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의혹..부검해야‘ 1700명 서명

 

 

Newsroh=임지환기자 nychrisnj@yahoo.com

 

 

_rvg5fy8_400x400.jpg

 

 

‘노회찬 의원 사망 의혹을 풀기위해 부검(剖檢)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지난 23일 타계한 정의당 노회찬 의원의 사인 의혹을 풀어달라는 국민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을 통해 진행되고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청원자는 미국 시애틀의 재미동포로 알려졌다. 청원은 시작한지 하루만에 1000명이 넘는 이들이 서명을 했고 26일 현재 1683명이 동참했다. 청원 캠페인은 다음달 22일까지 계속된다.

 

 

노회찬의원 국민청원.jpg

 

 

*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

 

노회찬 의원 사망 의혹을 풀기위해 부검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316118?navigation=petitions

 

 

청원자는 “경찰이 노회찬의원의 사인이 확실하다며 부검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상식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청원자는 “외국에 갔다가 돌아와서 어머니 집에 들러 인사를 하고 어머니가 살던 아파트에서 투신한다는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보통 이런 일이 있다고 해도 '내 집'으로 돌아와서 뛰어내리는거지, 어머니 가슴에 대못을 박으려고 작정한 자식이 아니라면 그런 선택을 어머니 살고 있는 곳에서 한다? 저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가 일종의 객사(客死)를 했기 때문에 한국적 문화로 유해(遺骸)가 화장될 가능성이 크다. 바로 거기서 음모의 냄새가 난다. 이 일을 확실하게 검증하려면 부검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지금 경찰이 부검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이 점 때문에 반드시 부검을 해야 한다. 국민들이 갖고 있는 의문에 대해 분명하게 해명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원자는 “정치적인 이익을 얻는 집단이 있다. 바로 기무사다. 지금껏 드러났던 기무사의 계엄 관련 문건과, 이를 통해 밝혀진 그들의 반란음모에 대한 처단 여론은 바로 노회찬 의원의 사망 관련 뉴스와 관련돼 묻혀 버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드루킹이 과연 누구를 위해서 일한 것인지, 것이 보다 커다란 의혹이 숨어 있는 그림의 하나가 아닌지 의심한다. 노회찬 의원의 죽음으로 인해 혹시 뭔가 '겁먹을 사람들'이 있지않을까. 저들은 대한민국 70년의 역사동안 정치를 음모(陰謀)와 흑막(黑幕)으로 가려왔던 자들이다. 그 흑막이 걷히려 할 때 또 하나의 흑막이 쳐졌다. 우리는 당연히 의심할 권리가 있다. 그리고 국가는 국민들의 의혹을 풀어줘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노회찬의원 사망의혹 부검하라” 청와대 청원 전문

 

 

노회찬 의원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을 때, 당연히 충격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그가 추구해 왔던 가치들이 우리때에 이뤄질 수 있기를 바라며, 그가 남기고 간 숙제들을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촛불의 정신을 잊지 않을 것임을 다짐합니다.

 

그러나 저는 의혹을 지울 수 없습니다. 경찰은 이미 사인이 확실하다며 부검을 하지 않겠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됩니다. 그 분의 성정상 드루킹에게 금전을 받았고, 그것 때문에 스스로 그것을 오욕으로 생각했다는 부분은 이해가 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외국에 갔다가 돌아와서 어머니 집에 들러 인사를 하고 어머니가 살던 아파트에서 투신한다? 저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보통 이런 일이 있다고 해도 '내 집'으로 돌아와서 뛰어내리는거지, 어머니 가슴에 대못을 박으려고 작정한 자식이 아니라면 그런 선택을 어머니 살고 있는 곳에서 한다? 저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가 자기 집이 아니라 어머니 집에서 죽음을 선택했다는 것으로 인해, 그의 유해는 화장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것도 일종의 '객사'로 보는 한국적 문화 때문일테니. 저는 바로 거기서 음모의 냄새를 자꾸 맡게 됩니다. 이 일을 확실하게 검증하려면 부검은 피할 수 없는 선택입니다. 지금 경찰이 부검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저는 이 점 때문에 반드시 부검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국민들이 갖고 있는 의문에 대해 분명하게 해명해 줘야 합니다.

 

게다가 이 일이 일어남으로서 바로 정치적인 이익을 얻는 집단이 있습니다. 바로 기무사입니다. 지금껏 드러났던 기무사의 계엄 관련 문건과, 이를 통해 밝혀진 그들의 반란음모에 대한 처단 여론은 바로 노회찬 의원의 사망 관련 뉴스와 관련돼 묻혀 버릴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삼성이 이 죽음의 배후에 있다는 의심을 갖고 있는 것을 SNS를 통해 봤습니다만, 오히려 그 점 때문에 삼성이 직접 나서긴 어려웠을 겁니다. 그렇다면 의혹은 더욱 기무사를 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드루킹이 과연 누구를 위해서 일한 것인지, 저는 이것이 보다 커다란 의혹이 숨어 있는 그림의 하나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노회찬 의원의 죽음으로 인해 혹시 뭔가 '겁먹을 사람들'이 있지 않을지 싶기 때문입니다. 저들은 대한민국 70년의 역사동안 정치를 음모와 흑막으로 가려왔던 자들입니다. 이제 그 흑막이 걷히려 할 때 또 하나의 흑막이 쳐졌습니다. 우리는 이런 것들에 대해 당연히 의심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들이 의혹을 갖고 있다면 국가는 그것을 풀어줘야 합니다.

 

영향력있고 인기있는 정치인 한 명이 세상을 떴습니다. 그리고 그 죽음에 대해 사람들이 의혹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명명백백하게 풀려야 합니다. 노회찬 의원의 사망 소식을 들었을 때 계속해서 믿기지 않는것... 아마 그것은 오래 전 노무현 대통령의 소식을 들었을 때와 겹치는 것이 많아서이겠지요. 이 답답함, 찜찜함을 풀어야 합니다. 그래서 노회찬 의원에 대한 부검은 반드시 이뤄져야 합니다.

 

아... 너무나 갑갑합니다. 그의 촌철살인이 언제까지고 그리울 겁니다.

 

  • |
  1. _rvg5fy8_400x400.jpg (File Size:20.5KB/Download:21)
  2. 노회찬의원 국민청원.jpg (File Size:65.8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0 미국 뉴욕서 음악 공연작품 공모 file 뉴스로_USA 16.09.06.
829 미국 김지영작곡가 창작곡 뉴욕공연 file 뉴스로_USA 16.09.06.
828 미국 자전거美대륙횡단 트리오 75일만에 뉴저지골인 file 뉴스로_USA 16.09.05.
827 미국 뉴욕 플러싱 한인유권자 줄어 file 뉴스로_USA 16.09.05.
826 미국 주미한국공관 미청구자산 뉴욕주 금고 수년째 방치 file 뉴스로_USA 16.09.04.
825 미국 이노비, NY브롱스 청소년병원 첫 클래식 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09.04.
824 미국 법륜스님 뉴욕 등 21개 도시 ‘즉문즉설’ 해외강연 file 뉴스로_USA 16.09.03.
823 캐나다 6.25참전유공자회, 명예회원 수여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9.03.
822 캐나다 밴쿠버에 본격적인 K-POP 시즌이 시작된다. 밴쿠버중앙일.. 16.09.03.
821 캐나다 "내년 캠프코리아에서 또 만나요!" 밴쿠버중앙일.. 16.09.03.
820 미국 김지영 뉴욕서 오페라 창작음악곡 발표 file 뉴스로_USA 16.08.31.
819 미국 “민족 정체성 찾아야 행복” 열린법회 file 뉴스로_USA 16.08.30.
818 캐나다 캘거리 실협 골프대회 열려 CN드림 16.08.30.
817 캐나다 캘거리 한인 건강박람회, 9월 10일(토) 개최 예정 CN드림 16.08.30.
816 캐나다 "신재경 의원 대신할 한인 정치 지도자 배출하는 일이 급선무" 밴쿠버중앙일.. 16.08.30.
815 캐나다 신재경 주의원 내년 선거 불출마 선언 밴쿠버중앙일.. 16.08.30.
814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서 한미문화축제 file 뉴스로_USA 16.08.29.
813 미국 불교팝페라 첫 발표 김명온성악가 file 뉴스로_USA 16.08.28.
812 미국 美한인학생들 뉴저지서 정치력신장 앞장 file 뉴스로_USA 16.08.27.
811 미국 오랜만에 뜨거운 반응… 활기 되찾은 올랜도 한인사회 코리아위클리.. 16.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