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뉴질랜드의 피부암 발생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경고하며, 선스크린(선크림)의 필수적인 표준 마련과 선베드 전면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독일 의학 분석가 그룹인 Derma.plus가 발표한 'The 2018 Skin Cancer Index'에서 매년 2500명의 뉴질랜드인들이 피부암 진단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소비자 뉴질랜드(Consumer NZ) 최고 경영자 수 체트윈씨는 이러한 발표에 우려스러움을 표하며,  뉴질랜드는 여전히 피부암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충분한 보호 장치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말했다. 수 체트윈씨는 안타깝게도 한동안 이를 위해 캠페인을 벌였으마, 의무적인 표준에 대한 어떠한 견인력도 얻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소비자 뉴질랜드는 지난해 호주와 뉴질랜드 표준에 따라 20개의 선크림(선스크린)을 테스트했으며 9개 업체만이 SPF 라벨을 도달했다. 수 체트윈씨는 이 테스트에서 일부 선크림은 낮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이고 있는 등으로 나타났다며, 피부 보호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라는 권고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는 자외선 차단제를 화장품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러한 것이 분명히 태양의 해로운 광선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라고 말했다.

 

지난 4 월 뉴질랜드의 비 흑색종 피부암(기저 세포 암종과 편평 세포 암종) 발생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 흑색 종 피부암 비율은 2006년 67,000명에서 올해 9 만 명에 달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Derma.plus의 수석 의학 고문인 Dietrick Abeck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비 흑색 종 피부암과 흑색 종 피부암의 발생률이 지난 수십 년 동안 극적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전세계에서 3백만 명 이상이 비 흑색 종 피부암에 걸렸으며 150,000 명의 흑색 종 피부암이 매년 진단되고 있고, 진단된 세 가지 암 중 하나는 피부암이다.

 

뉴질랜드의 경우 치료에 대한 더 많은 지출로 사망률이 낮아졌고, 네 번째로 높은 흑색 종을 가진 스웨덴은 62개국 중 어느 나라보다 많은 돈을 지출했다.

 

그러나 체트윈씨는 뉴질랜드의 예방 차원에서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그녀는 일광욕이 또 다른 위험 요소라고 말했다. 30세 이전에 선베드를 사용하면 흑색 종의 위험이 75 %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선크림과 마찬가지로 선베드 표준 준수는 강제적이지 않다. 체트윈씨는 기존 규정이 충분하게 소비자 보호를 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가 선크림 기준을 의무화하고 선베드 금지를 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말했다.

 

출처 : News&TalkZB

 

eb7d51f2200aa324f4cde1865d5e1177_153318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51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휘발유세, 슬그머니 남섬에까지... NZ코리아포.. 18.08.20.
3450 호주 대도시 “이민자 포화”…지방 “이민자 절실” 톱뉴스 18.08.18.
3449 호주 자유당 연립 새 에너지 정책, ‘내셔널 에너지 개런티’(NEG) 채택 톱뉴스 18.08.18.
3448 호주 "백호주의로 돌아가자..." 68세 초선 연방상원의원 '막말 파동' 톱뉴스 18.08.18.
3447 호주 연방 정치인의 ‘차별’ 발언... 사라지지 않는 백호주의 망령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6 호주 시드니, EIU의 ‘살기 좋은 도시’ 평가 순위서 5위로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5 호주 What did Sydney's early settlers eat?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4 호주 호주 대학생들,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시달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3 호주 시드니 일부지역, 주택공급 목표치 초과에도 신규공사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2 호주 지난해 NSW 주 포키머신 한 대당 수입 9천500달러 더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1 호주 “100% 가뭄에 시달리는 피해 농민들을 도웁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40 호주 국가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요건사항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3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냉각된 주택 시장... 일부 구매자들, ‘감정적 구매’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3438 뉴질랜드 nz,가정 폭력 건수 증가, 처벌 건수는 오히려 줄어들어 NZ코리아포.. 18.08.16.
3437 뉴질랜드 오클랜드 성장 속도, 다소 수그러들어 NZ코리아포.. 18.08.16.
3436 뉴질랜드 해외 구매자, 기존의 키위 주택 구입 금지 법안 통과 NZ코리아포.. 18.08.16.
3435 뉴질랜드 한밤중에 돼지몰이에 나섰던 경찰관들 NZ코리아포.. 18.08.15.
3434 뉴질랜드 오늘 2만 9천 명 교사들 파업 NZ코리아포.. 18.08.15.
3433 뉴질랜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오클랜드 10위권 밖으로... NZ코리아포.. 18.08.15.
3432 뉴질랜드 경찰, 20년 전 일본인 여성 미제 살해사건 새로운 실마리 잡아 NZ코리아포.. 18.08.14.
3431 뉴질랜드 뉴질랜드 인구 1.9%증가, 거의 500만명에 육박 NZ코리아포.. 18.08.14.
3430 뉴질랜드 백만장자 21세의 오클랜드 남성, 뉴질랜드 11개 부동산 소유 NZ코리아포.. 18.08.13.
3429 뉴질랜드 호주 부동산 가격 하락, 오클랜드는? NZ코리아포.. 18.08.13.
3428 뉴질랜드 출생 증명서상 성별 변경 개정안, 판사 없이 법적인 선언만으로... NZ코리아포.. 18.08.13.
3427 뉴질랜드 미국 제초제 라운드업 암 발생 보상판결, 뉴질랜드에서는... NZ코리아포.. 18.08.13.
3426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최초로 제조된 전기트럭, 파머스톤 노스 거리에 NZ코리아포.. 18.08.13.
3425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 등장한 ‘바바리 맨’ NZ코리아포.. 18.08.11.
3424 뉴질랜드 황금빛 광채로 눈길 끈 수제 맥주 NZ코리아포.. 18.08.11.
3423 뉴질랜드 Spark “5G 서비스, 2020년부터 시작한다” NZ코리아포.. 18.08.11.
3422 뉴질랜드 nz정부, 비닐봉투 사용 금지 조치 발표 예정 NZ코리아포.. 18.08.11.
3421 뉴질랜드 샴푸병에 원거리 조정 카메라 설치, 홈스테이 주인 NZ코리아포.. 18.08.11.
3420 뉴질랜드 홀로 걷는 여자에 접근한 의심스러운 차 신고, 알고 보니 ... NZ코리아포.. 18.08.11.
3419 뉴질랜드 처음 등장한 스마트 호텔, “예약, 출입, 조명, 온도조절 등 스마트폰으로 가능” NZ코리아포.. 18.08.09.
3418 뉴질랜드 20대 키위 여성, 캐나다 다리에서 뛰어내린 후 사망 NZ코리아포.. 18.08.09.
3417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신규 주택 건설 허가, 2004년 이후 가장 많아 NZ코리아포.. 18.08.09.
3416 뉴질랜드 고용 관련 워크 비자 제도 폐지, 이민부 기술 인력 관련 정책 변경 NZ코리아포.. 18.08.09.
3415 호주 “홈리스 문제, 우리 모두가 나서야…” 톱뉴스 18.08.09.
3414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ID 도용 기승 경고등 톱뉴스 18.08.09.
3413 호주 2018년 8월 7일 23시...호주 인구 2500만명 돌파 톱뉴스 18.08.09.
3412 호주 시드니모닝헤럴드, “한국공예展 - 인내심이 빚어낸 무한 미” 톱뉴스 18.08.09.
3411 호주 호주 빈부 격차 심화…상위 1% 2주 소득, 최하위 5% 연소득과 동등 톱뉴스 18.08.09.
3410 호주 10명 중 1명, 수입보다 지출 많아... 가계부채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9 호주 호주인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심장-뇌졸중-폐 관련 질환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8 호주 규정 이상의 담배 반입 적발, “벌금으로 그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7 호주 지방 카운슬, 이민자 유치 위한 ‘비자 파워’ 부여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6 호주 밀레니얼 세대, 은퇴 이후 빈곤에 직면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5 호주 Who's the greatest action hero of all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4 호주 ‘모조품 천국’ 중국... 호주산 ‘펜폴즈’ 와인, ‘벤포즈’로 표절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3 호주 “웨딩케이크 바위 등 위험지역 사진 촬영 자제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3402 호주 서서 일하는 업무용 데스크, 비용 측면의 가치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