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0777_411048.jpg


    중국 산둥(山東)성이 무인도 557개를 경매 방식으로 판매에 나선다고 중국 매체의 보도를 인용해 아주경제가 전했다. 외국인이나 외국기업도 구매해 개발할 수 있다. 산둥성은 한국과 가까운 만큼 한국 기업의 개발 참여도 예상되고 있다.


  산둥성은 오는 15일부터 ‘산둥성 무인도 사용 심사비준 관리방안'과 '산둥성 무인도 사용권 입찰경매 잠정방안' 등 무인도 판매 관련 법규를 발효시킬 예정이라고 산둥성 지역매체인 제로망(齊魯網)이 10일 전했다. 2013년 5월 산둥성 어업청이 공개한 ‘산둥성 도서 보호 계획'에 따르면 산둥성에는 589개의 섬이 있으며, 이 중 557개가 무인도다. 이들 무인도가 국제시장에 매물로 나오는 것.


  산둥성은 무인도 판매대상을 관광, 휴양, 레저, 농업, 임업, 목축업, 공업 등 구매 목적이 있는 자로 제한했다. 단기투자목적의 구매희망자에게는 판매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매각은 일괄입찰 혹은 경매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국의 기타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도서(섬) 소유권은 국가가 보유하게 되며, 사용권이 매각된다. 사용권은 30년과 50년 두가지로 나눠서 판매된다. 사용권을 구매한 후 2년내로 개발이 시작되지 않으면 산둥성이 회수절차에 나서게 된다.


  무인도 사용권 가격은 그리 비싸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도개발은 항만건설, 소형 발전소건설, 도로건설, 담수시설 건설, 선박구입, 정기 물류선 확보 등이 수반되는 만큼, 일반 육지 개발비용의 3~5배가 소요된다. 한 전문가는 "무인도 1개를 개발하는데 최소 1억위안(한화 약 175억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 무인도의 경우 관광레저시설을 갖춘다 하더라도 10월 넘어가면 산둥성이 날씨가 추워져 관광 비수기에 접어든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현지 관계자들이 지적했다. 하지만 중국 내륙 부호들의 거대한 관광수요가 있는 만큼 레저타운, 실버타운, 해양관광 골프장 등 시설을 갖춘다면 산둥성 무인도 관광지도 상당한 인기를 끌 것으로 이들은 내다봤다. 산둥성 칭다오(青島)시는 향후 10년동안 3개 섬을 관광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6 중국 할빈시 조선족대련환모임 빈현 장수산풍경구에서 중국조선어방.. 15.07.07.
475 중국 중국 '흡연과의 전쟁' 확대..공공장소 등 흡연 법으로 금지 중국조선어방.. 15.07.07.
474 중국 훈춘 해산물가공공업 활황세 연변방송국 15.07.07.
473 중국 연길-오사까 정기항로 개통 연변방송국 15.07.06.
472 중국 中 6개 품목, 세계시장 점유율 1위 중국조선어방.. 15.07.06.
471 중국 한국 aT, 할빈서 한국식품 특별전 개최 중국조선어방.. 15.07.06.
470 중국 장백현 조선족민속문화제경축행사 진행 중국조선어방.. 15.07.06.
469 중국 유적지 건립에서 실사구시작풍 발휘한-김춘섭 연변방송국 15.07.05.
468 중국 문화인프라로 지역 르네상스 새 장 연다 연변방송국 15.07.03.
467 중국 7월 1일, 장백산 흰 눈으로 단장 연변방송국 15.07.03.
466 중국 칭다오조선족여성협회 조선족 혼인문제에 본격 올인 중국조선어방.. 15.07.03.
465 중국 中 장백산 주봉, 7월에 강설...경치는 금상첨화 중국조선어방.. 15.07.03.
464 중국 연길 신공항 2018년12월에 준공 전망 연변방송국 15.07.03.
463 중국 《일대일로》 청사진에 비추어보는 우리의 벼농사 연변방송국 15.07.02.
462 중국 길도훈철도 훈춘역 마무리단계 연변방송국 15.07.02.
461 중국 길도훈철도 려객전용선 련합테스트 진행 연변방송국 15.07.01.
460 중국 하얼빈공대 인문학과 한국인 유학생들로 북적 중국조선어방.. 15.07.01.
459 중국 통일 대비 中 동북·조선족 역할 재인식해야 중국조선어방.. 15.07.01.
458 중국 훈춘 권하통상구 조선으로부터 철광분 대량 수입 연변방송국 15.07.01.
457 중국 "조선족문화가 곧 연변의 재부가 아니겠습니까?!" 연변방송국 1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