며 "일제 침략의 엄중한 범죄를 잊지 말아야 하고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어떤
행위도 인류평화를 해치는 것으로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1937년 12월 13일 일본군이 야만적으로 난징을 침략해
세상에서 가장 비참한 난징대학살 참상을 저질렀다"면서 "30만 명의 동포가 처참하게 살육당하고 수많은 부녀자들이 유린당하고 수많은 어린이들이
죽임을 당했다"며 비참했던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역사는 시대가 변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며, 사실은 교활한 말로
잡아뗀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난징대학살의 참상은 '산과 같이 명백한 증거가 있다'(鐵證如山)고 강조했다.

이어 "2차대전
후 극동군사법정과 중국전범군사재판에서도 난징대학살에 대한 조사를 거쳐 법률적으로 성격을 규정하고 결론을 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누구라도 난징대학살 참상을 부인한다면 역사는 물론 30만의 무고한 희생자의 넋, 13억 중국인민, 평화와 정의를 사랑하는 세계인들 그
누구도 동의할 수 없다"고도 했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군국주의자들이 일으킨 침략전쟁 탓에 이 민족을 모두 원수로 여겨서는 안 되며
전쟁 범죄는 소수 군국주의자들에게 있는 것이지 그 나라 인민에게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역설했다.

그는 추모식을 개최한 이유에 대해
"계속 원한을 키워나가자는 뜻이 아니다"라면서 "중·일 인민들은 세대를 넘어 우호관계를 키워 나가고 역사를 거울로 삼아 미래로 향함으로써
인류평화를 위해 공동으로 공헌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과거사를 미화하는 역사 퇴행적인 태도를 보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비롯한 일본 우익인사들과 양심있는 일본인들을 구분하면서 평화를 옹호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언론은
시 주석이 이날 2천100여 글자 분량의 연설을 하면서 '평화'(和平)라는 단어를 23차례 사용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시 주석은
또한 "우리 모두는 난징대학살 희생 동포들의 넋을 위로하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한 중국꿈(中國夢)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며 "중화민족의
미래 발전 전망은 비할 바 없이 밝다"고 강조했다.

이날 추모식은 장더장(張德江)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의 사회로 비장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중국 각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기념식은 희생자에 대한 묵념과 헌화, 77명의 난징시
청소년대표의 평화선언 낭독, 시 주석과 생존자 대표인 샤수친(夏淑琴.85) 할머니의 추모 기념물 제막식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주석의 추모사가 끝난 뒤 희생자 30만 명을 상징하는 비둘기 3천 마리가 난징시 하늘로 날아올랐고 중국 지도부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추모식에 이어
난징대학살 기념관을 참관했다.

이날 추모식에는 당초 중국 최고지도부인 7명의 정치국 상무위원 전원이 참석할 가능성도 점쳐졌으나 시
주석과 장 위원장 외에 다른 지도부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1985년 8월 15일 문을 연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중국판
홀로코스트'로 불리는 대학살의 현장 위에 세워져 있다. 희생자 추모일은 77년 전 일본의 난징대학살이 시작된 날이다.

중일전쟁
당시인 1937년 12월 13일부터 이듬해 1월까지 국민당 정부 수도였던 난징시에서는 30만명 이상(중국측 추정)의 중국인이 일본군 총칼에
처참하게 숨졌다.

일본군이 난징 시민을 상대로 무차별 학살을 자행한 잔혹함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고 관련 기록은 전한다. 일본은
이런 역사적 사실의 상당 부분을 부인하고 있다.

추모제가 열리는 난징 시내에는 '국치를 잊지 말고 중화의 꿈을 실현하자'(勿忘國恥
圓夢中華), '과거를 잊지 말고 미래의 스승으로 삼자'(前事不忘 后事之師) 등의 구호가 내걸려 추모 분위기를 한껏 띄웠다.

난징
이외 지역에서도 다양한 추모행사가 열렸다. 상하이(上海)시 진산(金山)구에서는 사회 각계 대표들이 모여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참혹한 역사를
경계하는 의미의 타종식을 했다. 허난(河南)성 핑딩산(平頂山)시에서는 126명의 '항일노병'(抗日老兵) 사진전이
열렸다.

지린(吉林)성 장춘(長春)시 웨이만(僞滿)황국박물관에서도 각계 인사가 모여 묵념과 헌화 등 추모행사를 개최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6 중국 연길-훈춘 구간 고속철 체험활동 연변방송국 15.08.15.
575 중국 제15차 소수민족언어문자정보처리학술대회 개막 연변방송국 15.08.14.
574 중국 《수술대》에 오른 연변 한국화장품시장, 업자들 반응은 연변방송국 15.08.13.
573 중국 연변 무형문화유산보호사업 실속있게 추진 연변방송국 15.08.12.
572 중국 제2회 두만강 국제청소년시화전 도문서 개막 연변방송국 15.08.12.
571 중국 제10회 중국 소수민족운동회 열려 중국조선어방.. 15.08.11.
570 중국 "꿈의 아리랑", 중앙텔레비죤방송에 오른다 중국조선어방.. 15.08.11.
569 중국 북경국제설계주간 곧 진행 연변방송국 15.08.10.
568 중국 “두만강 국제청소년 시화전” 도문서 중국조선어방.. 15.08.10.
567 중국 목단강시 제7회 조선민족문화예술축제 개최 중국조선어방.. 15.08.10.
566 중국 중국 위챗 결제 편입된 거래상 15만곳 넘어 연변방송국 15.08.10.
565 중국 할빈에서 ‘흑룡강지역 항일독립운동 학술발표회’를 중국조선어방.. 15.08.10.
564 중국 중국민간항공 아프리카대륙 첫 직항선로 개통 연변방송국 15.08.10.
563 중국 훈춘시 “일대일로”전략으로 개방 폭 넓힌다 연변방송국 15.08.08.
562 중국 조선족민족예술의 정수 전승 연변방송국 15.08.07.
561 중국 길훈고속철 연길서역 4가지 언어로 복무 연변방송국 15.08.07.
560 중국 연길, 세계반파쑈전쟁 및 중국항일전쟁승리 70주년 기념 도편전시 연변방송국 15.08.06.
559 중국 심양 2015년한국주맞이 제1회전통성년례 진행 중국조선어방.. 15.08.06.
558 중국 "안중근의사 유해 발굴을 위한 방안 모색" 세미나 대련서 중국조선어방.. 15.08.06.
557 중국 하르빈 동북범 새끼 70마리 번식 성공 중국조선어방.. 1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