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민권).jpg

호주 시민권 승인을 기다리는 이들이 지난 3년 사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턴불(Malcolm Turnbull) 집권 당시 4만6천 명이던 시민권 심사 대기자는 올해 2월 현재 24만 명을 훌쩍 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계 거주자 승인 비율이 크게 하락했다.

 

2015년 턴불 집권 이후 425% 증가, 중국계 거주자 승인비율 낮아져

 

최근 수년 사이 연방 정부가 승인한 시민권 비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던 중국계 거주자에 대한 시민권 신청 승인 비율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근래 호주 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각된 호주-중국간 정치 및 외교적 갈등의 영향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입수,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2017-18년) 첫 8개월(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 동안 중국계 시민권 신청에 대한 승인은 1,559명으로, 이는 2016-17년 한해 6천500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이다.

이전 회계연도(2015-16년) 중국계 거주민의 시민권 신청은 약 1만 명에 달했으며 이들 중 8천 명이 넘는 이들에게 시민권이 승인됐다.

지난 2012년에서 2016년 사이, 호주 전체 시민권 신청자 가운데 중국계 거주민은 6%, 승인 비율 또한 6%에 달했다. 호주 내부무(Department of Home Affairs) 자료에 따르면 지난 수년 사이 중국계 거주민의 시민권 취득 비율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됐지만 지난해 회계연도 시작(2017년 7월1일) 이후 올 2월까지 승인율은 전체의 3% 미만으로 급격하게 줄었다.

이는 비록 2017-18년 회계연도 중 8개월의 수치이지만 이전 연도와 같은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올 2월 이후부터 6월30일까지 대부분 신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같은 기간(2017년 7월1일부터 2018년 2월까지) 인도계 거주자의 시민권 신청 비율은 이전 년도 15%에서 18%로, 영국계 거주자는 14%에서 16%로 증가했다. 남아공계 거주민 승인 비율 또한 3%에서 5%로 늘어났다.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는 최근 의회 연설에서 중국 당국의 호주내 정치-학술-군사적 이익에 대한 영향력 증가로 손상된 호주-중국간 관계 회복을 위한 방안을 거론한 바 있다.

그런 가운데 호주 내 중국계 커뮤니티는 중국 당국의 영향력이 현지 거주민의 시민권 승인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이다.

연방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에서 수석 약사로 근무했던 홍콩 출신의 샘 웡(Sam Wong)씨는 “지난 45년간 호주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년여 기간은 내가 경험한 최악의 해였다”라면서 “호주와 중국간 정치적 긴장이 호주내 중국계 거주자에 대한 시민권 승인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중국계 기업인들의 호주 정계에 대한 로비와 지나친 정치 후원,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중국계 인사의 호주 주요 대학 기금 지원 등이 정치-사회적 이슈로 등장했으며 사회 일각에서 반중국 정서가 대두된 것을 언급한 것이다.

웡씨는 지난 1999년 호주 다문화에 이바지한 공로로 ‘Order of Australia’ 메달(민간 및 군사 부문에서 수여하는 시민 대상 훈장 메달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게 수여한다)을 수훈한 바 있다.

자유-국민 연립 정부의 주요 공직을 맡고 있는 보수 정치인들은 특히 올 들어 호주가 수용하는 이민자 수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시민권 승인 요건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는 상원에서 연기된 바 있다.

호주 정계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행사 시도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지난 5월, 서부 호주 캐닝(Canning, WA)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당 소속 앤드류 해스티(Andrew Hastie) 하원의원이 의회 면책 특권을 사용해 중국계 호주 기업인들의 정치 뇌물을 고발(본지 5월25일 자-1294호 보도)하면서 큰 파장을 몰고 온 바 있다.

지난 주 금요일(17일), 페어팩스 미디어가 입수한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중국계 시민권 신청 및 승인에 대해 연방 시민권 및 다문화부의 알란 텃지(Alan Tudge) 장관은 구체적인 언급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다만 내부무 대변인은 “연방 정부는 특정 국가 출신 거주민(영주비자)의 시민권 심사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멜번에 거주하는 중국계 조 마(Zoe Ma)씨는 시민권을 신청한 이후 17개월째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권 신청 중 해외로 나갈 경우 이의 심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한 그녀는 할머니를 보기 위해 중국을 방문하는 것조차 미뤄 왔고, 지난 7월 그녀의 할머니는 사망했다. “너무 슬프고 화가 났다”는 그녀는 “그것(시민권)이 언제 승인될런지 누구도 말해주지 않았다”고 하소연했다.

호주에서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은 거주자는 공무원 직종에 신청하거나 정부 지원의 학비 융자(HECS-HELP)가 불가능하다. 또한 외국에 거주하는 가족의 호주 거주 비자 스폰서 역할을 할 수도 없으며 호주 내에서 투표권도 부여되지 않는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시민권 신청에 대한 연방 정부의 심사 건수는 300%까지 늘어난 상태이다. 하지만 내무부의 새 자료는 ‘심사대기’가 더 심각해 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민권을 신청한 뒤 승인을 기다리는 이들은 올 2월 18만8,848명이었지만 6월에는 24만1,606명으로 늘어났다. 이 수치는 턴불이 집권하던 2015년 4만5,985명에 비해 425%가 늘어난 것이다.

호주 시민권 신청자에 대한 보안 검사는 내부무에서 진행된다. 연방 정부는 이처럼 시민권 수여 심사가 지연되는 것에 대해 노동당 정부 당시 받아들인 5만 명의 난민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난민 가운데는 서류 하나 없이 호주에 발을 디딘 이들도 많다는 것이다.

한편 호주 감사원(Australian National Audit Office)은 내년 1월 연방 정부의 시민권 심사 절차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 일부 국가 출신 시민권 승인 수

(2012-17년 사이. 국가 : 2017-18 / 2016-117 / 2014-15 / 2012-13년-명)

-India : 10,168 / 22,006 / 21,853 / 18,271

-UK : 9,195 / 19,617 / 19,229 / 19,056

-South Africa : 2,617 / 5,219 / 6,384 / 7,989

-Philipines : 2,399 / 8,745 / 8,753 / 8,757

-Sri Lanka : 1,962 / 4,282 / 3,533 / 2,646

-China : 1,559 / 6,513 / 6,841 / 8,016

Source: Department of Home Affairs, 2018. *Figures as of February 28, 2018.

 

■ 2018년 2월 현재 시민권 승인 대기자 수

2012-13년(노동당 집권 당시) : 33,634명

2013-14(Abbott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26,920명

2014-15(Abbott 정부/ 자유-국민 연립) : 22,952명

2015-16(Turnbull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45,985명

2016-17(Turnbull 정부/ 자유-국민 연립) : 106,383명

2017-18(Turnbull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241,606명

Source: Department of Home Affairs, 2018.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민권).jpg (File Size:64.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51 호주 이민자 제한 정책에 배우자-가족초청 비자 승인 대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50 호주 턴불 총리 “더 많은 기술 이민자, 외곽지로 보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9 호주 잘못된 시드니 인구밀도 측정, 바람직한 도시 개발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8 호주 호주 일자리 붐, 주인공은 여성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7 호주 ‘흙수저’로 태어났다면... 4대 손에서야 평균 소득 달성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6 호주 전 세계적 항공기 조종사 부족... 호주도 지방 루트 운항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5 호주 주택 임대료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4 호주 NSW 주, 초-중등학교 여학생에 교복 선택권 부여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3 호주 주차공간 부족 이스트우드, 다층주차장 설립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2 호주 노동당 에마 후사 의원, ‘보좌관 상대 수퍼 갑질’ 파문 “일파만파” 톱뉴스 18.07.26.
3341 호주 스트라스필드, ‘e-폐기물’ 무료 폐기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40 호주 페이스북-메신저에 방탄소년단 캐릭터 ‘BT21’ 스티커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39 호주 스트라스필드 ‘SP’, ‘Principal of the Year’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3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침체된 시장, 예비 구매자들에게는 ‘내집 마련’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337 호주 “주택 개보수에 닫힌 지갑, 열어야 하는 이유” 톱뉴스 18.07.26.
3336 호주 연방정부 석탄 발전 정책 ‘청신호’ 톱뉴스 18.07.26.
3335 호주 호주 소비자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는? 톱뉴스 18.07.26.
3334 호주 스트라스필드, 부동산 침체기의 무풍지대…? 톱뉴스 18.07.26.
3333 호주 격전지 SA 마요의 최후 승자는? 톱뉴스 18.07.26.
3332 뉴질랜드 노인 연금 수령자, 정부 보조금과 지출 비용 격차 점점 커져... NZ코리아포.. 18.07.26.
3331 뉴질랜드 어제 낙태 반대주의자들, 국회 앞마당에서 시위 벌여 NZ코리아포.. 18.07.26.
3330 뉴질랜드 육군 신병훈련소에서 성적인 사건 발생, 교관들 무더기로 면직, 조사 중 NZ코리아포.. 18.07.26.
3329 뉴질랜드 무리와이 비치에 입장료가 있다고???못된 중국인 가이드... NZ코리아포.. 18.07.26.
3328 뉴질랜드 카나비스 관련법 개정, 시민들 요구가 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7.25.
3327 뉴질랜드 농촌 지역 전기 복구 로봇, 키위가 만들어 시험 중 NZ코리아포.. 18.07.25.
3326 뉴질랜드 담뱃값 인상 정책 재검토 지지하고 나선 데어리들 NZ코리아포.. 18.07.25.
3325 뉴질랜드 백 세대 넘는 대형 아파트 개발 현장, 공사 중단 NZ코리아포.. 18.07.25.
3324 호주 쌍용차, 호주 직영판매법인 설립... SUV 시장 급성장 호주 본격 공략 톱뉴스 18.07.24.
3323 호주 5월 시드니 주택 대출 신청 1.1% 증가 톱뉴스 18.07.24.
3322 호주 이민자 유입량 10년 최저치…정치권은 이민 감축 논쟁 가열 톱뉴스 18.07.24.
3321 뉴질랜드 키위 10%정도, 부엌 오븐을 난방용으로 ... NZ코리아포.. 18.07.23.
3320 뉴질랜드 센터럴 오클랜드 임대 주택 공급 증가, 일부 임대료 인하 NZ코리아포.. 18.07.23.
3319 뉴질랜드 미 달러 대비 키위 달러 가치 하락, 일부 소비재 가격 안정 NZ코리아포.. 18.07.23.
3318 뉴질랜드 이민자 간호사, 인종 차별과 문화적 갈등 계속돼 NZ코리아포.. 18.07.21.
3317 뉴질랜드 뉴질랜드 과학자들, 식물 유전자 변형 개발 가능성 소개 NZ코리아포.. 18.07.21.
3316 뉴질랜드 뉴질랜드 젊은이들, 벤처 사업 투자보다 주택 구입 위한 저축 NZ코리아포.. 18.07.21.
3315 호주 호주 인구, 역사적 이정표... 8월 초 2천5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14 호주 지난해 호주에 백만장자 7,260명 입국... 세계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13 호주 호주 이민자, 10년 만에 최저... 연 해외 유입 10%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12 호주 ‘다이렉트’와 ‘논스톱’ 항공편 차이는... ‘Pink-eye flight’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11 호주 ‘2018 Dog Lovers Show’... 8월 4-5일 무어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10 호주 트로이 그란트 경찰 장관, 내년 NSW 주 선거 불출마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09 호주 NSW 주 포키머신 수익, 2021년 70억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08 호주 뉴카슬에서 뉴질랜드 여행 가능... 16년 만에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07 호주 “독감 백신 맞으세요”, NSW 주 보건부 대비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0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강화된 주택담보 대출 규정, 경매시장에도 ‘영향’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305 뉴질랜드 주 4일 근무,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 완화에 도움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07.18.
3304 뉴질랜드 NZ, 가계 생활비 비용, 지난 한해 동안 3.1% 늘어나 NZ코리아포.. 18.07.18.
3303 뉴질랜드 중국인이 가고 싶은 나라 3위, 뉴질랜드 NZ코리아포.. 18.07.18.
3302 뉴질랜드 펭귄 포함한 남극 생물들, 플라스틱 위협에 노출돼 NZ코리아포.. 18.07.17.