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선거 분석 1).jpg

지난 7월28일(토) 진행된 연방하원 보궐선거에서 노동당(ALP)이 전체 5개 지역구 중 4개 지역구에서 과반수 이상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둔 가운데, 연립 여당이 추진하는 법인세 인하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퀸즐랜드의 롱맨 지역구의 선거 유세 현장에서 한 주민에게 질책당하고 있는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와 빅 트레브(Big Trev) 자유국민당(LNP) 후보. 사진 : aap

 

4개 지역구서 승리, ‘법인세 인하’에 반발한 유권자 지지로

 

지난해 캔버라 정가의 최대 이슈였던 이중국적 논란으로 연방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의원직을 박탈당한 연방의원들의 자리를 메울 5개 지역구 보궐선거에서 노동당이 압도적 승리를 가져갔다.

일명 ‘수퍼 토요일’(Super Saturday)이라고 불린 지난 7월28일(토) 보궐선거에서 노동당은 애들레이드(Adelaide) 동남부 ‘마요’(Mayo) 지역구를 제외하고 타스마니아 ‘브래든’(Braddon), 퀸즐랜드(Queensland) ‘롱맨’(Longman),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프리맨틀’(Fremantle)과 퍼스(Perth)를 포함한 4개 지역구에서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끌어냈다.

마요 지역구는 중앙연맹(Centre Alliance)이 다섯 곳 중 유일하게 강세를 나타냈다. 중앙연맹의 레베카 샤키(Rebekha Sharkie) 후보는 57.59%의 득표로 노동당이 내세운 조지아 다우너(Georgina Downer) 후보를 제치고 승리를 거뒀다.

금주 월요일(30일) 캔버라 대학교(University of Canberra. UC) 정치학 교수이자 비영리 온라인 미디어 매체인 ‘The Conversation’의 정치부 필자인 미셸 그라탄 (Michelle Grattan) 교수는 ABC 방송 ‘오피니언’(opinion) 코너를 통해,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의 권위는 상실됐고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의 자신감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피터 브렌트(Peter Brent) 선거 분석가는 ‘Nine Network’ 방송의 ‘Inside Story’ 프로그램을 통해 “야당 지지기반이 약한 ‘롱맨’과 ‘브래든’ 두 지역구에서의 노동당 승리는 자유-국민 연립(Coalition)의 승리를 예상했던 대부분의 기대를 빗겨간 기적 같은 결과”라며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노동당은 쇼튼 대표의 낮은 지지도에도 불구하고 보건, 교육, 평등 및 세금인하 반대에 집중한 당의 정책기조가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노동당,

“법인세 인하 반대” 주력

 

2016년 선거 전까지만 해도 여론조사에서 매번 견고한 지지층을 자랑했던 연립 지지율은 계속해서 노동당에 뒤쳐져 아직까지 확고한 기반을 다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보궐선거에서 노동당의 승리를 이끈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는 ‘대기업 법인세 인하’를 반대하고 대신 ‘보건과 교육분야에 대한 더 많은 투자’를 내건 노동당의 정책기조라는 분석이 강하다.

자유-국민 연립(Coalition)은 이미 연매출 5천만 달러 미만 기업들의 법인세율을 기존 30%에서 25%로 점진적으로 낮추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이를 전국 모든 기업으로 확대하려고 하지만 일부 군소정당 및 무소속 의원들의 반발에 부딪친 상황이다.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마티아스 코난(Mathias Cormann) 재정장관은 법인세 인하가 주요 대형 은행과 다국적기업의 혜택만을 고려한 정책으로 법안의 강도를 낮추자는 제안마저 거절했다. 오히려 “전 세계가 법인세를 안하하는 추세”라며 “호주도 이에 맞춰 법안을 조정해 전체 사업체를 보호해야 한다”는 완고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턴불 총리 또한 “법인세 부문에서 경쟁력을 가진 국가를 만들겠다”는 기조를 확실히 하고, 연방정부의 정책이 변경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이번 보궐선거는 특이한 양상을 띠고 있어, 투표 결과에 반영된 국민들의 의견을 겸손한 자세로 매우 자세하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노동당은 해당 법안에 반기를 들고, ‘대형은행 세금인하 혜택 중단’과 ‘학교 및 병원에 대한 자금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쇼튼 대표는 “우리가 보건 및 교육 부문, 그리고 구직자들에 대한 지원금을 향한 예산을 약속할 수 있는 이유는 대형 은행 및 기업들에게 수백 억 달러를 버리지 않기 때문”이라며 법인세 인하의 맹점을 꼬집기도 했다.

이에 따라 2주 뒤 재기되는 의회 본회의에서 상원(the Senate)이 법인세 인하를 반대하게 될 경우 턴불 총리가 해당 법안을 폐기할지 투표에 상정할지 여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코난 재정장관은 “법인세 인하가 상원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라도 연립 여당은 이 계획을 계속해서 지지할 것이며 다음 선거에까지 가져가겠다”며 완강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7.28 보궐선거 개표 결과가 발표된 후 턴불 총리는 “빌 쇼튼 대표는 마치 월드컵에서 이긴 것처럼 기뻐했지만, 현실은 노동당이 롱맨 지역구에서 평균 지지율을 확보한 것일 뿐”이라며 비꼬기도 했다. 또 “역사는 언제나 우리를 비껴갔다”며 아무렇지 않은 듯 브리핑을 진행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의석 확보를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보궐선거는 무엇보다 당의 지도자들을 테스트하는 투표”라는 것을 인정하기도 했다.

턴불 총리는 쇼튼 대표를 ‘거짓말쟁이’(Liar)이라고 부르며 계속해서 안티활동을 펼치고 있다. 보궐선거를 하루 앞둔 지난 금요일(27일) 쇼튼 대표가 후보들에게 유권자들과의 더 많은 대화 기회를 주겠다는 목적 하에 유세현장에 참석하지 않은 것을 두고 “쇼튼 대표가 숨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라탄 교수는 이를 두고 “유치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선거 분석 1).jpg (File Size:92.2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01 호주 문자 메시지-음식물 섭취... 호주인의 가장 위험한 운전 습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0 호주 서서 일하는 업무용 데스크, 비용 측면의 가치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9 호주 “웨딩케이크 바위 등 위험지역 사진 촬영 자제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8 호주 ‘모조품 천국’ 중국... 호주산 ‘펜폴즈’ 와인, ‘벤포즈’로 표절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7 호주 Who's the greatest action hero of all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6 호주 밀레니얼 세대, 은퇴 이후 빈곤에 직면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5 호주 지방 카운슬, 이민자 유치 위한 ‘비자 파워’ 부여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4 호주 규정 이상의 담배 반입 적발, “벌금으로 그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3 호주 호주인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심장-뇌졸중-폐 관련 질환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2 호주 10명 중 1명, 수입보다 지출 많아... 가계부채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391 호주 호주 빈부 격차 심화…상위 1% 2주 소득, 최하위 5% 연소득과 동등 톱뉴스 18.08.09.
3390 호주 시드니모닝헤럴드, “한국공예展 - 인내심이 빚어낸 무한 미” 톱뉴스 18.08.09.
3389 호주 2018년 8월 7일 23시...호주 인구 2500만명 돌파 톱뉴스 18.08.09.
3388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ID 도용 기승 경고등 톱뉴스 18.08.09.
3387 호주 “홈리스 문제, 우리 모두가 나서야…” 톱뉴스 18.08.09.
3386 뉴질랜드 고용 관련 워크 비자 제도 폐지, 이민부 기술 인력 관련 정책 변경 NZ코리아포.. 18.08.09.
3385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신규 주택 건설 허가, 2004년 이후 가장 많아 NZ코리아포.. 18.08.09.
3384 뉴질랜드 20대 키위 여성, 캐나다 다리에서 뛰어내린 후 사망 NZ코리아포.. 18.08.09.
3383 뉴질랜드 처음 등장한 스마트 호텔, “예약, 출입, 조명, 온도조절 등 스마트폰으로 가능” NZ코리아포.. 18.08.09.
3382 뉴질랜드 홀로 걷는 여자에 접근한 의심스러운 차 신고, 알고 보니 ... NZ코리아포.. 18.08.11.
3381 뉴질랜드 샴푸병에 원거리 조정 카메라 설치, 홈스테이 주인 NZ코리아포.. 18.08.11.
3380 뉴질랜드 nz정부, 비닐봉투 사용 금지 조치 발표 예정 NZ코리아포.. 18.08.11.
3379 뉴질랜드 Spark “5G 서비스, 2020년부터 시작한다” NZ코리아포.. 18.08.11.
3378 뉴질랜드 황금빛 광채로 눈길 끈 수제 맥주 NZ코리아포.. 18.08.11.
3377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 등장한 ‘바바리 맨’ NZ코리아포.. 18.08.11.
3376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최초로 제조된 전기트럭, 파머스톤 노스 거리에 NZ코리아포.. 18.08.13.
3375 뉴질랜드 미국 제초제 라운드업 암 발생 보상판결, 뉴질랜드에서는... NZ코리아포.. 18.08.13.
3374 뉴질랜드 출생 증명서상 성별 변경 개정안, 판사 없이 법적인 선언만으로... NZ코리아포.. 18.08.13.
3373 뉴질랜드 호주 부동산 가격 하락, 오클랜드는? NZ코리아포.. 18.08.13.
3372 뉴질랜드 백만장자 21세의 오클랜드 남성, 뉴질랜드 11개 부동산 소유 NZ코리아포.. 18.08.13.
3371 뉴질랜드 뉴질랜드 인구 1.9%증가, 거의 500만명에 육박 NZ코리아포.. 18.08.14.
3370 뉴질랜드 경찰, 20년 전 일본인 여성 미제 살해사건 새로운 실마리 잡아 NZ코리아포.. 18.08.14.
3369 뉴질랜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오클랜드 10위권 밖으로... NZ코리아포.. 18.08.15.
3368 뉴질랜드 오늘 2만 9천 명 교사들 파업 NZ코리아포.. 18.08.15.
3367 뉴질랜드 한밤중에 돼지몰이에 나섰던 경찰관들 NZ코리아포.. 18.08.15.
3366 뉴질랜드 해외 구매자, 기존의 키위 주택 구입 금지 법안 통과 NZ코리아포.. 18.08.16.
3365 뉴질랜드 오클랜드 성장 속도, 다소 수그러들어 NZ코리아포.. 18.08.16.
3364 뉴질랜드 nz,가정 폭력 건수 증가, 처벌 건수는 오히려 줄어들어 NZ코리아포.. 18.08.16.
336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냉각된 주택 시장... 일부 구매자들, ‘감정적 구매’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62 호주 국가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요건사항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61 호주 “100% 가뭄에 시달리는 피해 농민들을 도웁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60 호주 지난해 NSW 주 포키머신 한 대당 수입 9천500달러 더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9 호주 시드니 일부지역, 주택공급 목표치 초과에도 신규공사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8 호주 호주 대학생들,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시달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7 호주 What did Sydney's early settlers eat?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6 호주 시드니, EIU의 ‘살기 좋은 도시’ 평가 순위서 5위로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5 호주 연방 정치인의 ‘차별’ 발언... 사라지지 않는 백호주의 망령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354 호주 "백호주의로 돌아가자..." 68세 초선 연방상원의원 '막말 파동' 톱뉴스 18.08.18.
3353 호주 자유당 연립 새 에너지 정책, ‘내셔널 에너지 개런티’(NEG) 채택 톱뉴스 18.08.18.
3352 호주 대도시 “이민자 포화”…지방 “이민자 절실” 톱뉴스 18.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